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2. 1. 14:12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수심결
화병 걸린 부처님 -특강 수심결13
공적영지심-마음닦는 비결의 그 닦어야되는 마음
마음상태 기준
일상생활-마음이 시끄럽다=>망념
선퓽기 소리 들어보세요(복잡한 대상,복잡한 마음이 고요해지려면)
주의력이 소리로 들어가(나머지는 조용해져=공적=사라져 고요해져)
마음에 번뇌가 활동이 아닌 공적영지심
감각대상 무엇이든 공적영지의 대상이 된다
사띠의힘-특별한 감각대상에 대한 알아차림
공적영지심이 열반의 마음(귀의의 고향)
화가 나면 화와 씨름하는 것이 아닌 공적해져야(사람은 먹는다)
근심의 마음이 술먹으면 잠시 잊었다가 증폭돼(공적후 깜깜해져)
공적후 밝은 깨우침이 있어야
일상생활에서 공적영지심을 갈고 닦아야
공적영지에서 벗어나 의문의심의 망심에 다시 촛점=>잘들으라로 다시 가는 것
의심은 공적해지면 해결(주의력이 의심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는 것이 끊어짐이다)
매뉴얼(사용설명서)
공적심은 해탈이다
마음이 산란하면 호흡수식관
마음이 무자비하면 자비
마음이 어리석으면 인연관
마음에 성욕 부정관
곧바로 공적하지먄 망심으로부터 자유로워
돈오-공적영지심-대신심(자기 마음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기웃거리지 않아)
수행하는 법은 쉬워도 수행은 어려워(지도 읽는법은 쉬워야)
공적영지심(무위심)과 망심을 쓰는 비율에 따라 범부와 성인이 갈라져
분별심(선악과)-만가지 차별이 드러나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것처럼
한발자국도 움직이지 않고 공적영지심이면 열반의 세계
깨침은 단박 습성은 남아-점수
정보와 준비과정은 여행과 다르다
결정은 단박 경험은 점차로 이루어진다=돈오점수
마음, 그 투명한 빛으로 /의연스님
마음 닦는 길 [修心訣] +++++++++++++++++++++++++ 10. 습성은 갑자기 없애기 어렵다 【문】 이미 이러한 이치를 깨달으면 다시는 깨달음의 단계나 계급이 없다고 말씀하셨는데, 무엇 때문에 깨달은 뒤에 다시 닦아서 점차로 익히고 점차로 이룰 필요가 있겠습니까? 【답】 깨친 후에 점차로 닦는 뜻을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는데 아직도 의심을 풀지 못했는가. 그렇다면 거듭 설명하겠으니 마음을 깨끗이 하고 잘 들어보아라. 범부는 아득한 옛날부터 지금까지 천상·인간·아귀·지옥·축생 등 오도(五道)의 세계를 헤매고 나고 죽으면서 '나'라는 생각에 굳게 집착하여 뒤바뀐 망상과 무명의 종자와 과거로부터 익혀온 버릇이 오랫동안 한 데 어울려 그 성품을 형성하여 왔다. 비록 금생에 이르러 자기의 성품이 본래 공적(空寂)하여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단번에 깨닫더라도 그 오랜 세월 익혀온 옛 습성은 갑자기 끊어버리기가 어렵다. 그래서 어려운 환경과 즐거운 상황을 당하면 화를 내고 기뻐하며, 옳고 그르다는 시비의 생각이 불길처럼 일어났다 없어졌다 하여, 밖의 대상에 끄달리는 번뇌가 그 전과 다름이 없다. 그러니 만약 지혜로써 더욱 공들이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무명을 다스려 크게 쉬는 완전한 경지에 이를 수 있겠는가. 이것은 '단번에 깨치면 비록 부처와 같지만 여러 생의 습기가 깊구나. 바람은 그쳤으나 물결은 아직 출렁이고, 이치는 나타났으나 망념은 그대로 일어난다'라고 한 말과 같다. 또 종고(宗杲) 스님도 '가끔 영리한 무리들은 별로 힘을 들이지 않고 이 이치를 깨치고는 쉽다는 생각을 내어 다시 닦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로 오랜 세월을 지내면 여전히 헤매면서 고통의 윤회를 면하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니 어찌 한 번 깨쳤다 하여 뒤에 닦는 일을 소홀히 하겠는가. 그러므로 깨친 뒤에도 오래 비추고 살펴서 홀연히 망념이 일어나면 따르지 말고 덜고 덜어서 무위(無爲)에 이르러야 비로소 구경(究竟)이니, 천하의 모든 선지식의 깨친 뒤에 소먹이는 행이 바로 이것이다.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수심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위수행이란? -특강 수심결15 (0) | 2022.12.10 |
---|---|
돈오점수의 수행단계 -특강 수심결14 (0) | 2022.12.07 |
이근원통의 수행법 -특강 수심결12 (0) | 2022.11.13 |
꿈 깨는 법? -특강 수심결11 (0) | 2022.10.21 |
주체는 없지만 경험은 있다-특강 수심결10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