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앞둔 환우/법륜스님

2011. 2. 25. 23:12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728x90

 

죽음 앞둔 환우에게 어떻게 대할까요

 

 

 

 

죽음을 앞두고 힘들어하는 환우에게 좋은 말을 해주고 싶은데, 어떤 말이 좋은지, 마음 편하게 떠날 수 있도록 스님의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죽는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거부할 수 없는 삶의 과정
위로해야 한다는 생각보단 평소처럼 대하는게 효과적

 

 

죽음을 앞두고 있는 친구를 위해 좋은 말을 해주고 싶은 것인가요, 아니면 친구를 보는 내가 너무 힘들어서 지금 좋은 말을 찾는 건가요? 친구가 건강이 안 좋고 아프면, 그냥 친구가 건강이 안 좋고 아프구나 하고 보면 되지 왜 꼭 무슨 말을 해줘야 되지요? 그냥 친구 병문안 가서 오늘 숨이 넘어간다 하더라도 손을 잡고 옛날 어릴 때 얘기도 나누고 재밌게 대화하면 되지 내가 뭘 위로해 줘야 된다는 부담감을 갖지 마세요, 해줄 말이 없는 게 문제가 아니라 왜 해줄 말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낙엽이 떨어질 때 무슨 말을 해줘야 나무에게 좋은 말이 될까요?


사람들이 언젠가는 죽어야 세상이 유지됩니다. 옛날에 평균 수명이 사오십 세였을 때 육십까지 살면 많이 산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다 팔구십까지 사니까 칠십 세만 되어 죽어도 다들 아쉬워합니다. 그러니 인생에 제 명이라 할 것이 없습니다. 어린애가 태어날 때 자신이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납니까? 사람이 죽을 때 죽고 싶어서 죽습니까? 그냥 때가 되면 태어나고 때가 되면 죽습니다.


사람들은 자기가 내일 죽을지 모레 죽을지 그걸 굉장히 궁금해 하는 것 같은데, 내일 죽든 모레 죽든 죽을 때가 되면 죽는 거니까 살아 있는 지금을 착실히 살면 됩니다. 불치병에 걸려 죽든, 교통사고가 나서 죽든, 그런 건 하등 중요한 게 아닙니다. 앞으로 10년, 20년 더 산다면 무슨 일을 하실 건가요? 설혹 더 산다 해도 세상에 별로 도움이 될 것도 없고, 그렇다고 내가 일부러 죽을 만큼 세상에 무슨 나쁜 짓을 한 것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사는 데까지 살다가 때가 되면 죽으면 그만입니다. 봄날에 잎이 무성하다가 가을이 되면 낙엽이 떨어지듯이 말입니다. 낙엽이 9월 30일에 떨어지면 어떻고, 10월 3일에 떨어지면 어떻고, 11월 3일까지 붙어 있으면 뭐할 거예요, 어차피 이러나저러나 겨울 되면 다 떨어지는 것처럼, 사람 인생 100년 안짝에 다 죽습니다. 80 살면 어떻고 70 살면 어때요?


죽음을 준비한다느니 죽음을 어떻게 한다느니 이런 게 다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죽을 때 편안하게 죽고 싶다고 해서 편안하게 죽어지는 것도 아니고, 거꾸로 서서 죽고 싶다 해도 죽을 때 그게 자신의 뜻대로 안 돼요. 죽음은 인연 오는 대로 맡기면 됩니다. 우리는 교통사고 같은 예기치 못한 죽음에 늘 억울해 합니다. 하지만 예기치 못했다고 하는 건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살아있는 생물은 지금 1분 1초 뒤에라도 죽을 가능성이 항상 있어요. 죽음이라는 것은 늘 우리 곁에 있는데, 안 죽으려고 하다가 죽으니 예기치 못한 죽음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일부러 죽을 것도 없고, 강제로 죽일 것도 없고, 죽음을 두려워할 것도 없고, 안 죽으려고 발버둥 칠 것도 없습니다. 죽음은 관여 안 하고 가만 놔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픈 친구에게 가서 뭐라고 위로하려고 하지 마세요. 위로를 하지 마라 하는 건 ‘무슨 좋은 말을 해줘야 되겠다.’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는 겁니다. 위로한다고 위로가 되지도 않습니다. 지금 숨이 오락가락하는데 남의 말이 귀에 들어오겠습니까. 친구한테 가서 “오랜만이다. 잘 지냈나? 괜찮지?” 이러고 그냥 평상시처럼 지내면 돼요. 그것이 가장 큰 위로입니다. 내가 죽음을 담담하게 보면 죽음이 큰일이 아닙니다.

