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 옹호품(擁護品)

2008. 7. 18. 22:04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반주삼매경

728x90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 8

 

    제8 옹호품(擁護品) 발타화보살·나트나카라보살·교일도보살·나라다트보살·산드히보살·마하 수살화보살·인저달보살·화륜조보살이 부처님께서 설하신 모습을 친견하였 다. 이 여덟 보살은 모두 크게 환희하여 오백 벌의 겁파육주18)의 비단옷과 보배로써 보시하였으며, 몸을 바쳐 스스로 귀의하여 부처님께 공양하였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시기를, '이 발타화 등 오백 보살은 사람들 중의 스승으로서 항상 정법을 지니며, 모여서 가르침에 따라 환희하지 않는 자가 없느니라. 즐거운 마음[歡樂 心], 때를 따르는 마음[隨時心], 청정한 마음, 욕심을 버리는 마음 등이 있느니라.' 이 때에 오백의 대중이 모두 차수하고 부처님 앞에 일어섰다. 발타화보살이 부처님께 여쭈기를, '보살은 몇 가지 일을 가져야 이 삼매를 얻겠습니까?' 천중천이신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보살은 네 가지[四事]가 있으면 속히 삼매를 얻느니라. 무엇이 넷인가 하면, 첫째 외도를 믿지 않는 것이며, 둘째 애욕을 끊는 것이며, 셋째 법과 같이 행하는 것이고, 넷째 다음 생을 탐하지 않는 것이니, 이 네 가지로 보 살은 속히 삼매를 얻느니라.' 부처님께서 발타화에게 이르시기를, '만약 어떤 보살이 이 삼매를 배우고 나서 혹은 지니거나 독송하거나 지 킨다면 금생에 곧 오백 가지의 공덕을 스스로 얻느니라. 비유컨대 발타화여, 자비심이 있는 비구는 끝내 독이 해치지 못하고, 병 사가 해치지 못하며,불이 능히 태우지 못하고, 물에 빠지더라도 죽지 아니 하고, 제왕이라 할지라도 그를 해치지 못하느니라. 이와 같이 보살이 이 삼 매를 지키면 마침내 독이 해치지 못하고, 병사가 해치지 못하며, 불이 능히 태우지 못하고, 물에 빠지더라도 죽지 아니하고, 제왕이라 할지라도 그 를 해치지 못하느니라. 비유컨대 발타화여, 겁이 다하여 타서 없어질 때에도 이 삼매를 지닌 보 살은 설사 불 속에 떨어진다고 할지라도 불이 곧 소멸되기가 마치 큰 항아 리의 물로써 작은 불을 끄는 것과 같느니라.' 부처님께서 발타화에게 이르시기를, '내가 설한 바는 다름이 없느니라. 이 보살이 삼매를 지니면 혹은 제왕, 도둑, 물, 불, 용, 뱀, 야차, 맹수, 이무기, 교룡, 사자, 호랑이, 늑대, 개, 사 람, 사람인 듯 하나 사람 아닌 것, 원숭이, 아귀, 구원귀신(鳩洹鬼神)들이 사 람을 희롱하려 하고, 죽이려 하고, 사람의 발우와 침구를 뺏으려 하고, 사람 의 선정을 깨려 하고, 사람의 일념을 방해하려 하거나 설사 이 보살을 그렇 게 하려고 해도 끝내 해칠 수가 없느니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말한 것과 다름이 없으니, 숙세에 지어서 받아야 할 것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는 받지 않느니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말한 것과 다름이 없으니, 만약 보살이 이 삼매를 지닌다면 결코 눈 병이 나지 않으며, 혹은 귀·코·입 등 몸에 병이 없으며, 마음에도 근심이 없 고, 액난도 없을 것이니라. 이 보살이 혹은 죽거나 죽음에 임박하여서도 만 약 근심이 있다고 하면 부처님 말씀이 틀린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그가 숙 세에 지은 업에 대해서는 예외가 되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이 보살에 대하여 모든 하늘과 용과 야차와 아수라와 가 루라귀신(迦留羅鬼神)·긴나라귀신(眞陀羅鬼神)·마후라가귀신(摩羅迦鬼 神) 혹은 사람이나 사람이 아닌 것들도 모두 이 보살을 칭찬하였으며, 천중 천의 제불도 모두 이 보살을 칭찬하였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이 보살에 대하여 모든 하늘과 용들과 사천왕과 석제환인 과 범중천, 범륜천, 대범천 등 세 범천이 모두 이 보살을 옹호하느니라. 