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자비하심(慈悲下心)의 종교 / 혜인스님

2013. 4. 11. 21:01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728x90

  

 

 

 

불교는 자비하심(慈悲下心)의 종교 / 혜인스님

 

 

불교의 핵심은 지혜(智慧)요 자비(慈悲)입니다.
지혜와 자비가 양대 산맥을 이루는 종교가 불교요,
지혜와 자비가 두 바퀴가 되어 큰 수레를 잘 굴러가게
하는 종교가 대승불교입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양족존(兩足尊)'이라 칭합니다.
지혜와 자비를 구족하신 분이라는 뜻입니다.

그럼 불자(佛子)는 어떠한 존재인가?
아버지를 닮기 위해
아버지인 부처가 되기 위해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곧 자비와 지혜를 함께 갖춘 거룩한 인물이
되고자 노력하는 존재가 불자입니다.

지혜가 스스로의 내면세계를 개발하는 것이라면
자비는'나' 밖의 세계 또는 대인 관계를
원만히 이루어 내는 것입니다.
지혜가 자리(自利)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자비는 이타(利他)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자연, 자리인 지혜가 원만히 갖추어지면 이타인 자비를
지혜롭게 발현시킬 수 있고, 이타행인 자비가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스스로를 이롭게 하는 자리(自利)의 삶이
크게 열리기 마련입니다.

실로 불교의 목표는 지혜와 자비를 함께 갖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혜는 개인의 수행이나 능력과 함께하는 것이므로,
이 법문에서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자비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가고자 합니다.

자비는 복잡한 것이 아닙니다.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몸과 말과 뜻! 곧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으로 만나는
사람들에게 따뜻하고 흐뭇하고 고맙고 보탬이 되는 생활을
하고 말을 하고 마음을 쓰는 것이 자비입니다.

자비는 마치 봄기운과 같은 것입니다.
만물이 봄기운을 받게 되면 얼음도 녹고 새도 울고 풀도
돋고 꽃도 피어나듯이, 자비의 기운을 받으면 인생이 살아납니다.
삭막하던 현실에 봄기운이 감돌기 시작합니다.

자비심은 어버이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과 같습니다.
항상 사랑을 베푹고, 잘못한 것을 너그럽게 이해하며 바른
길로 이끌고, 큰 잘못까지도 능히 용서할 수 있는 마음입니다.

정말 가난하고 못 배우고 불행하고 병들고 부족한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어, 어루만져 주고 다독거려주고 보탬이 될
수 있는 말 한마디, 행동하나, 마음 한 번 써 주는 것이 자비입니다.

그러나 힘있는 '나'가 '나'보다 모자라는 사람에게 베푸는
것을 자비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나보다 모자란다', '부족하다', '너는 돈이 없다', '너는
인물이 못생겼잖아', '너는 벼슬이 없고 나보다 밑이잖아...'
이러한 생각이 있으면 올바른 자비가 발현되지 않습니다.

베풀면 나에게 큰 복이 돌아오고, 기분이 좋아지고,
득을 보기 때문에 베푼다는 식의 행위라면
어찌 자비라 할 수가있겠습니까?
하물며 스스로를 자비로운 모습으로 포장하여
남에게 돋보이고자 하는 위선적인 행동이라면
오히려 죄악이 될 뿐입니다.

진실로 자비심이 깊은 사람은
진실을 외면한 거짓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나'보다 못한 존재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생각합니다.


불성(佛性)을 지닌 거룩한 분,
장차 부처가 되실 분으로 봅니다.
무학대사(無學大師)의, "부처님눈에는 부처님으로 보이고,
돼지 눈에는 돼지로 보인다"는 말씀이 바로 이 이야기입니다.

모든 사람을 부처님으로 보고자 노력하여 부처님으로 볼 수 있는
눈을 갖추게 되면, 그에게는 미운 사람도 없고 악한 사람도
없고 나쁜 사람도 없으며, 나보다 못하고 나 아래에 있는
사람도 없습니다.