 

내가 만약 아픈 친구를 살릴 수 있으면 위로가 아니라 더한 것도 해주어야겠지요. 물에 빠진 사람 구제하는 건 내가 할 수 있고, 굶어 죽는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것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지만 누가 암에 걸린 건 내가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의사가 살릴 수 있으면 의사한테 맡겨야지요. 그리고 내가 큰 병에 걸렸을 때에도 안 죽고 싶다고 기도한다고 안 죽는 것도 아니니, 그냥 의사한테 편안하게 맡기고 치료받으면 됩니다. 의사가 “환자분 생각은 어떠세요?” 하고 물으면, “아, 당신이 의사니까 전문가니까 알아서 하세요.” 이렇게 툭 던지는 거, 그게 바로 도입니다. 그때 비로소 부처님의 가피가 내리는 겁니다.

 

 

 상선약수

 

 

 

가장 착한 것은 물과 같다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상선약수. 수선이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악)

가장 착한 것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하면서 다투지 않고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고기어도.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그러므로 물은 도에 가깝다.
사는 곳으로는 땅이 좋고 마음은 못처럼 깊은 것이 좋고,
벗은 어진 사람이 좋고, 말은 믿음이 있어야 좋고,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부쟁, 고무우)

 

정치는 자연의 도리로써 다스리는 것이 좋고,

일은 잘 할 줄아는 것이 좋고 움직임은 때를 아는 것이 좋다.
대저 오로지 다투지 않으니 그런 까닭에 탓할 바가 없다.

 

 

상선은 물과 같다上善若水

 

노자의 도덕경은 처세지(處世知)의 보고(寶庫)요,
인간교훈의 교과서다. 혼돈과 부조리가
극심했던 난세에 우리는 어떻게 하면 몸을 보존
할 수가 있는가를 탐구한 명쳘보신(明哲保身)의
지혜가 담긴 책이다.

그는 역설적인 표현을 많이 했다.
그는 나서는 것보다 물러서는 것을 강조했고,
강(强)보다는 약(弱)을 역설했다.
진취와 능동과 적극의 원리보다
체념과 은둔과 겸양의 덕을 역설했다.

상기의 글은 특히 유명한 말이다.
상선은 최고선이란 뜻이다.
선에도 상, 중, 하 가 있는데
가장 으뜸가는 선이 상선이다.



상선은 물과 같다고 노자는 가르쳤다.
왜냐?
첫째로
물은 천하만물을 이롭게 한다.
물없이는 살수가  없다.
물은 가장 큰 공덕을 갖는다.
그러나 결코 남과 공명을 타투지 않는다.

둘째로
인간은 자꾸 높은 데로 올라가려고 애쓰지만
물은 자꾸 낮은 데로 흘러 간다.
낮은 데서높은 데로 올라가는 물은 없다.
물은 우리에게 스스로를 낮추는 겸손의 덕을 가르친다.

세째는 
물은 낮은 데로 내려가기 때문에 점점 커진다.
산속의 조그만 시냇물이 자꾸 낮은 데로 흘러감에
따라서 큰 시내가 되어 마침내 망망한 대해에 도달한다.
조그마한 시냇물이 나중에는 바다와 같은 대존재가 된다.

높은 데서 낮은 데로 자꾸만 흘러 가기 때문이다
인간도 물의 지혜를 배우고 물의 덕을 본받을 때
물처럼 위대한 존재가 될수 있다.
이것이 노자의 물의 철학이다.
그래서 상선 즉 최고선은 물과 같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