야 차귀신·건달바귀신[乾陀羅]·아수라귀신·가루라귀신·긴나라귀신·마후라가 귀신 혹은 사람인 듯 하나 사람이 아닌 것들이 다 함께 이 보살을 옹호하며, 천중천인 제불도 다 함께 이 보살을 옹호하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이 보살은 모든 하늘이 경애하고 모든 용·야차귀신·건달 바귀신·아수라귀신·가루라귀신·긴나라귀신·마후라가귀신과 혹은 사람인 듯 하나 사람 아닌 것 것들이 다함께 이 보살을 경애하며, 천중천이신 제불 도 모두 애욕이 없는 도의 공덕[道德]을 가졌으므로 이 보살을 경애하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모든 하늘이 이 보살을 보고저 하며, 모든 용·야차귀신·건 달바귀신·아수라귀신·가루라귀신·긴나라귀신·마후라가귀신 혹은 사람인 듯 하나 사람 아닌 것들이 모두 즐거운 마음으로 이 보살을 보고저 하느니 라. 천중천이신 제불이 모두 각각 이 보살로 하여금 그 곳에 가도록 하니 이는 인민 때문에 가게 하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이 보살과 모든 하늘이 모두 그 곳에 이르느니라. 모든 용·야차귀신·건달바귀신·아수라귀신·가루라귀신·긴나라귀신·마후라가귀 신 혹은 사람인 듯 하나 사람 아닌 것들이 모두 그 곳에 와서 서로 보게 되 느니라. 천중천이신 제불과 보살은 다만 낮에 보일 뿐만 아니라 밤에 꿈 속 에서도 보이느니라. 혹은 제불의 모습을 보거나 또는 제불이 각각 스스로 그 명호를 말씀하시느니라. 또한 발타화여, 이 보살이 경을 독송하지도 않았고 전에 이 경의 이름조 차도 들은 바가 없으나 보살은 이 삼매의 위신력으로 꿈 속에서 스스로 그 경전의 이름을 얻어 각각 다 보고 경의 소리를 다 듣느니라. 만일 낮에 얻지 못했으면 밤에 꿈 속에서라도 다 보게 되느니라. 부처님께서 발타화에게 이르시기를, 혹은 일 겁, 또다시 일 겁을 더 지나더라도 내가 이 보살이 삼매를 지니는 것에 대하여 설하고, 또 그 공덕에 대하여 설하더라도 다하지 못하는데, 하 물며 어떻게 힘써 이 삼매를 구함에 있어서랴. 부처님께서 이 때 게송으로 말씀하시기를,
        만약 보살이 부처님께서 설하신 삼매적정의 뜻을 배우고 독송하여 설사 그 공덕을 찬탄하고자 할지라도 비유컨대 이는 항하의 모래 한 알을 줄이는 것과 같네. 칼이나 창으로도 상처내지 못하고 도적이나 원수라도 해치지 못하며 국왕과 대신이 기쁘게 대할 것이니 이 삼매 배우면 이와 같음 얻으리. 독사가 독을 품으면 참으로 두려우나 저 수행자 보면 독이 속히 제거되어 다시는 성내어 악한 기운 내뿜지 않나니 이 삼매 독송하면 이와 같음 얻으리 원수와 싫어하는 사람 능히 대적치 못하며 하늘·용·귀신·긴나라 그 위엄스러운 빛을 보고 침묵하니 이 삼매 배우면 이와 같음 얻으리. 산과 들의 이리와 이무기 사자·호랑이·사슴·원숭이들도 해칠 마음 없어 독을 감추고 모두 와서 친히 이 수행자 옹호하네. 아주 나쁜 귀신이 사람의 혼 가지고 제천과 인민을 해치려는 마음 품을지라도 그 위신력에 감화되어 자연히 항복하나니 이 삼매 배우면 이와 같음 얻으리. 그 사람 병들지 않아 고통 없고 귀와 눈이 총명하여 막힘 없으며 언변과 지혜 특히 뛰어나니 삼매 행하는 자 속히 여기에 이르리. 그 사람 끝내 지옥에 떨어지지 않으며 아귀도와 축생 벗어나 세세에 태어난 숙명 아나니 이 삼매 배우면 이와 같음 얻으리. 귀신·건달바가 함께 옹호하고 제천·인민도 이와 같으며 아수라·마후라가 또한 그러하니 이 삼매 행하면 이와 같음 얻으리. 제천이 실로 함께 그 공덕 노래하고 천·인·용·귀신·긴나라 제불도 찬탄하여 소원대로 되게 하며 외우고 경 설하니 사람 위함일세. 그 사람 도 닦는 마음 물러남 없고 법의 지혜로운 뜻 다함이 없으며 용모 아름다워 견줄 데 없으니 이 경 외우고 익혀 사람들 교화하네. 나라끼리 서로 싸워 백성은 어려워지고 굶주림이 끊임없어 고난에 쌓여도 끝내 그 목숨 일찍 잃지 않나니 능히 이 경 독송하고 교화하는 사람일세. 용맹스럽게 모든 마군 항복받아 마음에 두려움 없어 머리털 서지 않으며 그 공덕 다 헤아릴 수 없을지니 이 삼매 행하면 이와 같음 얻으리. 요사스런 방술·마술·부적 더럽고 삿된 도와 부정한 행위들이 끝내 그 몸 속에 들지 못할지니 불법 좋아함으로써 근본을 통달했기 때문일세. 일체 다함께 그 공덕 노래하니 공혜(空慧) 구족하신 불존자 그런 후 당래 최후말세에 이 경 손수 얻음이 이와 같으리. 항상 정진하여 환희용약하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기쁘게 이 법 받들며 경전 수지하며 강설하고 독송해야 하나니 지금 나는 이로써 그들을 위해 설하노라.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반주삼매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 제불품(諸佛品)  (0) 2008.07.18
제9 찬라야품(찬羅耶佛品)  (0) 2008.07.18
제7 수결품(授決品)  (0) 2008.07.18
제6 사배품(四輩品)  (0) 2008.07.18
제5 무착품(無着品)  (0) 2008.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