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관 (不淨觀)수식관(數息觀), 육묘문(六妙門) / 청화스님
2013. 9. 5. 20:47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발심수행장·수행법
728x90
|
부 정 관 (不 淨 觀)
|
부처님 당시에도, 부처님께서 생존해 계실 때에도 나를 떼기가 하도 어려운 것이니까, 우리 수행법 가운데서 일반 대중한테 제일 말씀을 많이 하신 방편법문(方便法門)이 부정관(不淨觀)이나 또는 수식관(數息觀) 즉, 호흡관입니다.
우리 중생은 원래 욕계산지(欲界散地)라, 욕계(欲界)에서는 마음이 고요하게 하나로 모아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욕계를 산지(散地)라고 합니다.
우리 중생들은 욕계산지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참선하기가 참 어려운 것입니다. 앉으면 그냥 천 만 가지 생각만 나부낍니다. 우리 중생이란 산란스런 마음을 일으키도록 되어 있기에, 욕계는 산지인 것입니다. 그런 중생들인지라 좋은 법문을 해도, 내가 없다고 해도, 좀체 알아 듣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부정관(不淨觀)이라, 이런 몸뚱이는 아주 더럽다고 부정관을 하면 그때는, 내가 없는 것을 조금 더 깊이 느낄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부정관은 내 몸뚱이가 맑지가 않고 청정하지 않다고 관하는 것입니다.
내가 나를 고집할 때는 '내 몸뚱이가 아주 귀엽구나, 눈이 곱구나, 입이 곱구나, 모두가 곱다' 하는 것이고 남녀 이성관계도 그런 데서 오는것인데, 부정(不淨)을 느끼면 그렇게 생각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
一. 관자신부정(觀自身不淨)…구상관(九想觀)
|
부정관의 처음엔 관자신부정(觀自身不淨)이라, 먼저 내 몸이 부정(不淨)한 것을 관찰한다는 말입니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 구상관(九想觀)이라, 아홉 가지 관법이 있습니다. '내 몸이 어째서 더러운 것인가? 내 몸이, 이것이 천한 것이구나' 하고 생각하는 관법입니다 하나에는 사상(死想)이라, 죽는 모습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다 아는 바와 같이 회자정리(會者定離)요, 만나면 정녕코 반드시 헤어지고,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 한번 삶이 있는 것은 다 꼭 죽지 않습니까, 따라서, 비록 내가 지금은 죽음을 안 당했지마는 여러 사람들 죽음도 보았으니까 죽음을 생각할 수는 있지요. 죽음을, 죽는 순간을 생각하는 것이 사상(死想)인 것입니다.
죽을 때 모습보면 참 정말로 가엾은 것입니다. 평소에 장관이니 또는 누구누구니 할 망정 죽을 때는 비참한 것입니다. 죽어서 어디로 갈 곳도 모르지만, 죽는 모습도 아주 고통스럽습니다. 단말마(斷末魔)의 고통이라, 빈손으로 허공을 마구 휘젓고 굉장히 고통스러운 것입니다.
물론, 염불 많이 하고 참선 많이 하여 마음이 가라앉은 분들은 그냥 미소를 띄우며 기쁜 마음으로, 마치 쉬러가는 기분으로서 가는 것입니다만 그렇지 못한 분은 굉장히 고통을 느낍니다. 누구나 죽고 마는 것이니까 이렇게, 죽는 모습을 생각한다는 말입니다.
