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안목을 갖고 반야삼매를 실천하는 것이 곧 반야행으로 가는 길”
“우리는 삶의 목적을 깨달음의 방향으로 전환해 금생에 깨닫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열심히 정진해야 한다”
보리자성(菩提自性)이 본자청정(本自淸淨)하니 단용차심(但用此心)하면 직료성불(直了成佛)하리라.
이 한마디 속에 불교 대의와 선적 삶이 다 들어있습니다. 보리자성은 우리에게 깨달음의 자리, 참마음의 자리를 말합니다. 참 마음은 도를 닦고 참선을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청정하다는 말입니다. 청정하다는 말은 모든 번뇌망상이 본래부터 없어 자아가 텅 비어 버린 그러한 성품자리를 말합니다. 또한 텅 비었지만 일체 공론이 원만하게 구족돼 있는 그런 자리입니다. 이를 일러서 보리자성이 본자청정 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비었다는 부정 속에 구족했다는 긍정이 포함돼 있는 것입니다. 부정과 동시에 긍정이고, 긍정과 동시에 부정인 존재의 원리가 살아 숨쉬고 있는 것입니다.
단용차심 하면 직료성불하리라. 이와 같은 참마음(보리자성 본자청심)으로 살게 되면 곧바로 깨달음의 삶을 살게 된다는 말입니다. 먼 훗날이 아니라 지금 바로 깨달음의 삶, 부처님의 삶, 자유자재한 해탈의 삶을 살게 된다는 말입니다.
올바른 수행을 위해서는 ‘반야안목’과 ‘반야삼매’, 그리고 ‘반야행’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첫째 반야안목은 진정견해 (眞正見解)라고도 합니다. 참되고 바른 견해만 가지면, 나고 죽음의 생사에도 자유자재하고, 가고 머무름에도 자유로워 대조화와 절대평안의 참다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불교를 공부하고 수행 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되지 못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행 하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믿고 밖에서 찾지 말아야 합니다. 내가 부처인데 왜 밖에서 찾습니까? 이 믿음이 서지 않으면 참선뿐만 아니라 모든 수행의 기초를 마련할 수 없습니다. “스스로를 믿고 밖으로 찾지 말라”고 했던 임제 선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너의 한 생각 마음위에 청정한 광명, 이것이 네 자신 속의 법신불이요, 너의 한 생각 마음 위에 분별없는 광명, 이것이 네 자신 속의 보신불이며, 너의 한 생각 마음위에 차별 없는 광명, 이것이 네 자신 속의 화신불이니라.”
한마디로 말해서 자기 자신의 참마음이 참 부처라는 말입니다.
우리가 볼 때 내가 있다, 세계가 있다 하는데 이 ‘있다’는 견해에 빠져 버리면 미혹 속에 갇히는 겁니다. 생명의 실상, 존재의 원리로 보면 이것은 있으면서 없는 것이고 없으면서 있는 것입니다. 꿈속에서 내가 있습니까? 꿈속에 태양도 있고 세계도 있고 지구도 있고 다 있지만 꿈을 깬 입장에서 보면 있습니까 없습니까? 마치 존재의 실상은 꿈에 있는 현상처럼 그렇게 있는 겁니다. 그래서 공하다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생명의 실상인 공 자리를 우리는 ‘진공’이라고 말하는데 이 자리는 생긴 것도 아니고 없어진 것도 아닙니다. 내 생명의 근원에서 보면 나는 생기는 것도 아니고 없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이것을 믿어야 합니다.
흙탕물에 맑은 물이 있을까요 없을까요? 흙탕물에는 맑은 물이 있습니다. 흙탕물인 그때도 맑은 물은 그 속에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번뇌망상을 일으켜 사람을 미워하고 좋아하고 싫어해도 참마음은 여여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흙탕물 속에 맑은 물이 있듯이 참마음의 묘용이 지금도 우리 속에 여여하다는 이 도리를 믿어야 합니다. 믿어야만 참선할 수 있습니다. 조사 스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여 보십시오.
“마음이 본래 성불해 있다는 것을 홀연히 깨달으면, 본질적으로 한없이 자유로워 여실히 안락할 것이며, 또한 묘한 작용이 외부로부터 오지 않을 것이니, 본래부터 스스로 갖추고 있기 때문이니라.”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본래성불해 있음을 설파한 것입니다. 이 자리만 확인해 버리면 자유자재하고 참다운 행복의 삶을 살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가 하나 생깁니다. 바로 분별망상, 번뇌망상입니다. 분별망상만 비워버리면 부처로서 참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번뇌망상을 어떻게 비워버릴 것이냐? 여기에 문제의 초점이 있는 겁니다.
