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 수업 38] 궁극의 기본기, 자기조절능력!

2023. 7. 9. 18:44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행복편지

728x90

[어른 수업 38] 궁극의 기본기, 자기조절능력!

하려고 합니다

서 항상 중요시 여겼던 

사띠에 대한 이야기를 안흘 수가 없기때문에

사띠가 그 사람의 격입니다라고 하는 부주제로

뭐라 그런다는게

하는거 있잖아요

횡설수설하고 오늘 있었던 이야기를 탁 하는데

법유님이 옆에 와가지고 원빈스님 중요한 법문하시니까

들어보라고

옆에 와가지고 이렇게 듣더래요

하고 있을 때였던 거 같아요

마음은 불안하지 않다

그런데 그쯤 이야기를 딱 듣고 있을 때

있다가

아 그거구나 그러드래요

공부하고 있는 분은 안그러는데 술드시고

아 그거였어

또 아직도 가만히 있더래요

그러더니 부인한테 묻더랍니다

그런데 너 그게 되니 난 안되는데

그래서 너 그게[ 되니

스님한테 가가지고

스님이 그랬는데 너 그게 되니

이 얘기 무슨 뜻이냐면 답은 알겠는데 그게 안된다는 거죠

되는 

그럼 알았죠

근데 안것과 별개로 연습을 충분히 하기전에는 돼요. 안돼요

안돼죠

신체에 대한 통제권

하면 공부를 잘한다

기법들이 다 나와잇어 책으로도 강의로도 다 나와있어요

나오대요

왜 굥개해주는지 아세요 공개해줘도 못하니까

넌 그게 되니

넌 그게 되니

난 단 하나도 못하겠는데

벗어나서 마음이 편안하려면

분명히 안심해야 돼요

알고 계샤애 돼요

를 쫓고 있는거지

남때문이 아니에요 안심이 깨지는 건

그 구하는 바가 다른게 별로 없잖아요

돈 아니면 명예 아니면

별종들이 있어요

이거말고 구하는 바가 있는 사람들

스님들 깨달음

여기에 속하지 않는거 깨달음

별종들이에요

깨달음 원하지 않아요

깨달음ㄴ 줄가 돈 줄까 하면 돈 받죠

깨달음 줄까 명예 줄까 하면 명예 받죠

안심은 깨지는 거에요

거지 되는거 아닌가요 안그래요

구하는 바가 있어가지고 무엇인가 얻는게 아니라

얻을 인연이 되면 얻어져요

얻어지는 거지

구하는 마음이 크다 그래서 얻어지는게 아니에요

그럼 떼 쓰는 사람이 최고 많이 얻지

구하는 마음이 커서 얻어진다면

석가모니불 염불하지 마시고

돈 돈 돈 염불하셔요

우리가 구하는 바가 없다 그래서 

가난해질거라고 생각하는 건 착각이구요

무슨 착각이냐면 구하는 바가 본인 죽을 까봐

구하는 바가 죽거든요

본인의 생존을 유지할 수가 없어요

얻어요

 

정도로 해야지

안달라는 건 안달란느거 ㄹ 얻는데도 도움이 안돼요

이렇게 자기 조절을 자신의 상황이나

자신이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능력들이 필요하다는거에요

돼요

49와 39는 대졸자 수입니다

사람들의 평균 대졸자 수래요

현재 49%라고 합니다

기대되는 이익들이 있을까요

아니 대학 1년도 아니고 대학 4년 다 다딜려면 돈이 얼마 들어요

학비만 말고 학비반 드나

싸게 다녔어요.. 1억 든대요 원래

작학금 좀 탓나봐요

6~7천쯤 든다고 하는 거 보니까 장학금 좀 타고 다닌 가에요

그렇지 않으면 엄청 들어요

1억 들여가지고

대학을 졸업함으로써 뭐가 달라지는가

대졸의 의미를 우리가 알고 있는가

의미인가

시스템을 가져왔잖아요

아무거나 갖다가 이름을 신조어로 만든게 아니라

참고해서 가져 온게 있단 말이에요

4서5경중 하나인 대학에서 분명히 가져왔을 텐데

고전가지고 명칭을 따왔을 거 아니에요

뭘 배우는 건가

4서5경에[서의 대학은

어떤 배움들을 가져갔으면 좋겠다라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치국이 되고

치국이 되면 평천하가 도니다 이런식으로

제가든 치국이든 평천하든 수신이 근본이라는 거에요

본인이 놓여진 역할 들이 

가정에 머물러 있으면 제가가 되는 거고

나라일을 하고 있으면 치국이 되는거고

이제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평천하가 사실은 잘 이애가 인되는데'

이게 중국 텍스트 잖아요

크잖아요

치국정도 되;는거구요

국이라면

한단 말이오

제가를 못하면 치국을 어떻게 하느냐

제가 못해도 치국하는 사람 많아요

치국 못하는데 어떻게 평천하를 하느냐

낙하산으로 평천하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평천하 잘되면 제가가 다 좋나

가정 안좋아도 평천하가 잘 되는 사람들이 잇어요

그게 단계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수신제가치국 평천하입니다

냐면 대학에서 지금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하는 가장 유명한 구절은 반쪽짜리에요

