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신 품 (愛身品)

2008. 7. 18. 21:1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법구경

728x90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애 신 품 (愛身品) 옛날, 다마라 라는 나라가 있었고 그 성의 七리밖에 절이 있었다. 五백 명 사문들은 항상 거기서 경전을 읽고 도를 닦았다. 어떤 늙은 비구가 있어 이름을 마하로라 하였다. 그는 사람됨이 우둔하여 五백 도인들이 돌려가면서 가르쳤으나, 여러 해 동안에 한 게송도 외우지 못하였다. 여러 사람들은 그를 없으이 여겨 같이 어울리지 않고, 항상 절을 지키면서 청소나 하라 하였다. 그 뒤 그 나라 왕이 도인들을 청하여 궁중에 들어가 공양하게 되었다. 그 때 마하로 비구는, 『나는 이 세상에 나서 이처럼 우둔하여 게송도 외우지 못하므로 남의 천대 를 받는다. 살아서 무엇하랴.』 하고, 노끈을 가지고 뒷동산 큰 나무 밑으로 가서, 목을 매어 자살하려 하였다. 부처님은 도의 눈으로 멀리서 그것을 보고 나무신(樹神)으로 화(化)하되, 반쯤 사람 몸을 나타내어 그를 나무라며 말씀하셨다. 『오오 비구여, 왜 그런 짓을 하느냐.』 마하로는 곧 자기 마음 속의 괴로움을 하소연하였다. 허깨비 신은 다시 말하였다. 『그런 짓을 말고 우선 내 말을 들으라. 과거 카아샤파부처님때, 너는 삼장 (三藏) 사문이 되어 五백 명 제자를 거느리고 있으면서, 스스로 지혜가 많다 하고 사람들을 없으이 여겨 경전의 이치를 아껴 조금도 남에게 가르치지 않았 었다. 그래서, 세상에 날 때마다 모든 감관이 우둔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나무랄 뿐이다. 왜 스스로 몸을 해치려 하는가.』 그리하여 부처님은 광명 모습을 나타내시고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사람이 만약 제 몸 사랑하거든 모름지기 삼가 자기를 보호하라. 지혜를 구하여 가지려 하거든 바른 법을 배우되 쉬지 말라. 무엇보다 제 몸이 제일이니라. 언제나 스스로 힘써 배우고 남을 가르쳐 이롭게 하되 게으르지 않으면 지혜 얻으리. 먼저 제 몸을 바로 하는 것 공부하고 그 다음에 다른 사람 바로 하도록 하라. 내 몸을 다루어 지혜에 들어가면 반드시 훌륭하게 되리라. 먼저 제 몸 이롭게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 먼저 이롭게 하랴. 마음이 고르고 몸이 바르게 되면 그 어떤 소원인들 이루지 못하리. 원래 내 몸으로 지은 업이라 뒤에 가서 스스로 그 갚음 받는다. 악을 행하여 제 몸을 부수는 것 금강석이 구슬을 뚫는 것 같네.
    마하로는 부처님의 광명 모습을 보자 기쁘면서도 슬프고 송구스러워, 머리를 조아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게송의 이치를 생각하면서 선정에 들었다가 이 내 부처님 앞에서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 그리하여 전생의 무수한 세상 일을 생각할 때, 삼장의 많은 경전들이 모두 꿴 듯이 그 마음에 있었다. 부처님은 마하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가사를 입고 바리를 가지고 왕궁에 들어가 공양할 때 五백 명 도인들 의 웃자리에 앉으라. 도인들은 모두 전생에 너의 五백 제자다. 그리고 네가 설법하여 그들로 하여금 모두 다 도의 자취를 얻게 하고 또 국왕으로 하여금 죄와 복이 있다는 것을 확실히 믿게 하라.』 그는 부처님 분부를 받들고 그 길로 궁중으로 들어가 맨 웃자리에 앉았다. 여러 사람들은 화를 내고 까닭을 괴상히 여겼다. 그러나 왕의 뜻을 받들기 위 하여 감히 꾸짖지는 못하였지만 아무 것도 모르는 우둔함을 생각할 때, 법시 (法施)를 받는 마음이 그 때문에 피로 해졌다. 왕은 음식을 내어 손수 진지하였다. 공양을 마치고 마하로는 곧 그들을 위해 설법하였다. 그 음성은 우뢰처럼 울리고 맑은 법어(法語)는 비처럼 쏟아졌다. 그 자리의 도인들은 모두 놀라며 스스로 뉘우쳐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 그의 설법을 왕은 모두 해독하였고 신하들과 관리들고 모두 스로타아판나의 도 를 얻었다.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속 품 (世俗品)  (0) 2008.07.18
애 신 품 (愛身品) 2  (0) 2008.07.18
노 모 품(老耗品) 2  (0) 2008.07.18
노 모 품(老耗品)  (0) 2008.07.18
도 장 품(刀杖品) 2  (0) 2008.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