이 번뇌망상을 비워버리는 입장으로 들어가는 것은 선의 삶이 아니라 선의 수행 차원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한 단계 내려와서 말하는 겁니다. 우리는 이제 번뇌망상을 인정했습니다. 있지도 않는 번뇌망상한테 우리가 안 속으려면 분발심을 내어 수행을 해야 합니다.
화두만 잘 들면 분별망상은 없애려 하지 않아도 붙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이 반야삼매입니다. 마치 불덩이가 활활 타고 있으면 하루살이나 벌, 나방이 범접해도 그냥 타버리듯이 화두만 잘 들고 있으면 이 번뇌망상은 그 순간 작동을 못합니다. 번뇌망상이 작동을 못하니까 참마음만 흘러갑니다. 그때는 참으로 편안하고 고요하며 맑고 행복합니다.
탐진치 삼독의 불이 꺼져버리면 곧 니르바나에 이르는 겁니다. 대조화와 묘용을 전개하는 그 자리서 보고, 듣고 있을 때, 여여한 것인데 번뇌망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속에 갇혀 있기 때문에 괴로움이 생깁니다. 번뇌망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바로 내가 있다고 하는 생각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선정과 지혜는 반야삼매 속에 다 들어 있습니다. 지혜 따로 선정 따 닦는 게 아닙니다. 불이 있으면 불빛은 그 속에 포함돼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불의 입장이 선정이라면 불빛은 반야입니다.
이제 반야행에 대해 말씀드릴 차례입니다. 반야안목과 반야삼매 그리고 반야행은 셋이면서 하나고 하나면서 셋입니다.
‘나’라는 것을 굳이 둘로 나누어 보면 몸과 마음입니다. 그런데 반야심경에서 오온은 모두 공한 것이라 했습니다. 오온을 나로 삼고 있는데 오온이 공한 것이라 하니 결국 나는 공인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아는 것만으로는 안 됩니다. 아무리 ‘나는 공한 것’이라며 외워도 생각뿐이지 와 닿지를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도든 화두든 직접 수행을 해서 자신이 텅 빈 것임을 체험해야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아는 것과 느끼는 것은 천지차이입니다. 느끼는 것과 계합은 이보다 더 큰 차이입니다. 그래서 선지식들은 목숨을 걸고 정진해야 한다고 한 것입니다.
‘무아’(無我)라는 말 속의 ‘무’는 빈병을 예로 들었을 때 병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병 속에 아무런 잡동사니가 안 들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반야행의 첫걸음은 나를 비우는 것입니다. 내가 드러나면 반드시 대립이 있게 됩니다. 여러분들이 순수하게 사랑할 때를 상상해 보십시오. 그 때는 나를 안 내 세우죠? 나를 안내세우니까 대조화가 일어나 매일 행복합니다. 그런데 결혼해서는 당신은 ‘내 것’ 하는 소유심을 내며 나를 드러냅니다. 나라는 것이 있으면 당신이 있게 되고 당신이 있게 되면 내가 있으니까 대립이 생겨 그 조화가 깨집니다.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는 나를 비워야 합니다.
나 중심으로 살면서 내가 있다, 내가 잘났다, 나다 하면서 수행을 따로 하려 하면 참선 공부는 안 됩니다. 화두가 안 들리는 가장 큰 이유는 나를 딱 잡아 놓고 탐심과 진심이 막 출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를 비워야 화두가 잡힙니다.
이 마음 청정하여 한물건도 없거늘 탐진치로 말미암아 경계의 막힘을 보는 도다. 눈동자가 돌출해서 전체가 드러나면 삼라만상이 허공의 꽃이로다.
나를 비워보려는 반야행의 작은 실천만으로도 우리는 대립을 떠난 자비평화를 얻을 수 있습니다. 깨달음의 길이 멀다 하지만 첫 걸음을 내딛는 순간 이미 이룬 것입니다. 정진의 원력을 놓지 말기 바랍니다.
[질 의 응 답]
“반야관법은 간화선과 한 흐름”
Q: 간화선이 어렵다고 모든 대중이 말하는데 스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의심이 잘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높은 단계의 얘기만 했기 때문에 간화선이 어렵다고 느낀다. 기초만 튼튼히 하면 간화선은 가장 힘 있고 쉬운 공부법이다. 간화선은 단순명료하다. 화두의심을 일으키는 순간 번뇌망상은 자연히 사라진다.
