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은 무기력하지 않았고, 고종은 무능한 황제가 아니었다

2017. 10. 14. 21:46일반/금융·경제·사회

728x90


 

 

 

 

"대한제국은 무기력하지 않았고, 고종은 무능한 황제가 아니었다"

중앙일보 백성호 2017.10.11

 

 

25년째 대한제국 연구중인 서울대 이태진 명예교수
"식민통치 합리화 위해 일제가 대한제국 무능한 나라로 왜곡"
"대한제국 바로알기는 동아시아, 세계사 전체의 문제"
"건국절 논란도 근현대사 제대로 정립못해 벌어진 불필요한 논란"
12일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 학술대회도 열려

 

 

120년 전 오늘이었다. 고종 황제는 근대국가의 시발점인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그는 ‘국가(國家)’라는 말보다 ‘민국(民國)’이란 용어를 더 즐겨 쓰던 군주였다. 조선왕조실록에도 고종이 나라를 지칭하며 ‘국가’ 대신 ‘민국’이라 부른 예가 70%나 된다. 당시 고종을 직접 인터뷰했던 선교사들이 남긴 글에는 ‘고종 황제는 나라에서 지식이 가장 높은 인물이다. 신하들이 잘 모르는 게 있으면 군주를 찾아가 물어볼 정도였다. 고종 황제는 그 자리에서 즉답을 하거나 무슨 책을 찾아보라고 일러주었다’고 돼 있다.

이태진 명예교수는 "건국절 논란은 우리가 근현대사를 제대로 정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빚어지는 일이다. 근대국가인 대한제국이 상해임시정부로, 다시 대한민국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불필요한 논란이다"고 지적했다.

이태진 명예교수는 "건국절 논란은 우리가 근현대사를 제대로 정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빚어지는 일이다. 근대국가인 대한제국이 상해임시정부로, 다시 대한민국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불필요한 논란이다"고 지적했다.
우리가 알던 고종과 다르다. 흔히 대한제국과 고종 황제는 그저 ‘무기력한 나라, 무능한 군주’로만 알고 있다. 역사 시간에도 그렇게 배웠다. 25년째 대한제국 역사를 연구 중인 서울대 이태진(74) 명예교수는 “그건 철저히 일제 식민사학의 관점이다. 우리도 모르게 거기에 젖어 있었다”고 지적한다.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 기념일을 하루 앞둔 11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연구실에서 이 명예교수와 마주 앉았다. 그에게 ‘대한제국의 의미와 일제의 왜곡’에 대해 물었다.          

 

-대한제국은 어떤 나라였나.

 

“대한제국은 자주적 근대화를 위해 치열하게 노력했던 나라다. 1899년에 이미 서울에 전차가 달리고 있었다. 당시 일본 도쿄에는 전차가 없었다. 1902년에야 일본에 전차가 생겼다. 1900년대 초에 러일전쟁을 위해 서울에 온 일본군이 서울 시내를 달리는 전차를 보고 신기해하는 자료 사진까지 있다. 고종 황제는 차관 도입을 추진하고,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자력으로 근대국가의 모습을 갖추고 국제사회로 진출하고자 했던 인물이다. 광산개발과 철도부설, 지폐 발행을 위한 중앙은행 설립, 전기와 전신 사업 등에도 엄청 애를 썼다.”

이태진 명예교수는 "좌파와 우파에 의한 역사인식의 대립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제 식민사관의 관점 위에서 진행될 때가 종종 있다. 항일 독립운동 과정의 좌우 문제도 절대적인 게 아니다. 우리는 집은 보지 않고, 그 안에 있는 방만 보면서 자기 방이 옳다며 서로 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태진 명예교수는 "좌파와 우파에 의한 역사인식의 대립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제 식민사관의 관점 위에서 진행될 때가 종종 있다. 항일 독립운동 과정의 좌우 문제도 절대적인 게 아니다. 우리는 집은 보지 않고, 그 안에 있는 방만 보면서 자기 방이 옳다며 서로 싸우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제국을 일제는 왜 무능한 나라로 왜곡했나.          

 

“식민통치의 합리화를 위해서였다.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기 전에 대한제국의 근대화는 자력으로 이미 진행 중이었다. 일제는 그걸 부인해야 했다. 조선이 괜찮은 나라였다면 식민지배가 정당화될 수 없다. 그래서 ‘망국책임론’이란 프레임을 씌웠다.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고종 정부의 무능함, 둘째는 유교 사상 때문에 조선이 망했다는 것이다. 구시대 사상인 유교에 의해 다스려지는 나라는 야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그게 식민주의 역사학의 가장 큰 굴레다. 자신도 모르게 우리는 대한제국의 존재를 애써 외면하거나 무시해오지 않았나.”

