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온갖 법은 스스로 성립되는 일이 없다

2020. 3. 14. 11:10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온갖 법은 스스로 성립되는 일이 없다



7. 온갖 법은 스스로 성립되는 일이 없다  


여러분은 이제 이 <우주 삼라만상이 오직 '마음'뿐이라>는 것을

분명히 밝혀냈습니다. 이것이 곧 '마지막 깨달음'이에요.

이 경지에 이르면, 이른바 '진여본체'(眞如本體)까지도 한갓 방편으로 설해진

'빈 말'일 뿐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지면서, 나아가 저 산하대지 삼라만상은

물론이고, 이 모든 것을 껴잡고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허공'도, 또 '찰칵 찰칵'

비정하게 흘러만 가는 '시간'도, 이 모두가 몽땅 이 '한 마음' 가운데로 녹아

사라집니다.


기신론소(起信論疎)에 이르기를,···

『온갖 법은 결코 법이 스스로 성립되는 일이 없고, 오직 '마음'만으로 굴려질

뿐이다. 이것으로도 '마음'으로 인하여 온갖 법이 성립되는 줄 알겠거늘,

'법'이 어찌 '마음'이 아니겠는가.』라고 했어요.


그러니 이 '마음'이 얼마나 위대한 존재입니까?

 '한 생각'으로 이 우주를 능히 펼쳐내는가 하면, '한 생각'으로 몽땅 거두어서

무(無)로 돌리기도 하고, 이것이 바로 <'부처'의 세계>예요.

··· '절대공간'과 '절대시간'이라는, 말 그대로 절대한 이 '개념의 감옥'에 철저히

갇혀서 살아가는 범부들에게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사실이 아닙니까?

범부의 분상(分上)에서 보면 차라리,

「'물질'만이 유일한 실재(實在)요, 그것만이 확실하게 믿고 의지할 만한 존재이며,

'마음'이란 이 물질세계에서 가물거리며 항상 요사스럽게 변하는 전혀 믿지 못할

존재다」라고 주장하는 유물론자들의 말이 훨씬 친숙하겠지요.

그러나 조금만 잘 생각해 보면, 이들 유물론자들의 그 땡삐 같은 주장도 결국은

그 '마음'으로 궁리해낸 것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니지 않겠어요?

그렇다면 결국 그들 자신의 주장대로, 그들이 주장해 마지않는 그 '유물론'이라는

것도 전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는 걸 그들 자신이 목청 높여 강조하고 있는

셈이니, 참 우스운 이야기 아닙니까?

하지만 이런 논의도 벌써 빛 바랜 낡은 이야깁니다. 20세기 초엽에 들면서

현대과학은 '물질'에 대한 철저한 구명(究明) 끝에 이 '물질'이 바로 다름 아닌,

사람이 '마음'으로 지어낸 것임을 순전히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기에 이르렀으니,

이제 좋건 싫건 이 유사 이래의 난삽한 명제는 결판난 셈입니다.


여기서 우리 불자들은 이 '부처'라는 이름에 전통적으로 따라붙는 그 토속적인

선입견을 철저히 불식해야 할 필요를 느낍니다. 이건 비단 불자들만의 일이

아닙니다만,

― '부처'란 결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선 분명히 깨달아야 합니다―

이 '부처'란 산스크리트 어로는 '붓다'(Buddha)요, 우리말로는 '깨달음의

본체'(覺體), '신령한 깨달음의 성품'(靈覺性)이라고 새깁니다.

'깨달음의 성품'(覺性)은 바로 '마음의 성품'(心性)이요,

따라서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하는 겁니다.

그러므로 '마음'이 있는 생령(生靈)이면 누구나 다 '부처'죠. 따라서 '부처'는

여러분이 믿고 받들어야 할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여러분 자신이 바로 '부처'인 겁니다.

··· 이 몸을 '나'라고 알고, 또 이렇게 알음알이를 굴리면서 생각하는, 이것을

'내 마음'이라고 알고, 더우면 덥다고 알고, 추우면 춥다고 아는, 이 '앎의 성품'

(知性)이 바로 '부처'인 거예요. 그러니까 이 '마음'이 곧 그대로 '부처'요,

이 '마음'의 지각작용이 '불사'(佛事), 즉 '부처의 사업'인 거예요.

