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 2. 20:27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빔(공)1
1.
In the previous talk I spoke of emptiness as being an important subject but the occasion didn't permit me to give it the special attention necessary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So as some aspects of this subject of emptiness remain obscure, today I have come to talk about it specially.
전번 법문에서 빔(공)을 중요한 주제라고 언급했지만, 철저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특별한 주목을 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빔(공)이란 이 주제의 어떤 면들이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으므로 오늘은 특별히 빔(공)에 대해 말해 보겠습니다.
Emptiness is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of all the Buddhist Teachings because it is their innermost heart. Being called a heart it must obviously be something subtle and profound. Its understanding does not lie within the scope of mere conjecture or the sort of pondering that ordinary people are accustomed to. It can only be understood by determined study.
빔(공)은 붓다 가르침 중에서 가장 내부 깊숙한 심장 속에 있으므로 매우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심장이라고 불리므로 그것은 명백히 미묘하고 심오한 어떤 것입니다. 그 이해는 평범한 사람들의 익숙한 숙고나 단순한 추측의 범주 내에 있지 않습니다. 빔(공)은 확고한 결심으로 공부해야만 이해할 수 있습니다.
The most essential meaning of the word 'study' is of the unceasing, dedicated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whatever arises in the mind, be it pleasant or unpleasant. only one familiar with the observation of mind can really understand Dhamma. one who merely reads books cannot understand and what's more may even go astray. But one who tries to observe the things going on in the mind and always takes that which is true in his or her own mind as a standard has no way to get, muddled. Such a person will be able to comprehend Dukkha and the cessation of
Dukkha and ultimately will understand Dhamma. Then if books are read they will be understood well.
공부한다는 말은, 즐겁거나 즐겁지 않거나 마음에 일어나는 무엇이든지 끊임없이 관찰과 조사에 몰두하는 것이 그 가장 본질적인 의미입니다. 마음을 능숙히 관찰할 때에만 실제로 담마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책만 읽는 사람은 이해할 수 없고, 이에 더하여 빗나간 길로 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음에 일어나는 일을 관찰하고 항상 자신의 마음에서 진실한 것을 기준으로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혼란되지 않으며 빗나가지 않습니다. 이런 사람은 둑카(고)와, 둑카(고)의 소멸을 이해할 수 있고, 궁극에는 담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책을 읽을 때,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From the moment of birth to the time of death we must train ourselves in this way, examining the contact of the mind with the objects that surround it and the nature of the results of that contact, for in that natural process there will inevitably be both pleasure and pain and observing them will make 'the mind wiser and more resilient. To keep observing the nature of our thoughts generates a mind emptied of Dukkha, and so, is the very best knowledge there is. Through it we gain familiarity with the realization or awareness of emptiness.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마음과 주위 사물의 접촉과, 이 접촉의 결과로 생긴 것의 성품을 조사 검토하는 식으로 훈련해야 합니다. 자연적인 과정에서 즐거움과 고통은 피할 수 없이 있을 것이며, 이것을 관찰하는 것은 마음을 더 지혜롭고 유연하게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각의 성품을 계속 관찰하면 둑카(고)가 없는 마음이 생기고, 그리고 그곳에는 최상의 앎이 있습니다. 그 앎을 통해 깨달음 또는 빔(공)을 알아차리는 것에 친숙하게 됩니다.
Please think back to the point made in the last talk that the Commentators all called the Buddha the 'Spiritual Doctor' and divided disease into two kinds: that of the body/mind and that of the spirit. Both diseases of the body and those of the mind such as are treated in mental hospitals were considered to be Physical Disease. Spiritual Disease, or Mental Disease as they called it, refers to the disease that must be treated with Dhamma. So I would like to make the point that if you are really to understand disease you must make this division: take diseases of the body and of the mind (the mental body) as being both physical disease. As for spiritual disease it is not a disease of the brain or nervous system but is an illness affecting truth discerning awareness (satipanna), that which knows our life and the world as they truly are. So it refers to Ignorance or the wrong understanding that springs from ignorance and causes the wrong actions that lead to Dukkha:, even if physically and .mentally we are quite healthy.
지난 법문에서, 모든 주석서에서는 붓다를 '영적 의사'라고 불렀고, 병을 두 종류, 즉 몸-마음의 병과 영적인 병으로 나누었다는 것을 상기하기 바랍니다. 몸의 병과, 정신병원에서 치료하는 것과 같은 마음의 병은 육체적 병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영적 병, 또는 주석서에서 정신적 병이라고 부르는 것은 담마로 치료해야 하는 병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정말로 병을 이해하고자 하면 몸과 마음(정신체)의 병을 모두 육체적 병으로 간주하는 분류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싶습니다. 영적 병은 뇌나 신경계의 병이 아니라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사띠-빤냐)'에 영향을 주는 병을 말합니다.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은 우리 삶과 세계를 있는 사실 그대로 아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영적 병은 무지에서 일어나고 둑카(고)에 이르는 잘못된 행동의 원인이 되는 무지 또는 잘못된 이해를 말합니다. 비록 육제적으로 정신적으로 아주 건강하다고 하더라도 영적 병이 있습니다.
