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네가지 삶/마음공부 생활 수행

2019. 3. 3. 14:26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발심수행장·수행법

728x90

 

           

 

        

 

지혜로운 네 가지 삶의 방식 /  법상


나는 늘 네 가지 삶을 꿈꾸고 산다. 내가 願을 세우고 實踐하고자   노력하는 삶,

그 삶은 바로 ‘깨어 있는 삶’, ‘조화로운 삶’, ‘소박한 삶’ 그리고  ‘나누는 삶’이다.

난 이 네 가지 삶이 내 안에 깊이 波濤쳐 들어와 細胞가되고 骨髓가 되며 우뚝 선

精神이 되기를 늘 誓願하고 있다.


 

먼저 ‘깨어 있는 삶’이란, 불교 수행자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지관(止觀)과 정혜(定慧),

卽 마음을 비우고 알아차리는, 執着을 버리고 비추어 보는 두 가지 수행을 말한다. 깨어 있으

려면 마음에 煩惱와 執着, 慾心과 바람을 먼저 비울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마음에 온갖 煩惱를

비우고자 한다면 있는 그대로 잘 지켜보면 된다. 煩惱며 慾心, 執着이며 바람들을 있는 그대로

잘 지켜보면, 애써 비우고 없애려고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사라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깨어

있는 삶이 重要하다. 每瞬間 깨어 있으면 지금 그 자리에서 자족(自足)과 平和를 얻게 되며

나아가 智慧를 證得하게 된다.


 

두 번째 내가 꿈꾸는 삶은 바로 ‘調和로운 삶’이다. 

大自然과의 共存과 共生하는 삶, 生命 있고 없는 모든 것들과의 調和로운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삶, 卽 大自然이라는 비로자나 진법신(眞法身)과 調和를 이루며 사는 삶이다.

산과 들, 나무와 들풀, 계곡과 숲, 그리고 모든 짐승과 곤충들을 비롯한 모든 大自然

식구들과 둘로 나뉘지 않으며 서로 調和를 이루고 共存하며 살아가는 삶, 그 삶이야말로

이 世上에서 모든 사람, 모든 生命이 持續 可能한 平和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삶이다. 大自然에 마음을 두게 되면 欲望과 利己는 저절로 消滅된다.


 

세 번째는 ‘소박한 삶’이다. 

이것은 淸貧, 가난, 自足, 절약의 精神과도 맞닿아 있다. 스스로 滿足하며, 節制와

절약을 지키며, 最少限의 必要에 따른 소박하고 가난한 삶을 살아가는 것,

그 삶이야말로 우리 人間의 精神을 가장 高貴하게 일깨워주며 속 뜰의 本來 香氣를

환히 밝혀주는삶의 본보기다. 요즘같이 淸貧의 精神이 고갈되어 있는 이 때에 스스로

가난을 選擇할 수 있는 勇氣와 智慧야말로 가장 所重한 德目이다.


 

네 번째는 ‘나누는 삶’이다. 

스스로 아무리 幸福하고 滿足한들 이웃의 不幸과 가난, 기아와 질병 등을 外面하고

放置한다면 그것은 眞正한 健康한 富有함도, 참된 幸福도 아니다. 내가 幸福하게 밥을

먹고 工夫하고 있는 이 瞬間에도 이 世上 다른 곳에서는 수많은 이들이 가난과 기아에

헐벗어 굶주리며 죽어가고 있다.

 

깨달음을 얻었다 한들 그것이 世上으로 회향(回向)되어지지 않는다면 그 깨달음은 참된

智慧가 아니다. 참된 智慧는 이 世上의 아픔이 바로 나의 아픔이기에 내 것과 네 것 이라는

差別이 없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慈悲精神이다.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動體에서 나오는

大慈大悲의 精神이야말로 나 自身과 이웃, 이 온세계를 밝히는 智慧와 慈悲의 根本精神이자

實踐 行이다.


 


이상의 네 가지 삶의 모습, 나는 이 말만 들어도 가슴이 부풀어 오르고 설렌다.

물론 아직 그런 삶과 일치하지 못한 나의 모습이 부끄럽긴 하지만 그래도 내 삶에

指針이 되는 이 길이 있기에 늘 幸福하다. 이따금 이 네 가지 삶의 모습에 나 自身을

비추어 보며 내 삶이 올바로 가고 있는가   스스로 점검하곤 한다. 때때로 삶의 발길을

멈추고 自身을 점검해 보자. 나는 과연 얼마나 깨어 있는, 조화로운, 소박한, 나누는

삶을 실천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