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2. 28. 20:28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우리가 명상을 한다고 하더라도 보통 차원에서 그쳐 버리면, 자기실상도 깨달을 수가 없고 우주의 실존 문제에 대한 해답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바른 사유를 한다면, 실천면에서 깊이깊이 따지고 들어가야 할텐데, 그러지 못하고 미온적으로 어물거립니다. 그래서 이론적인 사유 체계도 상식적인 분야에 그쳐 버립니다. 실천적인 면도 불철저해서, 자연히 모든 면에서 바른 해답을 내릴 수가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도 자기 불안 의식을 해소할 수도 없으며, 만연된 사회의 부당한 부조리도 제거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생각할 때, 한낱 현상적인 것에 우리 사고를 낭비하지 말고, 근원적인 문제에 관해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가상적인 것, 현상적인 것, 그때그때 있다가 없어지는 것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렸을 때, 실천적으로 자기 초월을 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 그런 면에서 종교와 철학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동시에, 더 나아가서 일치가 되어야 합니다. 중략 철학이 종교적인 실천면을 소홀히 하면, 사실은 철학이 이론적 사변에 그쳐 버리면, 참다운 철학이 될 수 없을 것입니다. 마땅히 현대에 와서도 여러 가지 지적들을 하지마는, 모두가 이론적인 것이 불철저하고, 동시에 그것에 실천적인 면이 따르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실존철학만 보더라도, 야스퍼스(Jaspers 1883-1969)나 하이데거(Heidegger 1889-1976) 같은 분들이 여러 가지 심오한 철학 체계를 세웠습니다. 그분들이 자기 자신의 한계상황限界狀況을 어떻게 초월할 것인가의 문제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미흡하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기 초월의 문제는 나날이 자기 개조를 하고, 나날이 변신해 가는 자기초월의 문제는 철학에 있어서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을 소홀히 해 버리면, 철학은 철학대로 교리敎理만 분석하고 교리만 따지는 것이 될 것이고, 또 종교는 철학이라는 체계가 없어지면 엉뚱한 미신 같은 맹신 쪽으로 흘러갈 수도 있겠지요. 마땅히 철두철미하게 사유를 해야 합니다. 철두철미한 사유는 그것이 바른 사유가 되기 때문에, 철두철미한 사유를 하는 사람은 자기 개인적인 에고는 저절로 끊어집니다. 왜냐 하면, 철두철미하게 생각하면 자기라는 것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모두 다 연기법緣起法이기 때문에 자기 몸뚱아리라든가, 자기의 개념적 사고라든가, 모두가 다 인연 따라서 잠시간 이루어진 것입니다. 때문에 깊이 생각해 보면, 자기라는 고집이나 법집法執을 낼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철저한 순수 사유로 해서 모든 사태를 바르게 보고, 동시에 바라본 그 자리에서 철저한 실천이 뒤따라야 합니다. - 2001년 5월 11일, 국제철학대회 법어(성륜사) 중에서 -
악인에게는 나쁜 것을 안겨 준다 유태인들은 기독교의 교인들 처럼 인간의 몸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주지 않는다. 기독교에서는 인간의 몸이란 모든 욕망의 원천이므로 인간의 육체에는 죄가 많다고 한다. 그러나 유태인들은 이와 반대로 사람의 몸은 맑은 정신이 담긴 그릇이므로 이를 귀하게 여겨야 한다고 생각하여 육체 자체가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 돈에 대한 유태인들의 생각도 이와 같다. 돈 그 자체에서는 좋은 일이고 나쁜 일이고 생겨나지않는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은 돈은 악의 원천이고 죄악의 하나라고 생각하여 왔다. 이러한 기독교인들의 생각을 유태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돈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있지 못한 탓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육체나 돈이 인간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아 그것이 우리 인간을 지배한다고 여긴 탓으로 돈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제불조사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 덫 이야기/Petr Karel Ontl (0) | 2015.02.28 |
---|---|
모든 것이 마음이다 (一切唯心) / 성철스님 (0) | 2015.02.28 |
여여한 마음으로 행합시다 / 대행 스님 (0) | 2015.02.28 |
문제는 나에게 있다/법상스님 (0) | 2015.02.20 |
상처의 말로부터 회복 / 혜민스님 (0) | 201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