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경치 않아야 하는 이유(明不敬所以)
물음이라.
[어찌하여 부처님과 보살들에게 절을 하지 말라고 하는가요?]
대답이라.
[하늘의 마. 파순(波旬)과 아수라(阿修羅)등이 신통을 나투어
모두가 부처와 보살의 모습을 이루되 갖가지로 변화했기 때문
이니 그는 외도인지라 모두가 부처가 아니니라.]
[부처란 자기의 마음이니 부처에게 잘못 절하지 말라.]
부처란 신령스런 느낌이니 근기에 응하고 중생을 제접하며
눈썹을 끄떡이거나 눈을 깜박이며, 손을 움직이고 발을 옮기는
것이 모두가 자기의 신령스런 느낌의 성품이니라.
성품(性品)이 곧 마음이요, 마음이 곧 부처이며, 부처가 곧
도(道)요,
도(道)가 곧 부처이니, 부처라는 한 글자는 범부(凡夫)가 헤아
릴 바가 아니니라.
또 말하기를
"근본 성품을 보는 것이 부처"라 하니 근본 성품을 보지 못하
면 부처가 아니니라.
설사 천경만론(天經萬論)을 강설하더라도 성품을 보지 못하면
다만 법부일 뿐 부처의 법은 아니니라.
지극한 道는 깊고도 멀어서 말로는 이해할 수 없나니
경전으로 어찌 미칠 수 있으리요.?
근본 성품을 보기만 하면 한 글자도 모를지라도 좋으니라.
성품을 보면 곧 부처이니
성스러운 본체는 본래 청정하여 더러움이 없느니라.
모든 말씀이 모두가 성인의 마음으로부터 일어난 작용이니
작용의 바탕이 본래 공하여 명칭이나 말로도 미칠 수 없거늘
十二부경이 어찌 미칠 수 있으리요.
道는 본래 뚜렷이 이루어졌나니 닦고 증득함이 필요치 않으
며, 道는 소리나 빛이 아니어서 미묘하여 보기 어려우니,
사람이 물을 마시매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가 아는 것 같으
니라.
또 남을 향해 말하지 말지어다.
오직 여래만이 알 수 있고 그 밖의 인간이나 하늘 등의 무리들
은 도무지 깨닫지도 알지도 못하느니라.
범부는 지혜가 미치지 못하므로 겉모습에 집착하나니
자기의 마음이 본래 공적한 줄을 알지 못하고 망념되이
겉모양과 온갖 법에 집착하면 곧 외도의 무리에 떨어지리라.
모든 법이 마음에서 생긴 것임을 알면 집착이 있을 수 없나니
집착하면 알지 못하느니라.
만일 근본 성품을 보면 十二부경이 모두 부질없는 문자니라.
천경만론(千經萬論)이 오직 마음을 밝혔을 뿐이니 말끝에
계합해 알면 교법이 무슨 소용이 있으리요?
"지극한 진리는 말을 떠났고"
교법은 말씀일 뿐이니 진실로 道가 아니니라.
道는 본래 말이 없으므로 말은 허망일 뿐이니라.
꿈에 누각이나 궁전이나 상마(象馬)의 무리나 나무 숲. 못.
정자 등의 모습을 보거든 잠깐만이라도 즐기어 집착할 생각
을 내지 말지니 모두가 "망념(妄念)이" 의탁해서 생기는
곳이니라,
부디 주의할 지니라.
임종할 때에 전혀 형상을 취하지 않으면 곧 의혹을 제하거
니와, "털끝만치의 망념이라도 일으키기만 하면 곧 마에 끄달
리느니라.
법신은 본래 청정하여 느낌이 없건만
다만 미혹한 까닭에 알지도 깨닫지도 못하나니
이 때문에 망념되이 업보를 받는 까닭에
즐기고 집착하여 자유롭지 못하느니라.
지금이라도 본래의 몸과 마음을 깨닫기만 하면
곧 습성에 물들지 않으리라.
성인의 경지에서 범부의 경지에 들어가서
갖가지 잡된 모습으로 나타나 보이는 것은
본래 중생을 위한 까닭이니,
성인의 역. 순.(逆順)에 자제하여
온갖 업이 그를 구속하지 못하느니라.
성인의 지위를 이룬지 오래되어 큰 위덕이 있나니
온갖 종류가 성인의 지휘를 받아 움직이므로
천당과 지옥도 그 "성인"을 어찌하지 못하리라.
범부는 어두워서 성인이 안팎이 밝은 것 같지 못하나니,
만일 의심이 있거든 일으키지 말라.
일으키면 생사의 바다에 헤매어서 후회하여도 구제할 길이
없으리라.
빈궁과 고통이 모두가 망상에서 생겼나니, 만일 마음을 알아서
서로 서로 경책해서 작용하는 티없이 작용하면 곧 부처의
지견(知見)에 들리라.
처음으로 발심한 사람은 정신이 전혀 안정되지 못하나니
꿈속에 자주 이상한 경계를 보더라도 선뜻 의심하지 말
지니다.
모두가 자기의 마음에서 일어났는지라 밖에서 온 것이 아니
니라.
꿈에 광명 솟는 것이 햇빛보다 밝은 것을 보면
나머지 습기가 몽땅 다하고 법계의 성품이 나타나리라.
만일 이런 일이 있으면 부처를 이루는 요인이 되리니 이는
자기만이 알뿐이요, 남에게는 말할 수 없느니라.
