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경전 핵심 - 금강경편

2009. 4. 17. 12:02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금강경

728x90

불교경전 핵심 - 금강경편

 금강경의 핵심 사상이 금강경의 사구게 속에 드러나 있습니다. 
법화경 화엄경 열반경 등도 마찬가지로 사구게를 살펴봄으로 해서
그 경전에 나타난 사상의 핵심을 공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제 경전에 나타난 사구게를 공부해 보도록 하지요. 
먼저 금강경 사구게 먼저입니다. 
먼저 사구게(四句偈)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금강경의 한 구절을 살펴보지요.

[금강경]에 보면 
佛告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於此經中 
불고수보리 약선남자선녀인 어차경중 
乃至受持四句偈等 爲他人說 而此福德 勝前福德 
내지수지사구게등 위타인설 이차복덕 승전복덕 
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해석해 보면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경에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주면(受持爲他人說) 
그 복덕은 앞에서 말한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와 같이 경전에서는 사구게를 수지하고 타인에서 설명해 주는 공덕에 대하여, 
이 공덕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칠보(七寶)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를 한 복덕보다 더 수승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구게란 글자 그대로 경전에 등장하는 네 글귀로 된 게송을 의미합니다. 
네 글귀로 되어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경전의 말씀을 의미하지요. 
다시 말해 경전 가운데서 네 글귀로 된 짧은 한 문구 만이라도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해 설명해 주라는 말인데 꼭 사구게로 정형화된 틀 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경전에 등장하는 그 어떤 짧은 법문이라도 소중하게 받아지니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먼저 금강경의 사구게를 살펴보지요. 
금강경에는 사구게가 곳곳에 많이 등장하지만 
우선 핵심이 되는 네 가지 사구게를 옮겨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른 상이 있는 바는 모두 허망한 것이니 만약 상이 상이 아님을 바로 보면 곧 여래를 볼 것이다.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 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응당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니, 
응당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 행사도 불능견여래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한다.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첫 사구게부터 살펴보면 범소유상, 상이 있는 바 모든 것이라고 하면 
두두만물 일체 현상계에 벌어진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꼭 눈으로 보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안이비설신의 육근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의미하지요. 
바로 일체 모든 현상계가 개시허망이란 말입니다. 
만약에 이렇게 상이 있는 바 모든 것이, 
일체 현상계가 상이 아님을 즉 개시허망임을 바로 보면 즉견여래한다, 즉 여래를 보리라고 하였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바탕이 텅 비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리어 그 어떤 것도 나툴 수 있는 것입니다. 
텅 비어 있기 때문에 도리어 꽉 차서 인연따라 모든 것을 나툽니다. 
나무와 나무를 비빔으로써 불을 얻었다면 불이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것입니까. 
나무에서 나온 것도 아니고, 공기 중에서 나온 것도 아니며, 
비비는 내 손에서 나온 것도 아니지만 분명이 이렇게 불이란 상을 가지고 나투었단 말입니다. 
인연따라 나툰 것일 뿐입니다. 세상 모든 만물, 범소유상은 다 이처럼 인연따라 잠시 나투고, 
인연이 다 하면 소멸될 뿐 어느 것도 고정된 실체로써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눈귀코혀몸뜻으로 촉할 수 있는 모든 상(相)은 
다만 인연따라 잠시 나툰 것일 뿐 고정된 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상이 상이 아님을 바로 볼 수 있으면 바로 여래를 볼 것이다 했습니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이, 범소유상이, 
한낮 인연따라 허망하게 잠시 일어났다가 사라질 뿐이라는 것을 바로 보아 정견(正見)할 수 있다면 그
 어떤 상에도, 그 어떤 경계에도, 그 어떤 현상계에도 휘둘리거나 괴롭힘을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살아가며 그 어떤 경계나 현상계가 다가오더라도 
다만 인연따라 허망한 경계가 일고 사라질 뿐임을 알기 때문에,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여여하며 성성적적하게 깨어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여여부동하여 오고 감이 없는 여래를 볼 것이란 말입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을 바로 깨치면 그대로 부처의 자리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다음 사구게는 말하고 있습니다.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니, 
응당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보통 우리가 마음을 일으킬 때는 육근, 안이비설신의, 
