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1. 16:35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 질문 >
이 목숨이 다하기 전에 '그 자리'를 알아볼 방법이 있겠습니까?
< 답변 >
살아있는 상태와 목숨이 다한 상태가 어떻게 다른 거요?· · · 육신은 인연 따라
생멸하는 허깨비일 뿐이오. 지금 그렇게 질문하게 하는, 인연 따라 생멸하지 않는
'그놈'은 목숨과 함께 하지 않소.· · · 태어나서 일정 기간 살다가 죽는다는 그러한
생각은 전혀 잘못된 중생의 환상이오. 그런 일은 없소. 실체가 아닌 것을 실체인
줄로 오인했기 때문에 시작이 있고 끝이 있다고 여기는 거요.· · · 일체 존재가 몽땅
허공꽃이니 살아있는 것이 살아있는 게 아니고, 죽는 것이 죽는 게 아닌 거요.
지금 엄청난 무게로 중생의 마음을 짓누르고 있는 죽고 사는 문제가 몽땅 환상일
뿐인 줄 알면 그게 바로 생사문제 해결하는 거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열쇠가 바로 '일체만법이 자체의 성품이 없다'는 사실이오. 만법이 성품이
없는데 어떻게 생사(生死)인들 있을 수 있겠소? 만법이란 생사도 열반도 부처도
해탈도 몽땅 포함한다 소리요.· ·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말을 깊이 참구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소?· · · "난 그런 말 이미 다 알아" 하고 넘어가는 놈은 평생
깨닫기는 틀린 거요. 이 길은 그렇게 말로 알아서 가는 길이 아니오.
몸도 마음도 세계도, 그 모든 것을 껴잡고있는 허공까지도 몽땅 전부다 마음의
거울에 비친 허망한 그림자라면, 그와 같은 사실을 아는 건 누구요? 또 '그와 같은
사실'이라고 지칭할만한 '그와 같은 사실'이란 또 무엇이오?· · · · · · 그러니 지금
중생들이 아무 의심 없이 사용하고 있는 말이나 문자가 얼마나 허구(虛構)투성이
인가를 알아야 하오. 눈을 번히 뜨고 말과 문자 속에 처박혀서 그 자리를 넘보려
한다면 그건 당나귀 해가 되어도 가망 없는 거요.
출처: 현정선원
숲이 질병을 치료한다
오늘 TV를 보신 분들은 다 아시는 이야기이지만 TV를 안 보신 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요약 정리를 해 보면, 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불치병에 걸린분들이
숲속에서 텐트생활을 하면서 치료가 되어 병세가 많이 좋아졌답니다.
없다는 선고를 받고 병원에 입원하여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머리털이 빠지고 먹은 것을
토하는 등 너무나 힘이 들어 이판 사판으로 병원에서 나와 산속으로 들어왔답니다.
암이 완치가 되었는지 어떤지는 알 수 없으나 아무 약도 먹지 않고 항암치료도 하지않는데
머리털도 나고 먹는것도 토하지 않고 숲속을 걷는데도 힘이 들지 않는답니다.
이제는 일주일에 한두번 집에도 내려오고 먹는 것은 주로 가공하지 않은 곡류, 현미, 통밀,
고구마, 감자, 건과류, 과일, 해초류, 콩, 채소류등등을 먹는답니다.
숲속 생활을 하면서 약을 끊고도 지금 건강하게 살고 있답니다.
중형 자동차를 개조, 차안에서 텐트를 치고 잠을 자며 차안에서 인터넷도 하고 TV도 보면서
부인과 함께 전국을 누빈다고 합니다.
보내는 것으로 만족한답니다. 움직이다가 힘들면 쉬고.. 배고프면 먹고..
물론 처음에 겨울을 날때는 영하 25도의 날씨에 밤잠을 한숨도 못 잔적도 있었지만
그렇다고 어디가 아팠다거나 기분이 나빠진 적은 없었답니다.
환자들이 모여, 자연으로 치유를 하는 대체의학으로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한답니다.
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분석, 녹음해다가 들려줌으로써 병을 치료해 주는 방법도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1). 식초 대신 비타민 C가 많은 레몬즙을 사용한다.
3). 자극성 있는 재료는 사용하지 않으며 싱겁게 먹는다.
5). 無지방 요리법으로 기름에 볶거나 튀기지 않는다.
7). 매끼 규칙적인 식사, 과식과 간식은 하지 않는다.
9). 천천히 꼭꼭 씹어 드시되 식사 도중 물은 마시지 않는다.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자만(mana)을 제거할 것인가? (0) | 2013.08.08 |
---|---|
항상 주(住)하여 생멸(生滅)이 없건만 (0) | 2013.08.01 |
참된 대장부의 태도 (0) | 2013.08.01 |
불상을 대체할 불교의 상징 담마짝까(法輪) (0) | 2013.07.25 |
무량한 佛德 / 일붕 서경보 큰스님 (0) | 201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