8조목중에 4가지거든요

그래서 반쪽이에요 근데 이 반쪽은

치국 , 평천하 뿐만 아니라 모든 것

모든 것은 수신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수신이 근본이다

신은

자기를 닦는 것 

수신 그러면은 천안옆에 수신이 있어요

우리 외가댁이 수신인데 수신하면 자꾸 생각이 나

어떤 장이냐면

어ㄸ너 배움을 가질거냐면

자기를 닦는 능력을 배우는 거에요

이에요

기대값

그 기대값을 보면 당연히

수신의 장이고 이 수신의 장에서

한 거였냐면

나라로 들어가면 치국이 될거라고 생각을 했고

평천하로 나아갈 것이라는 

그러니까

그런 힘을 갖게 되는 것이

대학의 졸업의 의미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는 이유는

그런데 사람들은 대게가 보면은

하대요

을 하지

그 뒤에 3계화택 아당안지

그뒤에가 더 중요한데

8조목도 

는 수신하면 다 되는 거에요

그래서 수신을 어떻게 할 거냐가 더 중요한데

한번쯤 다 들어본 단어입니다

수신의 방법론이 8조목인데

앞의 4가지 조목을 보면

실학할때 배우는 거에요 실학

실학자들 이야기 나올 때

아마 도덕 시간에 윤리시간이구나 나이가 나오네요

격물 치지 성의와 정심을가지고 무엇을 하는가

수신을 하고

그 수신의 결과 무엇이 되는가

제가 체국 평천하가 된다 이런 구조가 되는 거에요

이게 대학의 8조목입니다'

격물이라고 하는 걸

양명학계통의 해석과

주자학 계통의 해석이 완전히 달라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좋아하는 해석은 주자학 계통의 해석이죠

어차피 자자가 붙어서 선생님이구나

주선생님께서 어차피 만든 거니까

4서5경이라고 하는게 우리나라 말이에요 우리나라

우리나라에서만 4서5경을 중요시 여기는 그걸

여전히 채택을 해서

그런데

격물이라고 하는 걸 해석을 할 때 어떻게 해석했냐 그러면

격을 다가가다 이렇게 해석을 했어요

물을 사물

사물에 다가가다 이것을 격물이라고 했어요

그러면 다가가면 

격물과 치지가 조목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보통 붙여서 하는 거에요

존재, 사물에 다가가 그 사물에 대해 앎에 이르게 된다'

