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학개론(19)
-
성운대사가 전하는 불법의 참뜻 5회 2024.04.21
-
성운대사가 전하는 불법의 참뜻 4회 2023.07.15
-
성운대사가 전하는 불법의 참뜻 3회
3회 - 성운대사가 설하는 불법의 참뜻, 불법진의
2023.06.04 -
성운대사가 전하는 불법의 참뜻 2회
2회 - 성운대사가 설하는 불법의 참뜻, 불법진의
2023.05.06 -
성운대사가 전하는 불법의 참뜻 1회
1회 - 성운대사가 설하는 불법의 참뜻, 불법진의
2023.04.13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8~40END
불교변천사에 따른 수행법 총 정리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8강] 탐욕과 분노없이 깨어있음의 유지 상태 예비선정- 하나의 대상 호흡을 보는 시간이 1시간내지 4시간 유지(욕계선정을 넘어 색계선정의 초입) 초선-욕망의 사라짐(심사/희락/사가 남음) 부처님 색계선정 강조하고 무색계선정은 선택과정=>견도(위빠사나수행)=본래목적(지혜) 열반의 증득 과정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9강] 약견제상비상의 태도-예측을 끝내는 것 계금취견-제례의식과 고행주의-오답노트-잘못된 것에 대한 집착 자아가 윤회의 근본=십쇄가 원동력인 자아 경계를 통한 성인 도과의 증명 점쟁이(철수네 집 숟가락)와 도인(일체제와 선정-필수과목이 아니다)은 다르다 불교 수행 52위와 십우도와의 관계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40강] 자량위(-10회향..
2023.03.04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5~37강
소승불교의 정의 별반에 대한 입장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5강] 초기불교, 소승불교, 대승불교의 열반의 개념과 차이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6강] 삶의 미시 기본 단위는 경험 열반의 진리와 수행 방법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7강] 계는 지니는 것 정은 닦는 것 혜는 배우는 것 8만4천경(지말)은 초전법륜(근본)의 주석에 불과 삼전법륜 [한문]三轉法輪 [영어]three turns of truth-wheel [1]석가모니가 녹야원에서 4제(諦)의 법을 설한 것을 시전(示轉), 권전(勸轉), 증전(證轉)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 1. 고(苦), 집(集), 멸(滅), 도(道) 등 4제(諦)를 가르쳐 준 시전(示轉) 법륜(法輪). 2. 고제(苦諦)를 아는 지(知), 집제(集諦)를 알고 마땅히 끊는..
2022.10.29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34강
번뇌를 지혜로 바꾸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2강] 오성의 한계=대상을 경험하는 것이 아닌 대상의 상분(촉,작의,수,상,사의 상)=보여지는 내마음을 경험 보는 마음(견분)이 보이는 마음(상분)을 보고 있는 것 듣는 마음이 들리는 마음을 듣는 것 정보=>활동=>점검 화두를 본다에서 화두는 상분/ 보는놈을 본다-자증본 독영경-느낌적인 느낌 귀신-만들어진 느낌 대질경-망상으로 경험 인식대상은 6경이 아닌 상분의 분류 촉에서 오토시스템을 안끄면 분별을 당하는 것 지혜롭지 않다는 것은 멍청하다는 것이 아니라 분별에 갇혀있다는것 성인은 선인식 후분별 중생은 선분별 후인식 평등성지(감정과 본능의 한계)-분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지 분별을 못하는 무지가 아니다=택법각지 묘관찰지-잘못된 아..
2022.09.15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9~31강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론과 실상론은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9강] 불교에서 말하는 지혜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0강] 지각의 특징은 분별 지식은 인식대상 -의미화 개념화된 상태 객관적인 정보라는 것이 내 안에 들어와서 내가 의미를 가지게 된 것, 가치가 생긴 것 혜안-즉비-색즉시공=여래=무아 법안-시명-공즉시색=여거=대아,시아(색즉시색) 아라한은 중도에 머문다(차이는 있지만 차별은 없다) 불교의 지혜론에서 인식론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31강] 촉-3자회담-근경식이 서로 만나는 작업 좋은 음악 고막을 간지른다는 표현 마음을 어루만진다는 표현-촉이 일어나는 감각(공간장소와 상관 없는 촉) 아비담마의 해석은 근과 경이 만나 아들인 식을 낳았다는 의견=물질중심주의(육근과 ..
2022.09.13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6~28강
어떻게 일념에 삼천 가지로 관할 수 있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6강] 여우 깨달은 사람은 인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명명백백하다(없어지는게 아니라 안다) 부처님은 부처에도 중생구제를 위해 지옥출입권이 있다 제법실상은 중생도 좋은 면 다 있고 성인도 안좋은 면 다 있다-열린 마음 책상은 인간 카테고리 기세간=무정물(일념)에도 10법계의 가능성\=>무한가능성 제법이 서로 무애한 이유는 무엇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7강] 모든 만불의 본성은 만물의 정보가 다 구족되어있다-성구론=일미진중함시방 타끌에는 모든 우주정보 법계가 다 들어있다=>일체지 훈련(빼내는 방법과 빼내는 권한) 구글 데이터센터 접속- 구글 일체지 아뢰야식의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뽑아쓸까(수행대위-락 풀어가는 과정) 성기설의 근거는 ..
