2016. 8. 20. 17:41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발심수행장·수행법
복 짓기... 복 받기...
부처님은 '지혜'와 '복덕'을 구족하신
분이십니다.
삼귀의에서 '귀의불 양족존'의 '양족'도
지혜와 복덕을 의미하는 것이랍니다.
생활 속에서 복덕을 쌓아가고
진지한 수행과 통찰을 통해 '지혜'를 쌓아가는
두 가지 행위야 말로
수행자의 당당한 마음의 뿌리입니다.
그 중에 생활 속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수행은 무엇보다 '지혜'의 뿌리인
복덕을 쌓아가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복이 있어야 '지혜'를 쌓을 수 있는 토대가
잘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 복덕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세상을 사는 데 있어
우리가 신구의로 짓고 있는 모든 행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세상을 살아가며
일체 모든 일을 행함에 있어
두 가지로 그 마음을 돌려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힘들고 괴로운 상황은
'복을 짓는 일'이며
행복하고 즐거운 상황은
'복을 받는 일'이라고 말입니다.
첫째, 힘들고 괴롭고
하기 싫은 일이 생기거나,
내가 손해를 보는 것 같이 느껴질 때,
억울 함을 당했을 때,
그리고 내가 한 일의 양에 비해
적은 보수를 받았을 경우 등
이처럼 힘들고 괴로울 때
그 마음을 항복 받기 위해
지금의 이 상황을
'복을 짓는 생활이구나', '복을 짓고 있구나'
하며 올바로 그 마음을 돌려야 합니다.
당장은 손해보며 괴로운 상황이지만
이것이 바로 복을 짓는 행위라는 것이지요.
또한 둘째로 내가 한 것보다
많은 양의 보수와 칭찬을 받았을 때,
행복하고 즐겁다고 느껴질 때
이 때에도 그 기쁜 마음에 들떠있기 보다는
그 들떠있는 마음을 항복 받기 위해
이것이 '복을 받는 생활이구나',
'복을 받고 있구나' 하며 올바로 돌려
그 행복감에 안주하지 말아야 합니다.
큰스님들께서는 이 두 가지 생활 중에
5분의 4는 '복을 짓는 생활'을
그리고 5분의 1은 '복을 받는 생활'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복을 받는 것은 저축했던 것을 쓰는 생활이요,
복을 짓는 것은 저축하는 생활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창조적이고 자기 개발적인 사람이라면
당연히 '복 짓는 생활'을
더욱 열심히 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만 마음을 잘 돌릴 수 있다면
아무리 힘들고 괴로운 일을 하면서도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힘들 때는 복 짓는 것,
행복할 때면 복 받는 것!
이처럼 생활한다면
우리 생활의 양극단인 괴로운 삶과 즐거운 삶
모두를 잘 조복(調伏)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양극단을 초월하여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는
중도(中道)의 실천행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복 짓기 좋아하는 사람의 과보는
행복이며 천상이요,
복 받기 좋아하는 사람의 과보는
불행이며 지옥입니다.
이렇듯 일체의 행위, 일체의 상황을
복 짓고 받는 두 가지로 돌릴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더욱 윤택해 질 것입니다.
언제나 밝은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떤 상황도 이 두 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없기 때문입니다.
복 짓는 생활은
그 순간 고통이 따르지만
너무도 밝은 일이며 복된 일입니다.
복 받는 생활은
그 순간 행복하고 기쁘지만
그동안 저축해 놓았던 복을 까먹는 삶입니다.
법우님 힘들고 괴로울 때
내 주위를 환경을
그리고 사람들을 탓하기 보다는
이것이 복 짓는 일이지..
하며 마음을 다스리시길 바랍니다.
행복할 때
그 행복에 안주하기 보다는
까먹은 복을 다시 짓기 위해
더욱 정진하라는 부처님의 법문으로
바꾸어 들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두 가지로
마음을 돌려 생활하는
생활 속의 창조적 수행자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자유롭고 행복하며 당당합니다.
그 마음 그대로 부처님 마음입니다.
갠지스 강의 저 물결을 보라,
저기에 소용돌이가 일고있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본래 소용돌이라고 할만한 것은 아무데도 없다
- <잡아함경>에서
삼라만상은 본래 모습 그대로인데
사람들은 각자의 느낌을 사실인냥
이름을 붙이고 모양을 만들고
갖가지 변화를 만들어 낸다.
이름이 그대로 사실인양 믿고 따르므로
집착에 의한 마음의 苦의 그물을 뒤집어 쓰게 된다
◐'責善輔仁(책선보인)'◑
'責善'은 상대방에게 선행을 권면하는 것이다.
“책선은 붕우 사이에 적용되는 도리이다(責善 朋友之道也) ”
-『孟子•離婁下』-
'輔仁'은 상대방에게서 자신의 인덕(仁德)을 보강하는 것이다.
“군자는 학문을 통해서 벗을 모으고,
벗을 통해서 자신의 인덕을
보강한다(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
-『論語•顔淵』-
"군자들의 친구관계는 비유하자면, 옥이 모이는 것과 같다.
그 서로 친하기가 따뜻하면서도 엄격하게 자신을 지키기 때문이다.
소인들의 친구관계는 마치 모래를 모아놓은 것과 같다.
처음 만나서는 잘 섞이고 부류를 가리지 않고 잘 사귀나 끝내 이해관계가
없어지면 얼음이 녹듯이 서로 갈라지게 된다
(君子之朋如比玉 溫乎其相親 栗然而自守 小人之黨 如聚沙
始焉雜杳 不擇精粗 終焉利盡則
釋然而相離)"
친구는 그의 곁을 느낄 수 있는 '영혼의 편지'를
쓸 수 있는 사이라 합니다.
친구의 이상적인 모델인 '知音(지음)'의 주인공 伯牙(백아)와 鍾子期(종자기)의
가르침은 마음을 울리는
'共鳴(공명)'이었다.
"친구란 너의 마음에서 울리는 멜로디를
듣고, 언젠가 네가 잊어버리게 되었을 때
그 멜로디를 너에게 다시 일깨워 주는
네 마음의 공명이다"
-金東建(동양문화대학원
교수)-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발심수행장·수행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린신앙을 위하여-종교화합을 기대하며|마음공부 생활수행 (0) | 2016.09.03 |
---|---|
복의 씨앗을 심자|마음공부 생활수행 (0) | 2016.08.28 |
범어사 지유스님 - 공부란 자기 모습 제대로 보기 (0) | 2016.08.13 |
보시의 3가지 방법|마음공부 생활수행 (0) | 2016.08.13 |
보시의 7가지 마음|마음공부 생활수행 (0) | 201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