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수심결(18)
-
[특강]수심결3. 몸으로 시작하는 마음수행
[특강]수심결3. 몸으로 시작하는 마음수행 마음닦이의 나침반 역할이 수심결 3요(대신심, 대의정, 대분심) 대의정 궁금증이 걸리면 잠이 안오는데 그걸 이용 간화선은 풀리지 않는 의문을 강력하게 활용 대분심- 스승이 제자들을 속수행촉구를 위해 건드려 대신심-나나 스승님이나 부처님이나 마음의 본바탕은 똑같이 깨달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확고한 믿음(자존감을 높임) 본질을 바라보는 관점이 고귀하며 평등하다 수심결은 대신심을 여러 측면에서보여주는 것 대신심을 가지고 자기 마음에 대한 대신심을 가지는 것 그렇지않으면 길을 잃는다 대표적인 경우가 외경의 길-수행시작전 대부분(이거 가지면 행복할거다며 평생)-행복의 근원 아니다 육신의 길-안에서 찾는다 하니 마음은 안보이고 육신을 섬가는 삶(육신위한 삶에 대부분 투자..
2022.09.24 -
[특강]수심결2. 마음닦는 길을 잃는 세 가지 경우
2. 자기의 마음이 참 부처이다 슬프다! 요즘 사람들은 어리석어 길을 잃어버린 지 오래되어 자기의 마음이 참 부처인 줄을 알지 못하고, 자신의 밝은 성품이 참다운 진리인 줄을 모른다. 진리를 구하려 하면서도 높은 성인(聖人)들만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여기고, 부처를 찾으면서도 자신의 마음을 관하지 않고 먼 곳에서만 구하려 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마음 밖에 부처가 있고 성품 밖에 진리가 있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소견에 굳게 집착한 채 불도(佛道)를 구한다면, 그러한 사람은 아무리 오랜 세월 동안 몸을 불사르고 팔을 태우며, 뼈를 부수어 골수를 내 피를 먹을 삼아 경전을 쓰고, 하루에 한 끼만 먹으며, 눕지도 않고 항상 앉아 선정을 닦고, 뿐만 아니라 모든 대장경을 다 읽고, 온갖 고행을 닦는다 할지라..
2022.09.21 -
[특강]수심결1. 마음닦는 길
수심결:마음 닦는 비결 보조국사 지눌 마음의 요리사 불교인문고전 수심결 참조 주제 길을 잃지 않고 무엇을 하는지?마음 닦는 길 [修心訣] +++++++++++++++++++++++++ 1.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부처를 찾아라 어리석은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며 받는 고통은 불타는 집 속에 갇혀서 받는 고통보다도 더하다. 어찌 그대로 머물면서 고통을 받고만 있는가. 윤회를 벗어나려면 부처를 찾는 길밖엔 없다. 부처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부처는 다른 것이 아니라 곧 이 마음이다. 그러니 마음을 어찌 멀리서 찾으려고 하는가. 이 육신을 떠나서 따로 있지 않다. 우리의 육신은 무상한 것이라. 생겨났다 없어졌다 하지만 참마음은 허공과 같아서 끊어지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육체는 죽으면 다시 제 본래의 ..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