2022.09.09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3~25강
유식 삼성과 삼무자성이 어떻게 중도로 이끄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3강] 전오식(감각)은 철저히 대상이 있어야 인식이 일어남 의식은 대상이 없어도 인식가능(우뇌형인간 기억, 좌뇌형 인간은 인식 불가) 변계소집은 인식대상과 화합하여 일어남 그 인식대상이 의타기성이다 컵을 보면 온갖 헤아린 결과들이 진실이라 생각 그것은 의타기성에 깃든 마음을 인식하는 것 이것이 상이다 아인중수상+법상+비법상=6상=온갖 경험들이 상이다 허상의 근거=이걸 경험하는가/마음을 경험하는가 이게 실상이면 마음은 허상 자기 마음을 보고 있다는 생각은 꿈에도 안하고 대상을 보고 있다 의타기성을 대상으로 변계소집하여 상을 만든다 의타기성은 물자체를 논하는것(존재론) 물에 비친 마음을 논하는 것(인식론) 변계소집은 경험속에만 있고 실..
2022.09.04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0~22강
중관학파의 실상론을 통한 제법실상의 경험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20강] 불 타오른다(둘을 나누어서 주체와 작용으로 있는 것처럼) 꺼진 불은 타오른다-꺼진불은 더 이상 불이 아니다 타는 불이 탄다-중복의 오류 불과 탐은 쌍으로 의존적 둘이 나디-연기공식 무아의 나라 캐치프레이즈-주체는 없지만 경험은 있다 알 것같은 순간이 온다-다시 깜깜해진다 전달통로를 깨끗이하다 전달통로에 오물이 있으면 아무리 좋은 물이 들어가도 오물 신비주의자-자아없애려 노력 허상 실상의 구분이 끊겨져(머리 디친 멍청이가 아님) 깨달음은 이본법자동시스템을 Off한 것-자유로워짐 속제 개몀 쓰기도 진제 안쓰기도 자유로워(자동이 수동으로 바뀌어) 자동을 끊을 수 있으면 자유 못끊으면 구속 속박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해탈 중관학파를 비..
2022.08.20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7~19강
용수보살의 중관학파에서는 무엇을 공이라고 하는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7강] 정보,감각, 감정의 오류로 호모모델의 송덕사는 실제 송덕사와 같을 확률 낮다 있는 그대로의 정확함 모델링-아이소모픽모델 깨닫기전까지 호모모픽 모델을 전제해야 아이소모픽으로 간다 모른다는게 중요 허망은 실제와 정보가 틀렸다 즉견여래에서 즉은 여래를 보는 길이 열린다는 뜻 여기서 여래는 있는 그대롤 이야기하는 것 경험이 허망하니 실상과 다르다는 것을 아는 것이 실상을 보는 길이된다 용수 제자인 데바는 모두 끊임없이 허상이야라고 논리적으로 감정적으로 목숨걸고 설파 원한을 사 칼맞고 돌아가심 파사를 자비심의 발로로 한다-그 칼 찌른 범인을 밥을 주며 내제자 오기전에 도망가도록 함 칼을 찌른 자도 공하고 나도 공하다며 쿨하게 돌아가..
2022.08.17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4~16강
현상계의 구성요소인 법의 체계는 어떠한 것인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4강] ▣ 부파(部派)불교 -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일체법의 체계를 만듬 色 (색) (11) 眼(안)ㆍ耳(이)ㆍ鼻(비)ㆍ舌(설)ㆍ身(신)[五根(오근)], 色(색)ㆍ聲(성)ㆍ香(향)ㆍ味(미)ㆍ觸(촉)[五對境(오대경)], 無表色(무표색) 心 (심) (1) 六識(육식) 心所 (심소) (46) 大地法 (대지법) (10) 受(수)ㆍ想(상)ㆍ思(사)ㆍ觸(촉)ㆍ欲(욕)ㆍ慧(혜)ㆍ念(념)ㆍ作意(작의)ㆍ勝解(승해)ㆍ三摩地(삼마지) 大善地法 (대선지법) (10) 信(신)ㆍ不放逸(불방일)ㆍ輕安(경안)ㆍ捨(사)ㆍ慚(참)ㆍ愧(괴)ㆍ無貪(무탐)ㆍ無瞋(무진)ㆍ不害(불해)ㆍ勤(근) 大煩惱地法 (대번뇌지법) (6) 癡(치)ㆍ放逸(방일)ㆍ懈怠(해태)ㆍ不信(불..
2022.08.16 -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13강
광대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불교의 세계관 [원빈스님의 불교학개론 11강] 독서실식 공부방 카페식 공부방-창조성 발휘 틀을 넓힌다-상대적 틀을 부순다-허구 드러난 현상을 세간이라 한다 중생-생을 반복하는 흐름에 들어 있는 무리들 생의 원동력이 될만큼의 자아의식이 강한 존재들 불교에서 기세간과 중생세간은 서로 상응한다 본다 본질은 없다, 현상은 있다는관점(예를 들면 탐욕의 원동력으로 아귀같은 현상 세계가 형성 된다) 욕계=욕망O 물질O 색계=욕망X 물질O 무색계=욕망X 물질X 기세간 삼계와 중생세간 삼계는 상응하는 것이다-유심삼계 천상중에 일부 색계 천상, 일부는 무색계 천상 연습이 필요한 곳들은 인간 천상 색계 무색계 하나의 세계가 천개 소천 소천세계가 천개 중천 중천세계가 1000개 대천 우주가 유지되는..
20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