When we are suffering from Spiritual Disease with what must we treat it? We must treat it with emptiness. What's more, emptiness (sunnata) is not only the cure of the disease but is also the freedom from disease. There is nothing beyond emptiness. The medicine which cures the disease is the knowledge and practice that gives birth to emptiness. When emptiness has appeared, it will be the cure of the disease and alter recovery from the disease there will be nothing save emptiness, the state void of Dukkha and void of the mental defilements that are the cause of Dukkha. This emptiness, which has that wide breadth of meaning, is self-existent: nothing can come to touch it, develop it, improve it, or do anything to it. Thus it is a timeless state, for it mows neither birth nor death. Its 'being' is not the same as the being of things which are born and die but since we have no other word to use, we say
that it has being characterized by immutable emptiness.
영적 병으로 괴로워하고 있을 때 무엇으로 치료해야 할까요? 영적 병은 빔(공)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빔(공)은 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병에서 해방되게 합니다. 빔(공) 위로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병을 치료하는 약은 빔(공)을 생기게 하는 지식과 실천입니다. 빔(공)이 나타났을 때, 빔은 병을 치료하여 회복시킬 것이며 빔을 구제할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빔은 둑카(고)가 없는 상태이며, 둑카를 일으키는 원인인 정신적 오염원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 빔(공)에는 넓은 의미가 있으며, 스스로 존재합니다. 어떤 것도 빔(공)을 건드리거나 계발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그에 어떤 일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빔(공)은 시간을 초월한 상태입니다. 탄생과 죽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 존재는 태어나고 죽는 사물의 존재와는 다릅니다. 그러나 이를 표현할 다른 말이 없기 때문에 '불변의 빔(공)'으로 특징지어진다고 말합니다.
If anyone realizes, that is to say if anyone's mind realizes this thing, then it will be the medicine that cures the disease and the immediate recovery from disease, a state timelessly empty. It is true health. Please keep trying to grasp the meaning of this word emptiness, or sunnata as it is in Pali, as I explain it point by point.
누군가 깨달으면, 즉 누군가의 마음이 이것(빔)을 깨달으면, 병을 치료하고 즉시 병에서 회복되어 영원한 빔(공)의 상태가 될 것입니다. 이것이 진짜 건강입니다. 이 빔(공), 팔리어로 순냐따(sunnata)란 말의 의미를 포착하는 노력을 하기 바랍니다. 빔(공)의 의미를 이제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Firstly, consider the point that the Buddha declared that every word that he, the Tathagata [14] spoke referred to the subject of emptiness. He spoke of no other matter,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y talk unconnected with the subject of emptiness is not the speech of the Tathagata but of disciples of a later time who liked to speak at great length to show how clever and articulate they were.
우선, 붓다께서는 따타가따가 한 모든 말은 '빔(공)'이라는 주제에 관한 것이라고 선언하신 점을 숙고해 보십시오.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다른 주제를 말씀하신 것이 아닙니다. 빔(공)이란 주제와 관련이 없는 법문은 어떤 것도 따타가따가 말씀하신 것이 아니고, 후대 제자들의 말입니다. 특히 얼마나 명석하고 분명하게 설명하는지 보이려고 길게 늘여 말하기를 좋아하는 제자들의 말입니다.
One can, if one wants to, add much more, for example: that emptiness is the absence of self or what belongs to self, for the word emptiness has a whole host of applications. Although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remains constant, its expressions are innumerable. That being so, we will aim to examine emptiness only as absence of Dukkha and the defilements that are the cause of Dukkha and as the absence of the feeling that there is a self or that there are things which are the possessions of a self. This is emptiness as it relates to our practice of Dhamma.
누군가 설명을 더 많이 보태어 주기를 원한다면, 예를 들어, 빔(공)은 자아가 없고 자아에 속하는 것이 없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빔(공)이란 말은 모든 지주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비록 빔(공)의 특성은 변하지 않으나 수없이 다르게 표현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는 둑카(고)와 이의 원인이 되는 오염원이 없고, 자아가 있다는 느낌이 없고, '자아에 속하는 사물이 있다'는 느낌이 없는 것으로만 빔(공)을 검토하겠습니다. 이것은 담마의 실천과 관련된 빔(공)입니다.
If we enquire which of the Buddha's utterances dealing with this matter can be taken as authoritative statements we will find that in many places the Buddha taught us to know how to look on the world as being empty, as in the phrase of ''Sunnato lokam avekkhassu mogharaja sada sato' which means "You should look on the world as being empty. If you can be always aware of the emptiness of the world, death will not find you."
이 문제를 언급한 붓다의 말씀으로서 믿을 만한 구절을 찾고자 하면, 많은 곳에서 붓다께서는 세상을 어떻게 빈 것으로 바라보는지 알도록 가르치신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붓다의 말씀으로서, "순냐또 로캄 아웩카쑤 모가라자 사다 사또(sunnato lokam avekkhassu mogharaja sada sato)"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구절은 "세상을 빈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항상 세상을 빈 것으로 알아 차릴 수 있다면, 죽음이 자신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는 의미입니다.