모두가 부처님처럼 보이는데, 어찌 부처님을
받들듯이 하지 않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배고프다' 하면 공양을 올릴 일이요,
'아프다'고 하면 정성껏 돌볼 뿐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자비입니다.

그런데 중생의 현실을 그렇지가 않습니다.
미운 사람, 싫은사람,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있기 마련입니다.
왜 그럴까요?

'나'의 내면세계에 '미움'을 받을 수 있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누군가를 미워하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자기의 내면세계가 '미움'의 요소로 가득 채워져 있으면
만나는 사람마다 미워합니다.

실로 세상을 살다보면 가까이에 미운사람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얼마 뒤 그 사람이 사라지고 나면 미운 사람이 또 생깁니다.
'저 미운 놈! 다른데로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노래를 하다가,
그 사람이 가고 나면 내 마음자리에 또 다른 미운 놈이 들어앉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미운 놈'을 쫓아버리기보다는
내 마음을 바꾸어야 합니다.
내 마음 속에 있는 '미움'의 요소를 자비심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미운 그를 불쌍히 여기는데서부터 시작하여
장차 부처될 분으로 보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떻습니까?
미운 놈을 불쌍히 보아주기가 쉽습니까?
부처님처럼 보는 것이 가능합니까?
보통 사람이라면 거의 불가능할 것입니다.
내 마음을 바꾸기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계속 미워하며 살아야 하는가?

바로 이때 필요한 것이 하심(下心)입니다.
아상(我相)을 멈추게 하는 하심이라는 약을 써야 합니다.

대인관계의 모든 문제는 '나'를 과시하면서 상대를 깔보거나
무시하는 아상(我相)에서 비롯됩니다.
이 아상의 산이 높으면높을수록 삼악도(三惡道)의 바다는

깊어만 갑니다.
아상으로 남을 미워하고 무시하게 되면
지옥, 아귀, 축생의 세계와 더욱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공부도 마찬가지요 자비심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상이 치성하면 깨달음을 이루는 공부에 진척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아상이 가득 차 있으면 본래의 깊은 자비심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아상을 없애는 최상의 방법인
하심(下心)을 강조하셨습니다.

하심이 무엇입니까?
나를 남 아래에 둘 수 있는 마음입니다.
높은 곳이 아니라, 가장 밑에 있겠다는 마음입니다.
가장 밑에 있으면서 일체 중생을 부처님처럼 받들며

살겠다는 자세입니다.
이렇게 하심을 하는 이의 마음이 어찌 자비롭지 않을 수 있으며,
어찌 맑게 깨어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아상이 무너지고 하심만 잘 되면 모든 존재가 차츰 부처님으로
보일 수 있게 됩니다.
하심만 잘되면 저절로 자비로워지고,
만복(萬福)이 스스로 귀의합니다.
온갖 행복이 저절로 찾아들게 되는 것입니다.

무릇 하심을 하는 자에게
온갖 복이 저절로 돌아온다네.
범유하심자(凡有下心者) 만복자귀의(萬福自歸依)

* 자경문(自警文) *

혜인스님의 법문은 굳이 우리 불자들의 아상이

얼마나 교만한지를 어리석은지를 보여줍니다  

내가 베풀었다는 그 어리석은 아상은 우리가 모든 부처님들에

대한 교만함입니다 하심함이 없는 자비는

자비가 아닌 사치입니다 남들을 도와주었다 사진찍고

자랑하고 ,,,이 얼마나 유아적인 행위 일까요 ,,,

하심하지 않는 자비롭지 않는 모든 불제자들에게

마하반야의 깊은 뜻을 깨우쳐지기를 원 하옵니다.

어떠한 물건이 이래 왔는고? / 서암 큰스님  (0) 2013.04.26
인연 따라 나타나는 법성/ 법륜스님  (0) 2013.04.18
삶은 완전하다 / 법상스님  (0) 2013.04.11
생종하처래(生從何處來) 사종하처거(死從何處去)/숭산스님  (0) 2013.04.05
세계 일화(世界一花) / 만공 스님   (0) 201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