 

-고종 황제가 평소 ‘국가(國家)’ 대신 ‘민국(民國)’이라 지칭한 건 어떤 의미인가.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정조가 ‘국가’ 대신 ‘민국’이란 용어를 먼저 썼다. 국가의 ‘가(家)’는 집안을 뜻한다. 고대 국가가 패밀리에 의해 세워졌기 때문이다. 왕조 시대의 패밀리가 누군가. 귀족가문, 다시 말해 사대부다. 정조가 ‘국가’ 대신 ‘민국’이라 부른 건 나라의 중심이 ‘왕과 사대부’가 아니라 ‘왕과 백성’이란 뜻이다. 정조는 만민의 왕이 되고 싶어 했다. 그런 정조의 정신을 고종도 공유하고 있었다. 고종은 ‘적민(積民)이 국(國)이다(백성이 쌓이면 나라다)’라는 말도 했다. 서구의 근대국가 개념과도 통하는 정신이다.”

역삼동의 이 명예교수 연구소에는 온갖 역사서들이 서재에 빼곡했다. 대한제국의 역동성을 설명할 때마다 이 명예교수는 구체적인 사료를 함께 풀어냈다.

역삼동의 이 명예교수 연구소에는 온갖 역사서들이 서재에 빼곡했다. 대한제국의 역동성을 설명할 때마다 이 명예교수는 구체적인 사료를 함께 풀어냈다.
-당시는 열강의 각축장이었다. 그걸 뚫고 나가는 고종의 전략은 무엇이었나.          

 

“조선의 근대화, 그리고 중립국 승인이었다. 당시는 일본과 청, 러시아와 영국 등 열강의 각축장이었다. 그걸 뚫고 가려면 덴마크나 벨기에, 스위스처럼 국제사회에서 중립국 승인을 받아야 했다. 우선 근대국가로서 위상을 갖추어야 했다. 1880년대 처음에 전기는 경복궁에만 들어왔다. 고종은 도시개조 사업을 통해 서울 시내에도 전깃불이 들어오게 했다. 전차를 시설할 때는 내탕금 20만원을 선뜻 내놓았다. 근대화한 자주독립국가로 국제사회에 데뷔하고자 했다. 실제 고종의 중립국 승인 외교는 비밀리에 강하고 치밀하게 펼쳐졌고, 뒤늦게 이를 안 일제의 방해공작이 집요하게 이어졌다. ‘대한제국’이란 국호도 고종 황제가 직접 지었다.”

 

-왜 ‘대한제국’이라 지었나.

 

“고종은 이렇게 말했다. ‘조선이란 나라 이름은 뜻이 아름답고 오랫동안 썼다. 그렇지만 국호를 지을 때 태조 대왕께서 중국에 사신을 보내 ‘조선’과 ‘화령’이란 두 이름을 제시했다. 명나라 태조가 그걸 보고 ‘조선’을 골랐다. 이런 역사를 가진 국호를 가지고 자주국으로 국제사회에 나설 수는 없다. ‘조선’만큼 고대로부터 우리를 가리키는 용어로 ‘한(韓)’이라는 글자가 있다. 그 앞에 ‘대(大)’자를 붙이자. 그래서 ‘대한제국(大韓帝國)’이라 하자.’ 그러자 신하들이 모두 박수를 쳤다고 한다.”

일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고종실록을 축소해 기록토록 했다. 대신 일본 공사관에서 본국으로 보내는 문서에는 당시 근대국가 대한제국에 대한 세세한 기록들이 남아 있었다. 패망 직전 공사관은 명령을 받고 모든 문서를 불태웠다. 당시 신석호라는 조선인 직원이 문서에 대한 유리필름을 따로 빼돌려 땅에 묻었다. 미군정이 들어서자 문서를 다시 복구했다. 이 명예교수의 대한제국 연구는 일제가 미처 태우지 못했던 공사관 서류에 근거한다. 굉장히 구체적인 사료다.

일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고종실록을 축소해 기록토록 했다. 대신 일본 공사관에서 본국으로 보내는 문서에는 당시 근대국가 대한제국에 대한 세세한 기록들이 남아 있었다. 패망 직전 공사관은 명령을 받고 모든 문서를 불태웠다. 당시 신석호라는 조선인 직원이 문서에 대한 유리필름을 따로 빼돌려 땅에 묻었다. 미군정이 들어서자 문서를 다시 복구했다. 이 명예교수의 대한제국 연구는 일제가 미처 태우지 못했던 공사관 서류에 근거한다. 굉장히 구체적인 사료다.
-그래도 대한제국은 망하지 않았나.          

 

“아니다. 그 역시 식민사학의 관점이다. 을사보호조약이나 병합은 군사강점이었다. 대한제국의 국가원수는 끝까지 그걸 인정하지 않았다. 1919년 고종이 독살되자 장례식 이틀 전에 3ㆍ1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그 정신이 상해임시정부로 이어졌고,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면서 대한제국을 승계했다. 1945년 일제 압제에서 벗어나 48년에 정부수립을 다시 한 것이다. 대한제국 바로 알기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문제이자 세계사 전체의 문제다.”

 

이태진 명예교수는 12일 오전 9시30분 서울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에서 대한제국의 외교전략을 분석해 발표한다.

 

글=백성호 기자, 사진=박종근 기자 vangogh@joongang.co.kr

 

◇이태진 교수=서울대 사학과 졸업, 서울대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석ㆍ박사,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역임, 국사편찬위원장 역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저서로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끝나지 않은 역사』『동경대생에게 들려준 한국사』등.

 

[영상 가요] 조동진 노래 34곡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