혹 고요한 숲 속에서 다니고 멈추고 앉고 눕다가
크고 작은 광명이 눈에 뜨이더라도 남에게 말하지 말며
또 집착하지 말지니 자기 성품의 광명이기도 하니라.
혹 어두운 밤에 다니고 멈추고 앉고 눕다가
낮같은 광명이 눈에 뜨이더라도 괴이하게 여기지 말지니
모두가 자기의 마음이 밝아지려는 징조이니라.
혹 꿈에 별과 달이 분명하게 보이면 이것 또한 자기 마음의
모든 반연이 쉬려는 조짐이니 역시 남에게 말하지 말지어다.
꿈에 어두워서 밤중을 다니는 것 같음을 보면
또한 자기 마음의 번뇌의 장벽이 무겁다는 조짐이니
또한 스스로 알아야 하느니라.
만일 근본 성품을 보았거든 경을 읽거나 염불을 할 필요가
없나니 많이 배우고 널리 아는 것이 별 이익이 되지 못하
고 도리어 정신이 어두워지느니라
교법을 시설해 놓은 뜻은 마음을 표방하기 위한 것인데
마음을 알면 교법을 볼 필요가 없느니라.
만일 범부로부터 성인의 경지에 들고자 한다면
업을 쉬고 정신을 길러서 분수에 따라 세월을 보낼 지어다.
성냄과 기뻐함이 많으면 도와 더불어 어기나니 스스로를
속일 뿐, 이익이 없느니라.
성인은 생사 가운데서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숨고 나타남이
일정하지 않나니 온갖 업이 그를 구애하지 못하며 도리어
삿된 마군들을 무찌르느니라.
중생들이 근본 성품을 보기만 하면 나머지 습기가 몽땅
다하고 정신이 어둡지 않느니라.
참으로 도를 알고자 한다면 한 법에만 집착하지 말고 업을
쉬어 정신을 기를지어다.
나머지 습기가 다하면 자연히 밝아져서 공부를 할 필요가
없느니라.
외도(外道)는 부처의 뜻을 알지 못하므로 공력은 가장 많이
쓰나 부처님의 거룩한 뜻을 거슬리므로 종일토록 서둘러서
염불하고 경을 읽어도 정신이 어두워 윤회를 면하지 못하
느니라.
부처는 한가한 사람이라 어찌 구구할 필요가 있으며
명리(名利)를 널리 구한들 후일 무엇에 쓰리요.
단 성품을 보지 못한 사람은 경을 읽고 염불하며 오래도록
정진을 배우며 하루 여섯 차례 예불하며 오래 앉아 눕지
않으며 널리 배워 많이 아는 것을 불법으로 여기나니
이런 중생은 모두가 불법을 비방하는 사람이니라.
전의 부처와 나중의 부처가 오직 성품을 보라는 말씀만 하셨나니
성품을 보지 못하고 망녕되이 말하기를
[내가 위없는 도를 이루었노라] 한다면
이는 큰 죄를 지은 사람이니라.
십대제자 가운데서 경희(慶喜=아난)가 많이 알고
널리 배워서 식견(識見)이 으뜸 이였으나
[성문과 외도들로 하여금 오직 무식하게 되라]고 한다고
부처님께서 꾸짖으셨으니,
글자 수효나 아는 것으로 닦아 증득 한다하면 인과의 법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중생의 업보이어서 생사를 면치 못하며
부처님의 뜻에 어기는 것이니
곧 부처를 비방하는 중생인지라 죽여도 죄가 없느니라.
경에 말씀하시기를
[천제(闡堤 :선을 끊고 악을 행하는 사람)는
믿는 마음을 내지 않나니 죽여도 죄가 없다] 하셨느니라.
만일 진정한 믿음이 있을진댄
이 사람은 바로 부처 지위의 사람의 사람이라 성품을 보지 못했
거든 절대로 다른 어진 이를 비방하지 말지어다.
스스로 속여서 이로울 것이 없느니라.
선과 악이 뚜렷하고 인과가 분명한지라,
천당과 지옥이 오직 눈앞에 있느니라.
어리석은 사람은 믿지 않는 까닭에 흑암지옥(黑暗地獄)에 떨어지
는 것을 보고도 느끼지도 알지도 못하나니
오직 업장이 무거우므로 믿지 않느니라.
마치 소경이 햇빛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은 것 같으니
설사 그에게 말해 주더라도 역시 믿지 않은 것 같으니라.
오직 눈이 없기 때문이니 어떻게 햇빛을 분별할 수 있으리요?
어리석은 사람도 이와 같아서 방금 축생 등 잡된 무리에 떨어
졌거나 빈궁 하천한 무리에 태어나서 살려해도 살 수 없고
죽으려해도 죽을 수 없느니라
비록 이런 고통을 받으나 직접 물어보면 도리어 대답하기를
[나는 지금 괘락한 것이 천당과 다르지 않다] 하나니,
그러므로 모든 중생은 태어난 곳으로써 쾌락을 삼아
느끼지도 알지도 못하는 것임을 알겠도다.
이렇게 악한 사람은 오직 업장이 두텁기 때문이니라.
만일 스스로의 마음이 부처인 줄 안다면
머리와 수염을 깎는데 관계치 않나니
속인도 부처가 될 수 있느니라.
만일 성품을 보지 못하면 머리와 수염을 깎았더라도 역시 외도
이니라.
- 선문촬요 -
여기는 불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