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시절이 그립다/법정스님

2008. 10. 14. 10:31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728x90
 

 

 

 

가난한 절이 그립다


옛 스승은 말씀하셨다.


'도를 배우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가난해야 한다.

가진 것이 많으면 반드시 그 뜻을 잃는다.

예전의 출가 수행자는

한 벌 가사와 한 벌 바리때 외에는 아무 것도 지니려고 하지 않았다.

사는 집에 집착하지 않고, 옷이나 음식에도 생각을 두지 않았다.

이와 같이 살았기 때문에 오로지 도에만 전념할 수 있었다.'


이런 법문을 대할 때마다 나는 몹시 부끄럽다.

지금 내가 지니고 있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누구나 할 것 없이,

한 생각 일으켜 살던 집에서 뛰쳐나와 입산 출가할 때는 빈손으로 온다.

이 세상에 처음 올 때 빈손으로 오듯이,

이 절 저 절로 옮겨 다니면서 이런 일 저런 일에 관계하다 보니

걸리는 것도 많고 지닌 것도 많게 된 것이다.

지닌 것이 많을수록 수행의 길과는 점점 멀어진다.


출가 수행승을 다른 말로는 '비구'라고 한다.

산스크리트에서 음으로 옮겨진 말인데 그 뜻은 거지乞士다.

인도에서 모든 수행자들은

전통적으로 음식을 탁발에 의해 얻어먹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일반 거지와는 달리 빌어먹으면서도 그 지향하는 바가 다르다.

밖으로는 음식을 빌어 육신을 돕고,

안으로는 부처님의 법을 빌어 지혜 목숨慧命을 돕는다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이와 같은 거지들이 모여 사는 곳이 절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옛날과 한결같을 수 없는 것은 수행자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시대의 어떤 흐름 앞에서라도 그 근본정신을 잃는다면

수행자의 존재 의미는 사라지고 만다.

수행자들이 사는 세계를 흔히 출세간出世間이라고 하는데,

생활양식이 세속이나 다름이 없다면 굳이 출세간이라고 말할 것이 무엇인가.


오늘날 산중이나 도시를 가릴 것 없이

수행자가 분수에 넘치고 흥청거리는 것을

뜻있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지적해 온 바다.

나라 안이 온통 경제 위기로 인해

일터를 잃은 실업자가 무수히 거리로 쏟아져 나오고,

살길이 막막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이 늘어만 가는 지금

이런 참담한 현실을 망각한 채 씀씀이를 함부로 하면서 흥청거릴 때인가.


지난 봄, 볼 일이 생겨

몇 차례 내가 예전에 살던 절에 가서 2, 3 일씩 묵고 온 적이 있다.

내가 혼자서 조촐히 살던 때와는 달리

모든 것이 넘치고 있는 것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시주의 물건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그들은 모르고 있었다.


옛 스승들은 한결같이 가르치신다.

배고프고, 가난한 데서 수행자의 보리심이 싹트는 것이라고,

시주의 은혜를 많이 입으면 그 무게에 짓눌려 제정신을 차리기가 어렵다.

 

 


휴정선사도 그의 <선가구감>에서 출가 수행자에게 간곡히 타일렀다.


'출가하여 수행자가 되는 것이 어찌 작은 일이랴.

편하고 한가함을 구해서가 아니며,

따뜻이 입고 배불리 먹으려고 한 것도 아니며,

명예와 재물을 구해서도 아니다.

생사를 면하려는 것이며,

번뇌를 끊으려는 것이고,

부처님의 지혜를 이으려는 것이며,

갈등의 수렁에서 뛰쳐나와 중생을 건지기 위해서다.'


가난한 절에서 살고 싶은 것이 내 소원이요, 염원이다.

보다 단순하고 간소하게 사는 것이 수행자로서 본질적인 삶이라고

나는 믿고 있기 때문이다.


한 시주의 갸륵한 뜻으로 길상사를 세워 개원하던 날,

나는 대중 앞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요즘 절과 교회가 호사스럽게 치장하고 흥청거리는 것이

이 시대의 유행처럼 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 절만은 가난하면서도

맑고 향기로운 청정한 도량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어떤 종교 단체를 막론하고

그 시대와 후세에 모범이 된 신앙인들은 하나같이 가난과 어려움 속에서

믿음의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상기시켰다.

또한 이 절은 불자들만이 아니라 누구나 부담없이 드나들면서

마음의 평안과 삶의 지혜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사석에서 몇 차례 밝힌 바 있듯이,

내 자신은 시주의 뜻을 받아들여 절을 일으키는 일로써 할 일은 끝난 것이다.

운영은 이 절에 몸담아 사는 사람들이 알아서 할 일이다.

절을 세우는 데에 함께 동참한 크고 작은 시주들에게

나는 늘 고마움을 간직하고 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는 마음에서 기꺼이 참여한 시주의 공덕은

이 도량이 지속되는 한 결코 소멸되지 않을 것이다.


이 기회에 한 가지 밝혀 둘 것은,

절은 어떤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종단의 공유물이라는 사실이다.

시주가 이 도량을 나에게 의탁하여 절을 만들었다고 해서

어찌 내 개인의 절일 수 있겠는가.

길상사가 마치 내 개인 소유의 절인 줄로 알고

그동안 경향 각지의 많은 사람들이 물질적인 도움을 청해 올 때마다

나는 참으로 곤혹스러웠다.

낱낱이 응답을 못 해드린 점 이해해주기 바란다.


현재 내가 몸담아 사는 산중의 오두막은 여러 가지로 불편한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곳에서 단순하고 간소하게

내 식대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일곱 해째 기대고 있다.

어디를 가보아도 내 그릇과 분수로는 넘치는 것을 감당할 수가 없어,

나는 이 오두막을 거처로 삼고 있는 것이다.


거듭 밝히는 바이지만 나는 가난한 절이, 청정한 도량이 그립고 그립다.

 

1998  - 법정의 오두막 편지 중 '안으로 귀 기울이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