다음에는 창상(脹想)이라, 이것은 배부를 창(脹)자입니다. 우리가 죽은 다음에는 그냥 몸이 퉁퉁 붓습니다. 죽은 다음 바람기만 들어가도 송장은 그냥 부어오르는 것 보십시요. 생명이 있을 때 비로소 이런 몸인것이지 생명이 떠나버리면 그냥 몸은 붓고 달라지는 것입니다. 몸이 부어 놓으면 아무리 미인(美人)이라도 그때는 미인으로 볼 수가 없습니다. 몸이 부어올라서 추악한 그런 모습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 셋째로 청어상(靑瘀想)이라, 푸를 청, 멍들 어자입니다. 몸이 부어서 시푸르뎅뎅하니 멍들어 보인다는 말입니다. 좀 젊은 사람들은 잘 모르십니다마는, 우리같이 나이 많은 사람들은 인공(人共) 때 죽은 송장을 많이 봤습니다. 길거리에서도 많이 보고 전쟁가서도 많이 본 셈입니다만, 그런 것을 보면 그야말로 참 무서운 것입니다. 아무리 잘낫다고 하더라도 한번 죽어진 그때는 그 몸이 더럽고 결국은 무서운 것으로 바뀌고 맙니다. 부르터서 탱탱 불어 있는 모습 또는 시푸르뎅뎅 멍들어 있는 모습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농란상(膿爛想)이라, 고름 농자와 데어 터질 란자 입니다. 피고름이 터져서 더러운 모습입니다. 데어 터져서 고름 나오는 것을 보십시요. 한번 죽은 사람들을 옮길려고 해서 묘소(墓所)를 파 보십시요. 냄새가 얼마나 진동하는가 말입니다. 우리는 출가(出家)하여 중이 된 몸이라서 사람 송장을 많이 파보고 염(殮)도 해보고 했습니다만, 확실히 그 죽은 시체를 파가지고 본다고 할 때는 굉장히 악취(惡臭)가 풍기고 보기가 흉합니다. 그 다음 다섯번째는 괴상(壞想)이라, 몸의 살이 뼈에서 전부 허물어지고 문들어지는 모습입니다. 여섯번째는 혈도상(血塗想)이라, 피 혈자, 바를 도자 입니다. 피나 고름이 온 몸에 범벅시켜서 몸을 바르고 적시는 모습입니다. 그 다음이 충담상(蟲啖想)이라, 벌레 충, 먹을 담 또는 씹을 담자 입니다. 구더기 벌레가 먹는다는 말입니다. 어떠한 송장이나 벌레가 안 먹는 것이 없습니다. 그 다음은 골쇄상(骨쇄想)이라, 뼈 골, 얼킬 쇄 또는 사슬 쇄자 입니다. 뼈가 이리 얼키고 저리 얼키고 한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분산상(分散想) 또는 소상(燒想)이라, 결국은 흩어지고 마는 것이요 태워버리면 재만 남고 마는 것입니다. 이렇게 곰곰히 생각을 한번 해보십시요. 내가 얼마나 소중한가 천한가 말입니다. 실은 이것 밖에는 아닙니다. 우리 사람몸이란 것은 더 이상 될 수가 없습니다 . 부처님 당시에 부처님께서, 중생들이 하도 욕심을 내니까 부정관을 시켰던 것입니다. 부정관을 90일 동안 하더니만, 한 60명이 한번에 그냥 자기 몸을 죽여 버렸습니다. 말하자면 자살을 해버렸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나중에는 자비심으로 부정관 대신에 다시 호흡관을 시키셨다는 말씀도 있습니다만, 하여튼 그러나 지금 세상은 좋은 것이 하도 많이 나오고, 새로운 문자가 많이 나오니까 지금은 부정관을 많이 해야 이놈의 몸뚱이 천한 줄을 알아집니다. |
二. 관타신부정(觀他身不淨)…오부정관(五不淨觀)
|
또 다음은 남의 몸에 대해서 부정한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남녀관계의 욕정(欲情)같은 것은 보통 남의 몸이 좋다고해서 우리가 집착하지 않습니까, 남의 몸도 역시 내 몸과 같이 좋은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관타신부정(觀他身不淨)이라, 남의 몸이 부정하다고 관찰하는데 오부정관(五不淨觀)이라, 다섯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종자부정(種子不淨)이라, 비록 지금 잘난 사람이라 하더라도 역시 종자는 청정한 것이 못됩니다. 내나야, 어떠한 사람이나 자기 부모의 종자로 해서, 부정모혈(父精母血)이라, 아버지 정(精)과 어머니의 피가 합해서 안됩니까, 그러기에 청정한 것이 못됩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종자가 벌써 청정하지 못한 것입니다. 