즉 눈귀코혀몸뜻이 색성향미촉법을 대상으로 마음을 일으키게 마련입니다. 
쉽게 말해 눈으로 물질인 색을 보는데 여여하게 아무런 분별없이 바라보지 못하고 
대상에 마음이 머물러서 마음을 일으킵니다. 머무른다는 말은 집착한다는 말입니다. 
좋아하는 연인을 볼 때와 미워하는 사람을 볼 때 
우리 마음은 좋다고 집착하고 밉다고 집착하여 대상에 좋고 싫음의 분별을 덮씌우고는 
그 좋고 싫은 대상에 마음이 머물러서 마음을 일으킵니다. 
좋은 대상에 대해서 사랑을 하고 미운 대상에 대해서는 다툼을 일으킨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대상은 늘 허망하기 때문에 잠시 인연따라 좋고 싫게 나타날 뿐이지 
고정되게 좋고 싫은 대상 하고 딱 정해진 것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색성향미촉법의 대상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머무름 없는 행, 함이 없는 행이야 말로 모든 수행자들의 실천행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무집착, 방하착의 실천이기 때문입니다. 
깨닫겠다고, 부처를 찾아 나서는 이들이 많지만 
부처라는 것 또한 대상으로 정해 놓고 찾아 나서려 한다면 그것은 이미 잘못 가고 있는 것입니다.
육근으로 부처를 만나고자 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눈으로 형상의 부처를 보려고 하거나, 귀로서 부처의 음성을 들으려 한다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처를 찾지 못합니다. 
눈귀코혀몸뜻 육근으로 촉할 수 있는 대상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강경의 다음 사구게는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한다." 
그러니 어때요?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이란 다 허망하며 다만 잠시 인연따라 생하고 멸할 뿐인 겁니다. 
모두가 다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으며 
그림자 같고 이슬이며 번개와 같은 것이라고 잘 관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이처럼 금강경의 사구게는 연기, 공, 무집착, 무아라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설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결국에 무슨 말을 하려는 건지 아십니까? 
그렇게 허무한 것이니까 세상 살 필요도 없고, 다 필요없다는 말을 하려는 것인가 하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괴로워하고, 답답해 하고, 
서러워하고, 욕심부리며 살던 바로 그 괴로움의 대상인 이 현상 세계가 
모두 공하여 허망하고 꿈같고, 환영같고, 번개와 같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집착하지 말고, 괴로워 하지도 말고, 걸리지 말고 여여하게 시원스럽게 당당하게 살아가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 현상세계는 다 허망하여 물거품 같은 것이지만 
지금 이렇게 생각하고 말하고 움직이는 이 놈이 있다는 것은 도무지 어쩔 수 없는 사실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이 놈은 누구냐? 하고 물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다 공하고 허망하다는데 그럼 허망으로 끝나는 것인가 하고 말입니다. 
그런 것이 아닙니다. 그 바탕에 나를 이끌고 가는, 
이 허망한 현상계를 이끌고 가는 본래자리, 진면목, 자성불, 불성, 주인공, 한마음 이라 불리는 
바로 이 본래마음이 있다는 말입니다.
상이 상이 아님을 보면 여래를 볼 것이란 말은, 
이 현상세계 모든 상들을 허망하고 꿈과 같으며 환영과 같고 헛개비와 같다고 바로 관하라는 말이고, 
그렇게 현상계의 생멸법을 바로 관했을 때 여래를 본다, 즉 부처가 되고 깨닫는다는 말인 것입니다. 
이런 가르침의 실천법이 바로 응무소주 이생기심인 것이지요. 
세상 다 허무한 것이니까 다 필요없고, 마음을 일으킬 것도 없다가 아니라 
마땅히 마음을 일으키고 살라는 말입니다. 마음 일으키지만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는 말이지요. 
다시 말해 집착하지 말고 살라는 말입니다. 
왜요? 연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 허무한 것이고 공한 것이니 집착할 것이 없기 때문이지요. 
허무하고 공하다는 현상계를 잘 관할 수 있어야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무소주 이생기심의 실천은 힘을 받게 됩니다. 
그러니 어때요? 잘 관(觀)하며 살 수 있어야 세상이 다 공하고 허무하다는 것을 바로 볼 수 있고 
그를 통해 응무소주 이생기심을 실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여래를 보며(見性) 부처(成佛)가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내 마음속에 핀 사랑꽃

 

 



누구를 사랑한다는 것은
내 삶의 기쁨과 설레임이며 아름다운

나의 희망입니다.

당신이 나를 위하여
사랑을 하고 있다기에 나의 마음을

비워두었습니다

그 사랑이 이 마음에
촉촉이 스며들도록 내 영혼과 가슴을

비워두었습니다.

우리가 어디서부터 맺어온
인연의 끈이 이어지는 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신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사랑이

나에게는 처음이자 마지막
사랑이기를 바래봅니다.


 


아름다운 사랑은 혼자인
사랑이기보다는 그 사랑을 서로가

나눌 줄 알면서 아끼는것이 진정한

서로의 참사랑이라 생각합니다

어느날 당신 마음에

태풍이 휘몰아쳐 당신의 마음이

흔들릴때 횡단보도 빨간 신호등이 켜질때

어쩔 수 없이 멈춰서는 자동차처럼

당신 마음이 힘들어 하고 있을때

나의 부족한 사랑이지만
금지하는 당신의 마음밭에 아름다운

사랑향기로 당신 마음 힘이되는

사랑의 꽃을 피어 드리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글도 좋지만

복사꽃 핀 들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Richard Clayderman / Souvenirs D'enfance (어린시절의 추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