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진주 송보살의 극락왕생 (청담스님 글)

2009. 9. 18. 00:5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금강경

728x90

경상남도 진주 송보살의 극락왕생 (청담스님 글)

[청담(靑潭)스님 /조계종 통합종단 2대 종정] 


경상남도 진주에 가면 송보살이라고 내가 어려서 봤는데 길가에 다니다가 만나서
우리가 「어디가십니까?」 인사를 하면 「응」하고 사람은 쳐다보지도 않고
그대로 가기만 하는 그런 여자가 한 분 있었습니다.

내가 중이 된 뒤 그이가 거진 구십살이나 살다가 돌아가셨는데 그 집이 가난한
살림인데 절에 불공이 있으면 와서 거들어 주고 떡 부수러기나 얻어다 아이들
먹이는 이런 형편입니다. 그렇게 가난하게 살면서도 염불을 자나깨나
하고 있는 그런 보살입니다.

그 분이 돌아가신 뒤에 내가 진주에 가 보니까 시내 연화사(蓮華寺 : 경남 진주시
옥봉동 449번지) 포교당(布敎堂)에 낮설은  탑이 하나 생긴 것을 보고
「이게 무슨 탑이냐.」고 물었더니 이렇게 애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이 송보살이 자기가 죽기 나흘 전에 진주 신도 다 찾아 보면서 「내가 나흘 뒤 저녁을
먹고서 어둑해질 때 가겠스니 부디 염불 잘 하십시오. 나는 먼저 극락세계
가니까 같이 거기 가서 만납니다.」 이런 인사를 하고 다니는데,

사람들은 아마 나이가 하도 많은 노인이라 망녕이 들어서 정신이 좀 이상해진 것
같다고 모두 곧이 듣지를 않고 지나쳐 버렸습니다.

그런데 그날 아침 먹고 나서 손자고 누구고 식구들을 아무데도 못가게 하고는 불러
앉혀 놓더니 「내가 오늘 저녁때 해질 무렵에 간다. 너희들은 부디 딴 짓 하지마라,
극락도 있는 거고 천당도 있고 지옥도 있는 줄 알고 또 사람이 부처가 되는 법이
있으니 잘 명심(銘心)하고 신심으로 살아야 한다.」고 당부를 하더라는 겁니다.

일념으로 마음이 통일이 되어 놓으니까 그 무식한 노인이지마는 밝은 마음의 慧가
열려서 무얼 알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오후가 되니까 가서 물 데워 오라고 해서
목욕을 하고 그리고 새옷으로 갈아 입고는

「너희들 밥 먹고 나서 아무데도 가지 마라. 저녁 일찍 해 먹으라」는 겁니다. 그래서
식구들은 할머니가 뭐 정신이 돌았거나 망녕이 든 것 같지도 않게 태연하고
엄숙하니까 행여나 싶어서 식구들이 모두 시키는 대로 저녁 일찍 해 먹고

모두 아이들도 못나가게 하고 그랬는데 어두워지기 시작하니 요를 펴라고 해서 요를
펴니까 요 위에 앉아서 또 얘기를 합니다.

「이 세상이 다 無常하고 여기는 苦海고 불 붙은 집이고 그러니 아예 방심하지 말고
네 일좀 해야지 맨날 육체 . 몸뚱이 그렇게 가꾸어 줘봐야 갈 때는 헛수고했다고
인사도 안하고 나를 배반하고 가는 놈이며 몸뚱이라는건 그런 무정한 놈이니

그 놈만 위해서 그렇게 살지 말아라. 나도 평생에 염불해서 이런 좋은 수가 있지
않느냐. 구십장수(九十長壽)도 하고 병 안앓고 꼬부러지지도 안하고 그리고 가는
날짜 알고 내가 지금 말만 떨어지면 간다 . 곧 갈 시간이 되었어.
이러니 너희들도 그랬으면 좀 좋겠느냐.

두달이고 일년이고 드러누워 똥을 받아 내고 이래 놓으면 그 무슨 꼴이냐. 너희
한테도 빌어먹을 것도 못 벌어먹고 모자간에 서로 정도 떨어지고 얼마나 나쁘냐.
부디 신심으로 염불도 하고 부디 그렇게 해라.」

이렇게 말한 뒤 살며시 눕더니 사르르 잠든 것처럼 가 버렸는데 그리고 얼마 있다가
그만 그 집에서 광장히 좋은 향내가 나고 또 조금 있으니 서쪽을 향해서 환히
서기방광을 해서 소방대가 불났다고 동원이 되기까지 했다는 겁니다.

불교 신도들이 이 소문을 듣고 송보살이 예언한대로 돌아갔다, 열반을 했다, 이래
가지고 진주 신도라는 신도는 수천명이 모여 와서 송장에 대해서도 부처님같이
생각하고 무수배례(無數拜禮)하고 마당에서 길에서 뜰에서 신도들이 꽉차게

모여 가지고 절도 하고 돈도 내고 이래서 장사를 아주 굉장하게 화장으로 지내는데
사리가 나와서 사리탑을 지어 모셔 놓은 것이 연화사에 있는 낯선 저 탑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나무아미타불 나미아미타불」 그것만 불러도 이렇게 됩니다. 아무 뜻도
모르고 극락세계 갈 거라고 그것만 해도 공덕이 되고 정신통일이 되어
혜(慧)도 열립니다.




출처 : 청담 스님 금강경 대강좌 금강경 지경공덕분 제15 (양우당, 1977년 5월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