물론 자아(自我) 끄트머리, 본질을 보면 다 부처겠습니다마는 거기까지 못 가서 생각할 때는 이렇다는것입니다. 근본바탕은 다 부처인데, 이것을 인간 차원에서 볼 때 우리 몸을 구성하는 종자가 청정하지 못해 있고, 그 다음은 주처부정(住處不淨)이라, 종자가 사람 몸이 되어서 어머니 태 안에서 크는데 그 어머니 태 안이 청정할 수는 없습니다. 어머니 창자가 있고 그 안에서 태아가 크면 그 주처가 청정하지 못하고 말입니다. 그 다음은 자상부정(自相不淨)이라, 태 안에서 크는 태아의 모양이 또 청정하지 못하다는 말입니다. 가사, 몸에는 아홉 구멍이 있어 가지고 대소변이나 기타 침이나 땀, 그런 더러운 것이 유출(流出)되어 나오는 것 입니다. 또 자체부정(自體不淨)이라, 사람 몸의 부정한 것을 불교에서는 보통 삼십유물(三十六物)로써 말을 합니다. 머리, 머리카락, 뼈 또는 피부, 손톱, 발톱 등 부정한 것을 주로 간추려서 삼십육물(三十六物)로 풀이합니다. 그와 같이, 우리 몸은 자체가 부정이라, 이런 부정물(不淨物)로써 우리가 합성(合成)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종자부터서 부정물(不淨物)이 되어 가지고 어머니 태 안에서 부정(不淨), 모양도 부정(不淨), 또 그 자체의 구성물도 부정(不淨), 사뭇 이렇게 부정물이 되어서, 종경부정(終竟不淨)이라, 마침내 끝까지 부정하다는 말입니다. 어찌그런고 하면, 이 몸이 죽어서 갖다가 묻으면 결국은 매즉성토(埋卽成土)라, 묻어버리면 흙이 되는 것이고, 충담즉성분(蟲啖卽成糞)이라, 벌레가 씹어서 먹으면 똥이 되는 것이고, 또는 화소즉성회(火燒卽成灰)라, 불로 태우면 재가 된다는 말입니다. 끝내 추구(推求)해 본다고 할 때 결국은 정상(淨相) 곧, 깨끗한 모양을 찾아볼 수가 없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해서, 내 몸 부정과 또는 우리가 집착하는 남녀의 상에 대해서 집착을 풀어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
수식관(數息觀), 육묘문(六妙門)
|
육묘문(六妙門)
|
그 다음은 수식관(數息觀)입니다.
앞서 말씀한대로, 우리가 실상묘법(實相妙法)이나 또는 부처님을 생각 하면서, 염불도 하고 참선도 하고 그러한 일승수행법(一乘修行法), 조금도 방편설(方便說)이 아닌 일승수행법을 하면 되겠지요.
그러나, 그렇게 해서 공부가 잘 안될 때는 업장이 무거운 소치이므로, 아까 말씀한 부정관이나 이런 관법을 좀 하는 것입니다. 내나야 업장이 무거운 시초가 결국은 나 때문에 있으니까 말입니다. 아(我)에서 녹아지면, 그때는 업장은 수수께끼처럼 풀려가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부정관과 동시에 호흡관(呼吸觀)이라, 산란스러운 것이 또 큰 병이니까 산란심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호흡관을 말씀하셨습니다. 아까, 쉬는 시간에 어느 보살님이 올라 와서 "산란스러워서 공부가 안됩니다" 고 말씀합니다. 산란심(散亂心)이 없으면 도인(道人)입니다. 일념불생 즉명위불(一念不生 卽名爲佛)이라, 일념도 다른 생각이 안 나오면은 그때는 도인인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욕계산지(欲界散地)인지라, 욕계의 산란중생이니까, 산란심이 나오기 마련인 것입니다. 따라서, 산란심이 많을 때는 호흡관을 주로 하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호흡관(呼吸觀)을 육묘문(六妙門)이라, 여섯 가지로 구분해서 말씀한 법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경(經)으로서, 호흡만 가르치는 경이 있어 굉장히 번쇄(煩쇄)합니다마는, 그것을 다 소개할 수 없고 다만 간략하니 여섯 가지로 해서 호흡하는 방법을 말씀한 것이 육묘문입니다. 처음에는 수식문(數息門)이라, 숨을 헤아리는 방법입니다.