이 화두를 타는 과정(간택)에서 준비가 있어야 한다. 반야안목을 이론적으로라도 깊이 이해하고 이해가 안 되면 물어야 한다. 스승한테 묻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화두가 맺혀야 한다. 부처를 물었는데 스승이 왜 주먹을 내밀었지? 하는 그 순간 의심이 생긴다. 화두는 행주좌와 어묵동정에서도 순일하게 들어야 한다.
Q: 간화선과 관법을 병행해도 되는 것입니까?
A: 병행해도 좋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다르다. 병 따라 약이 다르듯이 사람 따라 관법을 병행해야 할 사람이 있고, 관법을 먼저 하고 그다음에 화두를 들게 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화두를 바로 들 수도 있다. 재가신자들 입장에서는 바로 화두를 들 수 없는 사람이 많다. 이런 사람들은 관법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
관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화두와 바로 연결되는 관법이 있다. 공통적으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관법은 반야바라밀다심경을 바탕으로 하는 반야관법이다. 반야와 간화선은 한 흐름이어서 간화선의 기초가 마련됨과 동시에 화두를 할 수 있는 단계가 온다.
Q: 불교를 믿는 목적은 깨달음에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깨달음은 너무 요원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어떠한 마음자세로 수행을 해야만 되겠습니까?
A: 대혜 스님은 “화두참선을 하게 되면 다음 생에 밝게 태어나고 반드시 반야문에 들어와서 머지않아 깨닫게 된다”고 했다. 영명 연수 선사, 위산 스님도 간화선 공부를 하게 되면 다음 생이 반드시 보장된다고 말씀하셨다.
욕심 부리지 말고 금생에 못 깨달아도 좋으니까 우리는 삶의 목적을 깨달음의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금생에 유치원 과정을 마치면 다음 생애에는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또 다음 생애에는 중학교 과정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내가 한만큼 가는 것이니까 하루 한, 두 시간이라도 자신의 형편에 맞게 열심히 하면 된다.
“화두삼매 순간 번뇌 범접 못 해”
Q: 아함경에는 욕계, 색계, 무색계를 벗어나서 해탈열반을 하려면 아홉까지 순서에 입각한 구차제정 (九次第定)을 닦아야 한다고 합니다. 간화선의 선 수행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A: 구차제정은 해탈열반에 이르는 사선(四禪), 사무색정(四無色定), 멸진정(또는 상수멸정(想受滅定)) 등 아홉 단계의 선정을 차례로 닦는 것을 말한다.
우리들은 고정된 세계 속에 고정된 중생들이 모여서 살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부처님은 구차제정이라는 선정을 통해 중생들의 세계는 중생들의 마음에서 연기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여기서 말한 구차제정의 선정은 번뇌가 쉬고 마음이 고요해지는 사마타(止), 즉 선정의 측면과 고요한 마음의 상태로 법을 관찰하는 위파사나(觀), 즉 지혜의 측면을 동시에 갖추는 것이다. 선정 속에 지혜가 있고 지혜 속에 선정의 내용이 있는 이것이 지관등지(止觀等持), 정혜일체 (定慧一締)라고 하는 불교의 수행원리다.
간화선에서도 은산철벽(銀山鐵壁, 멸진정의 상태)이라고 하는 사량분별이 끊긴 과정을 겪어서 확철대오 한다.
부처님께서 구차제정을 닦아서 연기법을 깨달은 구조와 간화선의 화두삼매를 통해서 지관이 일치된, 정혜가 일치된 수행 상태로 흐르다가 극점에서 은산철벽을 투과해서 오는 깨달음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Q: 대혜 종고스님은 왜 견성의 방편으로서 화두참구를 제시하시는지요?
A: 우리 의식은 동시에 두 생각을 할 수 없다. 동시에 한다는 사람도 찰라가 바뀌는 것이지 어떤 생각이든 그 생각이 있을 때 다른 생각이 들어올 수가 없다.
“불교의 근본 진리는 무엇일까?”라는 궁금함과 간절함이 강렬하게 있기 때문에 강한 집중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강력한 집중으로 흐르는 화두삼매에는 다른 생각, 망념이 끼어들 수가 없게 된다.
마치 불꽃에 기름을 부어주지 않아서 불꽃이 안 일어나는 것처럼 망상이 안 일어나니까 나중에 근본 망상이 뿌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망상의 근본이 잘려버리는 것이다. 불꽃으로 말하면 꺼져버리는 것이고 이것이 공해지는 것이다.
그렇게 될 때 활연히 마음의 꽃이 활짝 열리게 되는데 이것이 돈오고 이것이 견성이다. 이렇기 때문에 화두를 견성의 방편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 법보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