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부지단(團團不知團) /혜암선사

2009. 10. 29. 09:59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728x90

                                                                -  중국의 4대 미인 중 <양귀비>

 

 

언어 밖에서 찾다(양귀비와 소옥) 


아름다운 그 맵시, 그림으로 그리지 못하리니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운다.
자주 자주 소옥을 부르지만 소옥에겐 일이 없고
오직 님께 제 소리를 알리려는 뜻이라네.


一段風光畵不成   洞房深處說愁情   일단풍광화불성     동방심처설수정
頻呼小玉元無事   只要檀郞認得聲   빈호소옥원무사     지요단랑인득성 

 

                                          -『소염시(小艶詩)』

 

이 시는 그 유명한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애첩 양귀비(楊貴妃)와

안록산(安祿山)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 밖에서 다른 뜻이 있다는 의미를 찾아 선가에서 매우 빈번하게

인용하여, 깊고 오묘한 선의(禪意)를 언어 밖에서 찾기를 권하는 말로 잘

활용하고 있다.

소염(小艶)이란 처음 피려 할 때의 산뜻하고 아름다운 꽃송이를 뜻하는데,
양귀비를 일컬어서 하는 말이다.

양귀비는 서시, 왕소군, 초선과 더불어 중국의 4대미인 중의 한 사람이다.
양귀비는 현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그러다가 안록산과 눈이 맞아

남몰래 자주 밀회를 하였다. 밀회를 할 때는 언제나 안록산을 부르는 신호로
자신의 몸종인 소옥(小玉)의 이름을 불렀다. 그러면 안록산은 그 소리를

듣고 비밀통로의 문이 열려 있음을 알고 몰래 들어와서 만나곤 하였다.

이 시를 선의(禪意)로써 해석하면 “아름다운 그 맵시, 그림으로 그리려 해도

그리지 못하리니 깊고 깊은 규방에서 애만 태운다.”는 말은 선자(禪者)의

선경(禪境)을 의미한다. 그 도리를 그림으로도 그릴 수 없다.
설명도 되지 않는다. 마음으로 헤아릴 수도 없는 경지이다. 깨달은 이의 저

깊은 마음속에 있는 정경이다.

표현할 길이 없고 알릴 길이 없어 답답하고 한스럽다. 터뜨리고 싶어서

몸살이 나기도 한다. 그래서 누군가에게 말을 걸어도 보고
몽둥이를 휘둘러도 본다.

임제 스님은 군인들의 막사에 재를 지내려고 갔다가, 보초를 서고 있는

졸병을 보고 법거량(法擧揚)을 한 적도 있다. 때로는 공양간에 가서 법을

거량하기도 하고, 지나가는 나그네를 보고 법을 거량하기도 한다.
누구든 말만 걸어오면 일상적인 이야기에도 법을 거량한다.

그러나 선자가 하는 말이나 행동을 그대로 따라가면 그것은 백발백중

어긋난다. 부처를 물었는데 ‘마른 똥 막대기’라고 하였다.
달마가 서쪽에서 온 뜻을 물었는데 ‘뜰 앞의 잣나무’라고 하였다.
또 개가 불성이 있느냐고 물었는데 ‘없다’고 하였다.
불법의 대의를 물었는데 몽둥이로 흠씬 두들겨 팬다.
이러한 선자들의 말이나 행위들은 그 뜻이 다른 데 있다.

마치 양귀비가 소옥을 부르는 것이 소옥에게 있지 않고 안록산에게

있는 것과 같다. 시에서 “자주 자주 소옥을 부르지만 소옥에겐 일이

 없고 오직 님께 제 소리를 알리려는 뜻이라네.”라고 하였듯이.
법은 달을 가르키는 손가락에 있지 않고 달에 있는 것이다.

 

 

 

 

 

 

 단부지단(團團不知團) /혜암선사

 

"단단부지단(團團不知團), 즉 둥글고 둥근 것은 둥근 것을 알지 못하느니라."

 혜암선사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시고 다음 게송을 읊으셨다.


 

안이원래자몰적(眼耳元來自沒迹)   눈과 귀가 원래 스스로 자취 없는데
개중수득오원통(箇中誰得悟圓通)   그 가운데 누가 뚜렷이 깨쳤던고?

공비상처번신전(空非相處飜身轉)   비어서 아무것도 없는 곳에 몸을 뒤쳐 굴리면
견곡려명시활로(犬哭驢鳴是活路)   개 짖고 당나귀 우는 것이 그대로 사는 길이네.

 

 

 

보조 선사께서는 但知不會 是卽見性(단지불회 시즉견성)이라 하였다.

즉, 다만 알지 못할 줄만 알면 이것이 견성이다.

석가모니도 알지 못하였거늘 어찌 가섭에게 전할 수가 있으랴. ..

부처님도 무엇을 알지 못하였는가? 참으로 어려운 문제다.

부처님은 일체지를 갖추신 분인데 무엇을 모른다고 하시는 것인가?

團團不知團(단단부지단) 둥글고 둥근 것은 둥근 것을 알지 못하는가 !

숭산스님은 평생을 <오직 모를 뿐 (only don't know)> 이라 하였다.

 

                                                                          - <三山>법사님 법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