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17. 21:01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오매일여
쌀한톨이 일곱근 나간데요 글쎄
이전에 곳간 뒤주에 쌀만 그득하면
부러울 것이 없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혹 우리네 어머니들 밥을 지으실라치면
아래는 보리쌀을 놓고 위에는 쌀을 조금 얹어
밥을 지어서 위에 부분은 어른들께 드리고
아래 보리밥과 긁갱이 밥은 어머니와
형제들이 나누어 먹던 시절입니다
혹 쌀 한됫박이나 쌀 말이나 팔아 온 날은
하루 종일 먹지 아니 하여도 배가 부르고
뒤주나 쌀 항아리에 쌀이 줄어 갈때마다
마음도 조금씩 타들어 갔지요
그렇게 귀하고 값지던 쌀이 어느 사이엔가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는 날이 올줄은
참으로 꿈도 꾸지 못하였는데
이 나라 이 땅에서 생산된 쌀조차도
다 소비하지 못하는 시절에
다시 수입 쌀 운운하는 시대를 살아 가니
참으로 천지가 개벽을 한 것입니다
하지만 식사 대사라는 말처럼
아직까지는 먹는 것이 큰 일이기에
여전히 서민들 밥상에는 쌀을 주원료로 하여
내용은 같으면서도 이름만 달리 한 반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오늘은 절 소유의 논을 농사지은 분이
쌀 두가마니를 가져 오셨습니다
반짝 반짝 빛나는 알곡들을 바라 보면서
천지 자연의 말없으신 은혜와
수고하신 농부의 땀방울이 생각나
감사의 마음으로 불기에 나누어 담아
부처님 전에 올리고
장독대와 주방 싱크대에도 올렸습니다
무게로 따진다면 팔십킬로그램 두가마지만
그 안에 담긴 진정한 가치를 논하여 본다면
산수로는 이루 다 헤아릴수 없는
무한의 가치가 담겨 있는 산물입니다
흔히 말하기를 쌀 한톨의 무게가
절집에서는 일곱근 나간다고 하거니와
쌀미米자를 나누어 보면 위에 팔
가운데 십 아래 팔 하여
팔십팔이라는 수가 되는데
쌀한톨이 비록 작을지라도 여든 여덟번의
수고와 땀방울과 정성의 손길이 닿고서야
비로소 우리 앞에 온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하는 내용이라 하겠습니다
쌀 한톨이 일곱근이면 현대 계량형으로
한근이 육백그람이니 총 4키로 200그람입니다
그러니 겉으로 달아 본 무게가 160 킬로일지언정
그 속에 담긴 진정한 무게는 천문학적인 숫자입니다
나는 젊은이들에게 그럽니다
배우자로서 그 사람 됨됨이를
알아 보는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가
같이 밥을 먹어 보는 것이라고.
같은 밥을 먹어도
밥을 남김없이 깨끗이 먹거나
남기더라도 반찬이 묻은 부분을
걷어 먹고 남기거나
미리 덜어 놓고 먹을줄 아는 사람은
다른 일에 있어서도
크게 실수 하지 않을 사람이라고.
평소 마음이 그렇다 보니
같이 밥을 먹다가 상대의 밥그릇을 보고
아니다 싶으면 바로 지적을 하니
처음 그런 일을 겪는 사람들은
조금 어려워 하기도 합니다만
밥알 한톨이 수채 구멍에 떨어 져 있으면
제석 천왕이 와서 그것이 다 삭아 없어 질때까지
지켜 보고 있으면서 측은해 한다하니
바쁜 천왕의 직무 유기를 유발하고도
복을 받기를 바라겠습니까
교육 가운데 가장 중요한 교육이
바로 밥상에서의 교육이라 생각합니다
또 사람들은 살기 위해 먹는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먹기 위해 산다고 하는 것이
정답에 가깝습니다
잘 먹으려면 잘 살아야 하고
잘 살려면 잘 먹어야 하는 것이
천고의 이치입니다
우리 먹다 남긴 찌꺼기에
배 고픈 아귀가 허겁지겁 먹다가
목이 막혀 돌아 간다면 그 또한
살생의 중한 죄를 짓는 일입니다
내일은 부처님 전에 햅쌀로 공양 지어 올리고
부처님과 천지와 부모와 동포 국가등
깊은 은혜에 더욱 감사하는 마음으로 축원하겠습니다
원효스님
나무아미타불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오매일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한 인연을 맺자 (0) | 2010.02.19 |
---|---|
못할 때는 잘하도록 잘할 때는 조심하도록 (0) | 2010.02.18 |
포도주 항아리 속의 사람 (0) | 2010.02.16 |
진정한 도반(道伴) (0) | 2010.02.15 |
생각해 보는 글...중..승려..스님 (0) | 201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