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
독 신 품(篤信品)
옛날 슈라아바스티이국 동남쪽에 큰 강이 있었다.
물은 깊고 넓으며 그 강가에는 五백여집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세상을 제도하는 도덕의 행을 듣지 못하여 힘세기를
익히고 속이는 것을 일로 삼았으며 이익을 탐하고 방탕하여 마음껏 향락
하였다.
부처님은 항상 제도할 수 있는 사람은 가서 제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셨다.
그리고 이 사람들의 복도 제도할 수 있음을 아셨다.
그래서 부처님은 강가로 가서 어떤 나무 밑에 앉으셨다.
마을 사람들은 부처님의 빛나는 모습을 보고 기이하게 생각하여 모두 놀
라고 엄숙하였다.
그리고 모두 부처님께로 가서 예배하고 공경하였다. 절하거나 읍하면서
인사를 드렸다.
부처님은 그들을 앉게 하시고 법을 연설하셨다. 그들은 듣기는 하여도 마음
으로는 믿지 않고 속이거나 게으름에 습관이 들어 진실한 말을 믿지 않았다.
부처님은 곧 신통으로 하나의 허깨비 사람을 만들었다. 강의 남쪽으로부터
물 위를 걸어 오는데도 겨우 복숭아뼈가 물에 잠길 뿐이었다.
그는 부처님 앞에 와서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였다.
사람들은 그를 보고 모두 놀라고 이상히 여겨 그 허깨비 사람에게 물었다.
『우리는 조상 때부터 이 강가에 살았지만 아직 물 위로 다니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소. 당신은 어떤 사람이며 또 어떤 도술이 있기에
물 위를 다니면서 빠지지 않는지 그 사정을 듣고 싶소.』
허깨비 사람은 대답하였다.
『나는 이 강 남쪽에 사는 어리석고 고지식한 사람이오. 부처님께서 여기
계시면서 도덕을 즐겨하신다는 말을 듣고, 강남쪽에 왔으나 곧 건널 수가
없었소. 그래서 언덕에 있는 사람에게 물이 얼마나 깊으냐고 물었더니 그
사람은 「복숭아뼈밖에 차지 않는다. 왜 건느지 않느냐」고 대답하셨오.
그래서 나는 그 말을 믿고 곧 그대로 건너왔을 뿐이요.
다른 재주가 있는 것이 아니요.』
그때 부처님은 그를 찬탄하셨다.
『대개 믿음과 정성만 가졌다면 생·사의 깊은 못도 건늘수 있거늘, 몇 리의
강을 건는 것이 무엇이 그리 신기하냐.』
그리고 부처님은 이어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믿음은 능히 못(생사)을 건느고
마음 껴잡음[攝]은 뱃사공 되며
부지런한 노력은 괴로움을 없애고
지혜는 저 언덕으로 건너게 한다.
믿음과 행이 있는 사람은
거룩한 분의 칭찬을 받고
함없음[無爲]을 즐겨하는 사람은
모든 결박을 풀어 버린다.
믿음이 있어야 도를 얻으며
법을 행하면 열반을 이루며
아는 이 따르면 지혜 얻나니
그들은 어디 가나 밝음이 있다.
믿음과 계율과
지혜가 있으면
사람은 성냄을 이길 수 있고
그로써 깊은 못(생사)를 벗어난다.
그 때에 마을 사람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또 믿음의 실증(實證)을 보고는
마음이 열리고 믿음이 굳세어져 모두 다섯 가지 계율을 받고 청신사(淸信士
)가 되었다. 그리하여 확실한 믿음으로 날마다 교법을 닦아 그 소문이 널리
퍼졌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