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심법요 (傳心法要)
21.모양 있는 것은 허망하다
“부처님께서 중생을 제도하십니까?”
“정말로 여래께서 제도할 중생은 없느니라.
나[我]도 오히려 얻을 수 없는데 나 아님이야 어찌 얻을 수
있겠느냐!
부처와 중생을 모두 다 얻을 수 없느니라.”
“현재 부처님의 32상(相)과 중생 제도가 분명히 있는데
스님께서는 어찌 없다고 말슴하십니까?”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무릇 모양이 있는 존재는 모두가
허망하니, 만약 모든 모양을 보되 모양이 아닌 줄을 알면
곧 여래를 보게 되느니라’고 하셨다.
부처니 중생이니 하는 것은 모두 네가 허망하게 지어낸
견해로서, 오로지 본래의 마음을 알지 못한 탓으로 그 같은
잘못된 견해를 내게 된 것이니라.
부처의 견해를 내는 순간 바로 부처에 끄달리고, 중생의
견해를 내는 순간 중생에 끄달린다.
범부다 성인이다 하는 견해를 내고, 더럽느니 깨끗하다느니
하는 견해를 내는 등이 모두 그 장애를 받느니라.
그것들이 너의 마음을 가로 막기 때문에 결국 윤회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원숭이가 무언가를 들엇다 놨다 하느라고
쉴 때가 없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진정한 배움이란 모름지기 배울 것이 없어야 한다.
범부도 성인도 없고 깨끗함도 더러움도 없으며, 큼도 없고
작음도 없으며 번뇌도 없고 인위적 작위도 없다.
이와 같은 한 마음 가운데서 바야흐로 방편으로 부지런히
장엄하는 것이다.
설혹 네가 3승 12분의 가르침과 모든 이론들을 배운다
하더라도, 그 모든 것을 다 버려야 한다.
그러므로 ‘가진 것을 모조리 없애 버리고 오직 침상 하나만을
남겨 두고 병들어 누워 있다’고 한 말은
바로 모든 견해를 일으키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한 법도 가히 얻을 것이 없어서 법의 장애를 받지 않고,
삼계의 범, 성의 경계를 훌쩍 벗어나야만 비로소
세간을 벗어난 부처님이라고 하느니라. 그러므로 말하기를
‘허공처럼 의지할 바 없음에 머리숙여, 외도의 굴레를
벗어나는도다’고 하였다.
마음이 이미 다르지 않기 때문에 법 또한 다르지 않으며,
마음이 하염 없으므로 법 또한 하염이 없다.
만법이 모두 마음으로 말미암아 변한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마음이 비었기 때문에 모든 법이 공하며,
천만 가지 중생들도 모두 다 같은 것이다.
온 시방의 허공계가 같은 한마음의 본체이니, 마음이란
본래 서로 다르지 않고 법 또한 다르지 않건만,
다만 너의 견해가 같질 않으므로 차별이 있게 되느니라.
비유하면 모든 하늘사람들이 다 보배 그릇으로 음식을 받아
먹지만 각자의 복덕에 따라 밥의 빛깔이 다른 것과 같다.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실로 작은 법도 얻은 것이 없으니,
이것을 이름하여 무상정각이라 한다.
오로지 한 마음일 뿐, 실로 다른 모양이 없으며, 또한
광채가 빼어날 것도 없고 나을 것도 못할 것도 없다.
나을 것이 없기 때문에 부처라는 모양이 없고, 못할 것이
없기 때문에 중생이라는 모양이 없다.”
“마음이야 모양이 없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어찌 부처님의
32상(相) 80종호(種好)와 중생을 교화하여 제도하는 일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32상은 모양에 속한 것이니, ‘무릇 모양 있는 것은 모두
허망하다’라고 한 것이요,
80종호는 색깔에 속한 것이니, ‘만약 겉 모습으로 나를
보려 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 것이니 여래를
볼 수 없느니라’고 하신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