지금 호흡을 가르치는 어떤 분들은 하나부터 백까지로 하기도 합니다만, 우리 부처님 법문 가운데 수식(數息)하는 법은 그렇게는 안 되어 있습니다. 수를 너무 많이 헤아리면 도리어 그 놈 헤아리는 가운데 잊어 버리기도 하고 산란스러우니까, 많이는 않고서 그냥 하나에서 열까지만 되풀이 합니다. 자기 호흡에 맞추어서 열까지 세고, 다시 또 하나부터서 열을 세고 자꾸만 되풀이 합니다.
이렇게 하는 가운데 숫자에 따라 우리 마음이 모아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자연적으로 호흡도 가지런하니 되어 옵니다. 이같이 자기 호흡과 맞추어 수를 헤아려서 마음을 안정하는 법입니다.
그 다음은 수문(隨門)이라, 숨을 헤아린다고 하면, 그때는 '하나구나, 둘이구나' 하는 관념을 두어야 하겠지요. 그러나, 그런 관념을 두면 생각하는 그것이 또 산란스럽단 말입니다. 생각을 않고서 그냥 하나, 둘 못 세어갑니다. 곧 관(觀)을, 생각을 두어야 만이 셋이고 넷이고 헤아리지 않겠습니까, 그러므로, 그때는 수(數)를 놓아버리고, 수를 헤아리지 않고서 그냥 숨 쉬는대로, 숨 나가는대로 생각만 합니다. '아, 숨이 나가는구나, 숨이 들어오는구나' 하고 말입니다. 그것이 따를 수자 수문(隨門)입니다. 자기 숨 닿는 데에 따라서 편안히 보면서 다만, 우리 마음을 숨에다만 관심을 두고 의식만 한다는 말입니다.
숫자를 헤아리면 헤아리는 그것 때문에 마음으로 분산(分散)이 생기니까, 숨 따라서 숨이 가는데다 의식만 두는 것입니다. 이것이 수문(隨門) 입니다.
그 다음이 지문(止門)이라, 수문으로 해서 공부가, 마음이 좀 모아지겠지요, 그러나 또 한 가지 병은 마음이 숨에다 관심을 두니까 그것도 역시 하나의 집착(執着)이 안되겠습니까, 바로 그때는 '숨 쉬든가 말든가' 가만 두어버리는 것입니다. 이래서, 숨을 딱 정지를 시킨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지문(止門)입니다. 그러나, 호흡이 산란스러운 것이 약간 제거(除去)가 안 되면, 그때는 숨 그치는 것은 좋지 않은 것입니다. 마음이 안정이 되고, 호흡이 어느 정도 그야말로 참, 스스로 호흡을 의식하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호흡과 마음을 딱 머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접때 말씀한대로, 우리 마음의 산란스러운 정도와 호흡은 같이 상응(相應)하여 정비례(正比例)합니다. 마음이 산란스러우면 따라서 호흡도 산란스럽고 또는 그 반대로 호흡이 정화(淨化)되면 마음도 정화됩니다. 따라서, 마음공부만, 참선이나 염불만, 오로지 하면 자연적으로 호흡도 정화됩니다. 그 반대로 호흡을 다스리면 마음도 역시 정화됩니다. 그러기에, 부처님께서 이런 법문을 이렇게 제시(提示)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역시 불교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 마음이 주인인 관계상, 마음을 주로하는 데에다 역점(力點)을 두고서 호흡을 곁들이면 되는것입니다. 그러면 이것이 정도(正道)가 되는 것이고 외도(外道)가 안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호흡을 딱 멈출 정도가 되면 그때는 몸에서 이상한 기운이 나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호흡이 거치러우니까 우리한테 잠재해 있는 무한한 힘이 안 나오는데, 호흡만 끊어질 정도가 되면 그때는 우리한테 갖추어 있는 무한한 힘 곧, 불성(佛性)의 힘, 불심(佛心)이 조금씩 솟아오는 것입니다. 그때는 환희심(歡喜心)도 충만하고 말입니다.