그 사물을 연구해서 앎에 이르게 된다

물리학 같은 느낌인거에요

없을까요

선비들이 물리학자다 이거에요

선비들이 추구하는게 격물치지이기 때문에

안썼는가

수학을 근본으로 한 실험을 했는가 안했는가

어떻게 해석하는지는 방향성은 역시 갖가지로 나뉠수가 있어요

8조목을 세워놓고

수신의 방법론

부처님의 수신의 방법론과 비교를 해볼께요

소학이 있어요

대학 배우기 전에 소학 배우잖아요

어릴때부터 소학 배우잖아요

아니 작은 가르침 있으니까 큰 가르침 있을 거 아니에요

그럼 소학에서는 수신을 안하느냐

소학에서도 수신을 해요

소학에선느 예의범절을 배웁니다

신구의 3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를 계속 배우는 거죠

그래서 소학의 수신은

예절을 통해서 닦도록 만들어요

계학에 해당이 됩니다

계정헤 3학중에

계학 윤리적이고 도덕적으로 사는 것

계학에 해당이 되구요

그 다음에 대학의 수신은 

격물 치지와 성의와 정심인데

통찰지를 의미하는 거에요

통찰지

그래서 불교적으로는 계정혜 3학중에 혜학에 해당이 돼요

정학에 해당이 됩니다

그런데 격물치지와 정심은 젅부 다 성의가 있어야 돼요

성의;가 없으면

마음을 이야기 하는거에요

성의 이게 

격물치지에도 근본이 되고요

정학에도 정심에도 근본인 거에요

성의 이것이 예절을 배우는데도 근본이 되고요

모든 것의 근본이 성의가 되는 거에요

사띠 

념정혜를 마음공부라 해요

염-사띠

정-선정

혜-지혜

계정혜 3학중에 정학과 혜학을 

염-사띠

사띠까지 포함해서 염정혜를 

그러니까 소학에서는

행동하는 법하고 

말하는 법을 배우는 거에요

그러면 소학을 다떼었다는 전제하에서

예의범절을 잘 읶혔다는 전제에서

다스리는데

이런 것들은 소학에서 배웠다라는 전제에서

정학과 혜학과 그리고 사띠에 대한 배움들이 있을 거 같다라는 예측이요. 그렇겠죠

그래서 다시 한번 8조목에 대한 정리를 해보면

수신을 중심으로 해서

격물 치지 성의 정심은 수신의 방법론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

그렇게 해서 수신이 되면 무엇으로 드러나는가

제가에서 치국에서 평천하에서 즉 모든 것에서 수신으 힘이 들어간다

그럼 수신의 방법론이 

기본기는 바로 성의, 사띠 -깨어있음 그 기본기가 되었다라는 이야기를 한겁니다

누구에게 설법을  할까

그래서 5비구를 찾아서 인연이 있었던 5비구를 찾아서

300킬로가 넘는 거리를 걸어서 가십니다

나누신 다음에 초전 법륜 굴리실대

맨 처음에 뭐라 그러시냐면 

여래는 중도를 개달았다

중도인 줄 아는데

그거는 예도 아니고 아니요도 아닌 우유부단한 거고

적절함을 이야기 하는 거에요

적절할려면 어떻게 해야 되냐면

이게 무슨 뜻이냐면

이걸 무조건 사겠죠

그러면 그것보다 더 좋은게 나와도요

인정하기도 어려워요

신상이 나왔는데 가격이 얼마 차이 안나거나

오히려 더 싸기도 한데

나는 이거 무조건 사야겠다 이거에요

다 놓치고 결국은 

이 뭐한다 하면 빨리 하게 둬요

하라 해여ㅑ돼요

사로잡히는 거 이게 안달난거잖아요

이 사람은 중도의 힘을 일깨우면

지게 되겠죠

야 되는 사람이 있어요

안달나있는 것에서 벗어난다

안달나있는 것에 대해서 벗어나 있는 상태

똑똑한 소비를 하고 싶어하고

안달나있어서는 안돼요

중도 상태에 있어야 돼요

안달나 있거니 떼쓰지 않아야

좀 느슨하게 살 필요가 있어요

자신의 삶을 훈수 두듯이

그런데 그러려면

안달나 있으면 안돼요

훈수두듯이; 살려면 중도에 가까워야

훈수두듯이 

있다라고 표현을 하셨는데

그 중도에 이르는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사띠를 통한 수신 한번 읽어 볼게요

모든 것의 기본기는 사띠

원하는 것이 돈을 버는 것이든

좋은 직장을 가는 것이든

공부를 잘한느 것이든

인간관계가 좋아지는 것이든

수행을 잘하는것이든

깨달음을 얻는 것이든

그 모든 것의 근본은 자기조절능력입니다

이유는 간단해요

돈 누가 벌어요?자기가

좋은 직장 누가 가요? 자기가

끝까지 가서 깨달음 누가 얻어요?자기가

\결국은 자기가 얻는 거니까 

그 만가지의 근본은결국ㅇ느 자기가 하는 거니까

수신에 있다라는 거에요

그리고 수신의 방법론을 봤다시피

수신의 근본은 사띠에요

대졸의 비율이 49%

중고등학교 ㄴ다 나와 있을 거 아니에요

중고등학교 공부할대의 시간을 한번 생각해보면 알 수가 있서요

집중력있을 대 잘해요

오래 앉아가지고 자면 

밑에 만화책 숨기고 있으면

왜냐하면 다 딴데 주의력이 가있는 얼바진 상태니까

운동ㅇ을 잘한느 비결도 사띠에 있어요

사띠가 좋은 사람은 한번 들으면 잘 합니다

비결을 알려드리는 거에요 다만

이런게 뭐냐면 사띠가 아니라 재능이죠

그 분야에 대한 재능

그런데 재능이 부족해도 금방 알아듣는 사람은

재능은 뭐냐하면 익숙함이에요

재능이 좋은 재능도 있고 나쁜 재능도 있고

사띠 좋은 사람이 훨씬 빨리 들어요

똑같이 재능이 좋은 사람들 있죠

역시 사띠의 힘이 큰 사람이 훨씬 큰 성공을 거둡니다

심지어는 어떤 경우도 있냐면요

재능이 없는 사람은 사띠가 좋은거에요

사띠에요

모든 것의 기본기

그게 뭐냐면

사띠의 힘이 그 사람의 격이에요

인지

사띠

사띠가 모든 것에 적용되는 재능이다

총재(총재능)는 말고

좋지만

그런데 훨신 더 근본적인

그 모든 뻗어있느,ㄴ 만가지 일들의

격자체를 높여보려면

사디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대학을 졸업했으면 최소한 자기 조절능력은 있어야 되는 거에요

대학을 졸업했더니 자기조절능력이 있어서

가정에 간다면 가정이 잘 돼요

나라에 갔다 그러면 치국이 잘돼요

세계적으로 가면 평천하가 돼버려요

직장에 가면 화목하게 일을 잘해요

그러면 1억주고 보낼만 해요 안보낼만 해요

근데 갓다 왔는데 격물치지만 좀 되는 거 같고

나머지는 다 안돼

이러면 돈을 왜썼나

우리가 큰 배움이란 뜻이에요 대학

그 대학에서도 수신의 근본이라는 걸 반복해서 이야기를 해요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자신을 닦으려면 방법론은 격물치지 성의 정심이런 것들이 있지만

그 중에 사디가 근본이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