어느 것 하난들 예외가 있겠어요? ··· 때로는 어리석기도 하고, 때로는 지혜롭기도

하고, 또 때로는 거칠기도 하고, 때로는 부드럽기도 하고, 때로는 성인의 모습을

나투는가 하면, 때로는 범부의 모습을 나투기도 하고, 또 때로는 산과 강과

대지와 같은 무정물을 나투기도 하고, 때로는 꼬물꼬물하는 미물에서부터 만물의

영장인 인간에 이르기까지 온갖 유정물을 나투기도 하고, 또 이것들을 하나 하나

따로따로 나투기도 하고, 한꺼번에 나투기도 하고,

··· 이렇게 다만 시절과 인연을 따르면서 <무수히 많은 요술 같은 몸>(千百億化身)을

나투지만, 막상 그 자체는 도무지 '정한 성품'도 없고, '작용'도 없는, 이것이 바로

'부처'인 거예요. 그래서 '붓다'는 말하기를,

「'부처의 법'(佛法)은 정한 법이 없다」고 한 겁니다.


··· '마음'은 이 <안>에 있으면서 저 <밖>에 있는 '사물'을 관찰하고 지각(知覺)하는

것인 줄로만 철석같이 믿고 있는 사람들에겐 실로 꿈과 같은 이야기가 아닙니까?

그러나 실은 「이 '마음'이 능히 일체만유를 지어낸다」(一切唯心造)고 한,

이 말이 꿈인 것이 아니고, 사람들이 실상(實相)이라고 믿고 있는 이 세상살이가

바로 꿈인 겁니다.

그러므로 이 「'꿈'과 같다」는 말은, 그것이 <제 마음이 지어낸 것임을 알지 못하고>,

저 바깥에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인 줄로 오인해서 중생들이 집착을 일으킬까봐

하는 말이지, 결코 그것들을 무시하고 털어버리라고 하는 말이 아니라는 걸 꼭

명심해야 합니다.

어느 것 하난들 '불사'가 아니고, 어느 것 하난들 '부처'가 아니겠습니까?


지공(誌公)은 다음과 같이 송(頌)했습니다.


 '거룩한 도'(聖道)는 항상 눈앞에 있건만
 눈앞에 있다 해도 보기는 어렵구나.
 '도'(道)의 진정한 '본체'(本體)를 깨달으려면
 모름지기 '빛깔'과 '소리', 그리고 '언어'를 제하지 말라.


 '언어' 그대로가 바로 '거룩한 도'이니
'번뇌'를 없앨 필요도 없다.
 '번뇌'는 본래 비고 고요한 것인데
 다만 '허망한 생각'이 서로 얽힐 뿐이다.


온갖 것 모두가 그림자나 메아리 같아서
 어느 것이 좋고, 어느 것이 나쁜지를
 나는 알지 못하노라. 


- 대우거사의 <그 곳엔 부처도 없다> 중에서



 

 

편안하게 듣는 중년 가요

♣ 그리운얼굴 ... 유익종
♣ 님의 향기 ... 김경남
♣ 가을사랑 ... 신계행
♣ 잃어버린우산 ... 우순실

♣ 아름다운인연 ... 장철웅
♣ 가로수 그늘 아래서면 ... 이문세
♣ 홀로가는길 ... 남화용
♣ 성아의 이야기 ... 백영규

♣ 꿈이여도 사랑할래요 ... 임지훈
♣ 어느산골소년의 사랑이야기 ... 예민
♣ 사랑은 아프지 않아도 눈물난다 ... 유영민
♣ 여인들의 이야기 ... 임수정

♣ 러브 ... 윤현석
♣ 바람에 실려 ... 하남석
♣ 그날 ... 김연숙
♣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 ... 차중락

♣ 애정의 조건 ... 김태정
♣ 미련 ... 장혁
♣ 아디오 ... 양파
♣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경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