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0. 5. 15:53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발심수행장·수행법
<< 보살수행의 9가지 >>
◇ 보살의 수행에는 아홉 가지 구별이 있다.
(1) 첫째는 생사(生死)에 대한 수행(修行)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병자가 쓴 약을 먹는 것은 병을 고차고자 함일 뿐, 약에 탐심을
내기 때문이 아닌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생사를 가까이함은 오직 그것을 분별해 스스로
격려하기 위함일 뿐 집착한 까닭이 아니다.
(2) 둘째는 중생에 대한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훌륭한 의사가 병자에게 친근한 태도를 취하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대비(大悲) 때문에 번뇌(煩惱)와 병으로
고생하는 중생을 버리지 않는다.
(3) 셋째는 제 마음에 대한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슬기로운 주인이 아직 법도에 익숙하지 못한 노복(노복)을
잘 길들이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제어(制御)되지 않는 마음을 제어한다.
(4) 넷째는 욕망에 대한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상인이 팔기를 잘하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보시(布施) 따위 여러 바라밀(波羅密)의 재물을 늘려간다.
(5) 다섯째는 삼업(三業=신, 구, 의)에 대한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옷을 잘 빠는 사람은 능히 때를 없앨 수 있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삼업을 닦아 능히 이를 청정하게 만든다.
(6) 여섯째는 중생을 괴롭히지 않는 수행을 잘 함이다.
비유컨대 인자한 아버지는 어린 자식을 사랑하여,
더러워도 미워하지 않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중생이 손해를 입혀도 일찍이 성내는 일이 없다.
(7) 일곱째는 수습(修習)하는 수행을 잘 함이다.
비유컨대 나무에 구멍을 뚫고 마찰하여, 불이 일어나지 않으면
그만두지 않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선법(善法)을 수습함에 있어서 일찍 중단하려는
마음을 지니는 일이 없다.
(8) 여덟째는 삼매(三昧)의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재물을 꾸어주되 보증만 확보되면, 쓰는 사람이 날로
재물을 늘려주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모든 선정(禪定)을 닦아 마음이 어지럽거나
어둡지 아니하면 공덕(功德)이 늘어난다.
(9) 아홉째는 반야(般若)에 대한 수행을 잘 행함이다.
비유컨대 환사(幻師)는 허깨비가 진실 아님을 잘 알고 있는 것과 같다.
보살도 마찬가지이니, 알게 되는 대상에 미혹(迷惑)하지 않는다.
이것을 보살 수행의 구별이라 한다.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
그렇습니다.
대승보살은 생사해탈을 위한 수행을 놓치지 않습니다.
아울러 번뇌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항상 보살펴줍니다.
그리고 삼독심 즉 탐심과 성내는 마음과 어리석은 마음을 버리고
선정을 닦고 관법 수행을 쉼 없이 하여 결국 반야지혜를 얻습니다.
이 반야지혜로 중생을 한 없이 사랑하고 깨우치기 위해 반야 용선으로
인도합니다.
결국 부처님이 중생을 사랑하시고 중생을 고통에서 건져내시기 위해
이 세상에 와서 생사해탈을 할 수있음을 증명하셨던 것과 같이 대승보살은
오로지 그 한마음으로 저 언덕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반야용선에 중생을 태우고서....
우리도 부처님 같이....
대중견성을 위해...
원공법계제중생 동입미타대원해
願共法界諸衆生 同入彌陀大願海
진미래제도중생 자타일시성불도
盡未來際度重生 自他一時成佛道
원하노니 법계의 일체 중생이
아미타불 대원해에 들어가서
영원토록 무량중생 제도하여서
다 함께 성불토록 하여지이다.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발심수행장·수행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을 통해서 수다원과를 이루면 - 해월스님 (0) | 2012.10.19 |
---|---|
관음기도하고 관음진신을 친견한 회정대사 (0) | 2012.10.12 |
말세 중생은 염불이 좋은 수행이다/정암스님 (0) | 2012.10.05 |
광명진언의 공덕 (0) | 2012.09.29 |
공부는 반조(反照)뿐이다 / 혜거스님 (0) | 201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