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신앙생활 / 보각 스님

2010. 6. 10. 18:56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발심수행장·수행법

728x90

지혜로운 신앙생활 / 보각 스님

잘못인 줄 알면 바꿀 줄 아는 것이 지혜 있고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 습(習)에 젖어 있는 그대로

해가며 바꾸지 아니하면 오직 어리석음만 지을 뿐입니다.

도토리 나무 아래 사자 한 마리가 누워서 낮잠을 잡니다. 그런데 도토리 나무에서 도토리가 떨어져

누워 있는 사자 콧잔등을 때렸습니다. 사자는 천지개벽으로 착각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좌우를 돌아보니 변한 것은 하나 없는데 자기 머리맡에 도토리 하나가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생각하니 화가 나 도토리 나무를 가만두지 않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도토리 나무 아래

있었던 자기에게 탓이 있는데 그것을 모르고 어리석은 판단을 한 것입니다.

도토리 나무에게 맞아서 잠이 깼으니 도토리 나무에게 이놈 두고 보자 하고 악심을 품고 있는데,

그때 마침 목수 한 사람이 수레를 만들기 위해서 톱을 들고 산에 올라오자 목수한테 사자가 수레를

만드는 재목으로는 도토리 나무가 최고라고 말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목수가  도토리 나무를 톱을 들고 베기 시작하였습니다. 도토리 나무가 생각하니까

사자가 내 밑에 와서 자다가 괜히 날 죽이는 것으로 생각하며 원한이 쌓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목수에게 수레바퀴를 묶는 가죽으로는 사자 가죽이 제일이라고 말하죠. 그러자 목수가

사자를 죽여서 그 가죽으로 수레바퀴를 묶는 가죽을 만들었습니다.

어리석음과 욕심으로 결국 죽고야 말았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원한은 원한으로 그치지 않나니 원한은 참음으로 그치나니 이것은 영원한

진리가 되느니라"라는 말씀을 깊이 새겨야 할 것입니다.

지금 테러전쟁으로 인해서 서로 원한과 증오가 오가지만, 원한을 가지고 싸움을 일으키면 그 원한은

또 다른 원한을 일으키게 됩니다. 오직 인욕으로서 그 원한을 그치지 아니하면 중생세계는 끝없는

원망과 한만이 유산으로 물려지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크나큰 마음으로 포용하고 자기 원한을 잡는 것으로 극복해야만 우리가 사는 세상이

화합되고 평화로운 세상을 이루는 근본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지혜를 깨닫는 4가지 방법이 무엇입니까?


첫째는 신심으로 믿을 것이요,
둘째는 배워서 해석할 것이요,
셋째는 실천에 옳길 것이요,
그리고 나서 스스로 깨달음에 이르러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비라 일컫는데 그 자비를 실천에 옳기지 아니하면 무자비하게 되어진다는

것입니다. 악을 짓지 않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선을 꾸준히 행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엄경에서 부처님은 "누가 제일 부자인가? 만족을 하는 것이 제일가는 부자이며 욕심을 버리는

자가 가장 행복한 자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옛 조사경에 보면 "내가 만약 욕심으로 구하는 것이 있다면 고통이 따를 것이고 욕심으로 구하지

않으면 모든 게 즐겁고 행복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서산대사께서 선가귀감에서 이르시길 "천 칸의 집에 살아도 잠을 자는 데에는 방 한 칸이면 족하고

만석의 재산을 지닌 자도 하루에 쌀 한 말이면 양식이 족하느니라"라고 하였습니다.

원력은 크게 가지되 욕심은 적게 가지라는 말입니다. 원력이란 내가 애써 노력하여 다른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되고 힘이 되는 게 원력이라 말할 수 있지만 욕심이란 나나 내 가족만을 위해서 애쓰는

것을 욕심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나를 구하는 이기적인 맘은 버려야 하지만 나를 버리고 남을 위해 사는 이타적인 맘은 많이

가져야 할 것입니다. 원력도 크게 가지고 욕심을 줄여야 한다는 말입니다.

욕심이 적은 사람은 구함도 적고 욕심도 적어서 고통과 번민이 따로 없으므로 적은 욕심은 선한

공덕을 쌓는 데 근본이란 말입니다. 불교에서는 가지는 것의 의미가 나를 위해서 갖는 게 아니라

남을 위해서 베풀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해서 가지는 것에 의미를 둡니다.

자기가 노력해서 갖는 것을 소중히 여기고 절약해서 널리 베풀고 나누어주는 맘을 갖는 것이

올바르게 사는 일입니다.

달마스님이 지은 혈맥론에 불자가 가져야할 네 가지 마음 중에 그 첫 번 째가 보은행이라 하였습니다.

어떤 결과가 주어져도 내가 인을 짓고 과보를 받는다는 생각을 가져서 원망하거나 싫어하는 맘을

갖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다시 나쁜 업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이미 지은 업은 받아서 없애고 다시 악 업을 짓지 않아서 바른

업을 짓는 게 기도의 본질적인 의미입니다.

이런 마음으로 부지런히 노력하고 부지런히 짓고 애써 나아가야 한다는 말입니다. 불교는 지은 복을

받는 것이 아니라 새로 지어 널리 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불자들은 어리석은 마음을 짓지 아니하고 지혜로운 마음을 계발하여 수승한

수행공덕으로 성불의 씨앗들을 가꿔나가야 할 것입니다.

- 보각스님(중앙승가대 교수)-

 

멀어도 마음만은

 

 

바다는 파도가 그치지 않았습니다

하늘은 무한한 사랑으로 꽃을 보내기도 하고

 

                        

 

구름을 모아 그리운 마음

비가 되어 흐르게도 했습니다

 

                        

 

손이 닿지 않아도 울지 않는다 했지요

보고싶어도 차라리 외면하며 강한척했지요


                 

 

멀어도 마음만은 당신과 함께 있습니다

우리 이렇게 목소리로 나눌수 있음이 얼마나 큰 감사인지요


                      

 

우리 이렇게 가슴으로 느낄수 있음이 얼마나 아름다운 축복인지요

마음 외로울때 정겨운 이름을 불렀습니다

 

                        

 

지치고 힘들때 천년그리움의 강가에 나룻배를 띄우기도 했습니다

그럴때면 변함없이 당신의 맑은 향기가 반겨 주었지요

 

                      

 

 

당신의 따스한 한줄의 글이 피로를 녹여 주었습니다

오늘은 행복한 날입니다 믿기운 마음으로 무작정 걸음 했습니다

깨끗한 영혼 하나로 꽃향기를 날립니다

 

                        

멀어도 마음만은 사랑하나에 묶여 있습니다

당신을 아끼고 싶습니다 당신을 영원히 사랑할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