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7. 17. 16:47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염불 불보살 이야기
기독경에서 못 푼 의문 불교에서 찾다김일수 씨 ‘위없이 심히 깊은 미묘법이여’ 출간 |
몇 해 전 불교공부가 꽤 깊었던 한 대학교수가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 써내려간 시집이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었다. 그는 통곡하는 아내를 향해 ‘오직 깨달음을 이루는데만 매진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 글은 유언이 아니라 법문이었다. 불교를 제대로 배우고 공부하면 죽음을 앞두고도 한 치의 흔들림이 없음을 그는 말이 아니라 몸으로 실제 보여주고 재가자로서는 드물게 사찰에서 몸을 벗었다.
책은 그가 종교사이트에 남긴 글을 모은 것이다. 기독교 사이트에서 기독교인들의 잘못된 불교관을 깨우쳐 주기 시작했던 글이 모여 몇 권의 책 분량이 되었다. 종교 논객들의 사이트에 갑자기 등장한, 심오하면서도 유려한 그의 글에 사람들은 감히 대꾸를 하지 못하고 지켜만 보았다. 그는 자신 때문에 사이트가 침체되자 그곳을 나와 자신만의 방을 꾸민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글을 읽고 토론했다. <왼쪽 사진> 김일수 글, /도피안사 출판 ‘위없이 심히 깊은 미묘법이여’ 표지. 사이트 이름은 ‘유마와 수자타의 대화’이다. 책 이름도 똑 같다. <위없이 심히 깊은 미묘법이여>는 첫째권이다. 앞으로 네 권까지 나온다. 책은 유마와 수자타의 대화체 형식이다. 수자타가 묻고 유마가 의문에 답하는 식이다. 유마는 그 자신이며 수자타는 한 때 천주교 신자였다가 불교에 귀의해 유마가 이름을 지어주었다. 깨달음에 대해 “중생의 눈귀코혀몸뜻을 가지고 깨달음을 얻는데, 이 모든 것을 다 갖추고 있으면서도 아직 깨달음을 얻지 못한 이유는 ‘그것’을 가지고 놀고 먹는데 쓰기 때문”이라며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을 알고 접촉하고 생각하는 것외에 달리 다른 것이 있으면 내 놓아 보라”고 다시 묻는다. 이처럼 생생한 비유를 통해 불교의 여러 의문을 풀어준다. “이 아들의 목숨을 원통히 여겨 어머님이 부처님을 비방하고 원망하신다면 저의 죄는 아마 지옥에 들어가고도 남을 것입니다. 어머니 부디 그러한 견해를 짓지 마소서. 다른 형제들에게도 부디 그런 견해를 짓지 말도록 권면해 주세요. 태어날 때는 순서 있게 태어나지만 갈 때는 순서대로 가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사람의 목숨은 길고 짧음이 스스로의 업보에 기인하는 것입니다. 저는 아마도 지난 생애와 또 확실히는 금생에 많은 살생의 업을 뜻과 몸과 마음으로 지었기에 지금 스스로의 목숨으로 갚는 것일 뿐입니다”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염불 불보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함경中에서 (0) | 2008.07.19 |
---|---|
말과 침묵 (0) | 2008.07.18 |
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 (0) | 2008.07.17 |
부처님 말씀 (0) | 2008.07.12 |
일야현선경 (0) | 200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