그러면, 중생이 거기에 또 집착해버립니다. 관세음보살이 보이기도 하고, 훤히 광명이 보이기도 하면 '좋다' 하고 거기에 딱 그때는 박혀버립니다. 이렇게 집착하면 또 역시 공부가 안나가지고 해탈(解脫)로 못 갑니다.
내 스스로가 천지우주와 하나가 되어버리는 그때까지는 내나야 모두가 하나의 과정에 불과합니다. 석가모니가 앞에 보이건, 관음 보살이 보이건 아직 그것은 끄트머리가 아니라 과정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거기에 착(着)하면 안됩니다. 어떤 것에 밀착(密着)되고 거기 다 맛붙여서 착(着)할까 봐서, 지문(止門) 다음에,
관문(觀門)이라, 법을 관찰한다는 말입니다.
부처님이 제시한 실상관(實相觀)이나 법계관(法界觀)이나 여러 가지 법문에 따라 관법(觀法)을 제시합니다. 그런 관법으로써 집착하는 그 다음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관법을 하다 보면, 관법을 무슨 대상적(對象的)으로 법(法)이 있다고 생각한단 말입니다. 내나야 모두가 바로 보면 '그 자체가 없는 하나의 법상' 인 것인데, '내가 있고 법이 있다' 고 생각합니다.
가사, 부처님 법문으로써 하나의 심월관(心月觀)이라, '내 눈 앞에 이렇게 심월(心月)이 있다' 이렇게 관찰하라고 하면 실은, 심월 그것도 역시 내 마음과 둘이 아닌 것인데, 하다 보면 심월이란 그런 달이 밖에 따로 있다고 생각한단 말입니다. 나와 너를 구분해서 본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곤란스럽습니다. 때문에, 다음은 환문(還門)이라, 그때는 회광반조(廻光返照)라, 다시 관찰하는 대상을 떠나서 돌이켜 자기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내 나야 그런 법도 내 자성(自性)의 한 가지 광명이구나' 이렇게 관찰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은 정문(淨門)이라, 우리 중생은 아직 도를 못 깨달으면은 또 자타(自他)가 없다는 데에, 너도 없고 나도 없다는 그런 것에 또 집착하는 것입니다. 원래 평등무차별(平等無差別)해서 그야말로 어떻게 말로 할 수 없는 것인데, 어느 문자(文字)나 어느 법(法)에 집착합니다. '내가 없다. 너일리가 없다' 하는 '없다는 것' 에 말입니다. 대상도 없고 나도 없다는 그런 '없다는 것' 에 착(着)하는 그런 마음을 없애고, 즉 말하자면 무능소(無能所)라, 능소가 없는 아주 그야말로 일미평등(一味平等)한 자리를 얻기 위해서 이제, 환문(還門)지나서 정문(淨門)에 온다는 말입니다.
