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광스님의 유식심리학 특강 17~18회

2022. 10. 17. 23:1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유식사상

728x90

신비체험

또 유식종(唯識宗)에서는 사선근위(四善根位)의 하나하나에 있어서
주관(主觀)과 객관(客觀)이 가유(假有) 실무(實無)임을 관(觀)하기 위해,
각각 명득정(明得定)(환위(煥位)) ㆍ
명증정(明增定)(정위(頂位))-
인순정(印順定)(인위(忍位))-
무간정(無間定)(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가행위
갈등이 아닌 조화단계

유식 28송은 통달위입니다. ‘약시어소연 지도무소득 이시주유식 이이취상고’ ‘만약 어느 때에 인식 대상에 대해서 지혜로 전혀 얻는 바가 없을 때 유식성에 주하게 된다. 이취의 모습을 떠났기 때문이다.’입니다. 유식의 본질, 본성, 원성실성에 들어간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