이와 같이 성불로 간다는 것이 육묘문(六妙門)의 법문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처음엔 호흡을 헤아리는 데서(數息門), 그 다음엔 호흡을 헤아리지 않고서 숨 쉬는데로 내버려 두고 거기에다 의식만 붙이는 수문(隨門), 그 다음은 호흡을 딱 정지하는 지문(止門), 다음은 어느 법을 관찰하는 관문(觀門), 그 다음은 다시 마음을 되비쳐서 관찰하는 환문(還門), 그 다음은 이것도 저것도 다 떠나서, 그야말로 조금도 차별도 없고, 능소도 없고, 분별시비를 떠나버린 그런 문이 이제 정문(淨門)인 셈이지요. 그러나, 이같이 복잡한 것을 많이 나열시켰습니다마는, 정통 대승(大乘)공부는, 저번에 말씀한 바와 같이 최상승선(最上乘禪)이라, 본래시불(本來是佛) 곧, 본래 부처요, 본래 우리 자성(自性)에는 번뇌가 없고 무량공덕을 갖추고 있는 그 자리, 한도 끝도 없는 신비(神秘) 부사의(不思義)한 공덕이 갖추어 있는 그 자리를 우리가 바로 보고 바로 깨달아야 할 것인데, 그렇게 못할 적에, 그런 공부가 안될 때에 잠시간 이와 같이 하는 것이지, 이것으로서 항시(恒時) 할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호흡(呼吸)을 심, 장, 세, 균(深, 長, 細, 均)케 하여 즉, 호흡을 깊게하고, 짧지않고 길게, 거칠지 않고 세밀하게 그리고 고르게 하여서 지식(止息)에 도인(導引)하여 이끌고 번뇌를 멸진(滅盡)하는데 호흡법이 필요한 것이요, 다만 우리가 항시 할 것은 무엇인고 하면, '내자성(自性)이 원래 부처요, 천지우주가 이대로 일체 공덕을 다 갖춘 부처뿐이구나!' 이렇게 느껴서 자기가 하고 싶은대로 화두나 염불을 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지만 잘 안 될 때는 '아, 내가 아마 너무나 나한테, 나라는 것에 대해서 집착이 많구나' 이런 때는 부정관에서와 같이 나를 좋아하는 생각, 너를 좋아하는 생각, 이것을 끝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내나야 나를 좋아하는 생각, 이것을 끝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내나야 나를 좋아하고 너를 좋아하고 너를 싫어하고 미워하고 그런 것 때문에 망상(妄想)이 생기니까 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이것은 임시 방편(方便)으로 제시한 것이지 참다운 행법(行法)은 최상승선(最上乘禪)자리입니다. '본래 부처이기 때문에 본래 번뇌가 없고 천지우주가 일체 공덕을 다 갖춘 부처뿐이구나!' 이와 같이우리가 깨달은 셈치고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른 수행법인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오늘 내일까지 용맹정진을 합니다.
달마(達磨)스님 말씀에 '초범증성(超凡證聖)이 목격비요(目擊非遙)라' 범부를 넘어서 성자(聖者)가 되는 것이, 눈 깜짝할 동안에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도인(道人)을 어디서 꾸어가지고 오는 것도 아닌 것이고 우리가 볼래 성자(聖者)가 아닌 것도 아닙니다. 볼래 부처고 본래 성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한 생각 돌이켜서 그 생각 사무치면 벌써 그 자리가 깨달은 자리입니다. '초범증성이 목격비요라, 우리가 범부를 넘어서 성인되는것이 눈 깜짝 할 동안에 있거니, 어찌 애써서 우리가 이제 흰머리 날 때까지 수고로이 할 것인고'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생활 환경이 바뀌어져서 앉으시기도 괴로울 것입니다마는 아무튼, 오늘 내일 사이 부처님께서 성도(成道)하신 내일까지 눈 깜짝할 동안이 몇천번 있습니다. 하기 때문에 이제 그 동안에 꼭 대각(大覺)을 성취하시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이만 마칩니다 |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발심수행장·수행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룡스님의 진언수행 영험담 (0) | 2013.09.19 |
---|---|
修道의 位次(수도의 위차,수행의 순서)/청화스님 (0) | 2013.09.12 |
부정관(不淨觀)ㆍ자비관(慈悲觀)ㆍ인연관(因緣觀) / 청화 큰스님 (0) | 2013.09.05 |
이 세상 가운데서 가장 소중한 이름이 부처님 명호입니다/청화스님 (0) | 2013.09.05 |
수행을 진보시키는 다섯가지 방법/현법스님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