These words of the Buddha enjoining us to see the world as being empty show that it is the highest thing. Anyone who wants to be without problems concerning Dukkha and death, should look on the world, i.e. on all things, as they truly are namely as empty, neither 'I' nor 'mine'. The statements of the Buddha that follow on from show the benefits: 'Nibbanam paramam sunnam and 'Nibbanam paramam sukham', which translate as 'Nibbana is the supreme emptiness' and 'Nibbana is the supreme happiness'. You must understand that Nibbana is the remainderless extinction of Dukkha, means the same as supreme emptiness, and that it is possible to know and realize an emptiness that is not supreme, an emptiness that is in some way deficient or false. The truth-discerning awareness must be so impeccably clear that one has not the slightest feeling of 'self' or 'belonging to self' for it to be called paramam sunnam, supreme emptiness. Supreme emptiness is Nibbana because it completely extinguishes the things that are on fire, the stream or whirlpool of flowing and changing phenomena. Thus the supreme emptiness and the supreme extinction are one and the same thing.
세상을 빈 것으로 보라고 이르신 붓다의 이런 말씀은 그렇게 보는 것이 최상이라는 것을 말해 줍니다. 둑카(고)나 죽음과 관련하여 문제가 없기를 바라는 자는 세상, 즉 모든 사물을 진실로 '나'나 '내 것'이 없는 '빈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어지는 붓다의 말씀은 (세상을 빈 것으로 볼 때) 그 이득을 말해 줍니다. '닙바남 빠라남 순냠'과 '닙바남 빠라남 수캄'은, '닙바나(열반)는 최상의 빔이다'와 '닙바나(열반)는 최상의 행복이다'로 번역되는 말씀입니다. 닙바나(열반)는 둑카(고)의 완전한 소멸이고, 최상의 빔(공)과 같은 것이며, 불완전하고 그릇된 빔(공)을 알고 깨닫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은 한 점 나무랄 데 없이 투명하여 '최상의 빔'이라 불리므로, (열반에 이른) 자는 '자아가 있다는 느낌'이나 '자아에 속하는 사물이 있다는 느낌'이 조금도 없습니다. 최상의 빔은 불타는 사물을 완전히 끄서 식히고, 유동과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흐르고 변하는 현상을 완전히 소멸시키므로 닙바나(열반)입니다. 그러므로 최상의 빔과 최상의 소멸은 하나이며 동일한 것입니다.
As for the saying that Nibbana is the supreme happiness, it is an expression in the language of relative truth, a sort of enticing propaganda in the language of the common man used because in general people are infatuated with happiness, they want nothing else. So it is necessary to tell them that Nibbana is happiness and what’s more it's the supreme happiness. But truly speaking Nibbana is greater than happiness, beyond it. It is emptiness. It can't be said to be either happiness or suffering because it lies beyond both the suffering and the happiness known by the common man. But when one speaks like this, people don't understand and so it's said instead, in the language of the worldly, that it is ultimate happiness. This being so, when using the word happiness you must be careful to use it in its proper sense. It is not the happiness that people generally see or aspire to. It is a different sort of happiness, it is the state empty of every single thing that proliferates, flows, and changes. Thus it is truly lovely, truly refreshing and truly desirable. For if there is still flowing and changing, a constant swaying and rocking, how can there be happiness?
'닙바나(열반)가 최상의 행복이라는 말은 상대적 진리를 나타내는 언어상의 표현입니다. 일반인들은 행복에 홀려 다른 어떤 것도 바라지 않으므로 보통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로 마음을 끌어 (담마를) 가르치기 위한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인들에게는 닙바나는 행복이고, 더우기 최상의 행복이라고 말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진실을 말하면, 닙바나(열반)는 행복보다 더 높은 것이며, 행복을 초월하여 있습니다. 그것은 빔(공)입니다. 그것은 보통 사람이 알고 있는 괴로움이나 행복을 초월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행복이나 괴로움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말할 때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하므로, 세상말로 대신하여 최상의 행복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말하므로 행복이란 말을 사용할 때는 주의하여 타당한 의미로 사용해야 합니다. 열반(빔)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보고 갈망하는 행복이 아닙니다. 그것은 다른 종류의 행복이며, 증식하고 흐르고 변하는 사물이 비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진실로 멋지고 진실로 신선하고 진실로 바람직한 것입니다. 아직 흐르고 변하는 것이 있어서 계속 흔들리고 동요한다면, 어떻게 행복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Thus the feelings of pleasure arising from contact with the various sense-objects are illusory, they are not the ultimate happiness. The happiness of the common man is not the supreme happiness of Nibbana that is emptiness. So in hearing the phrase 'Nibbana is the supreme happiness' don't go jumping to the conclusion that Nibbana is exactly what you're looking for and start dreaming about it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it is also supreme emptiness.
다양한 감각 대상이 접촉하여 일어나는 즐거운 느낌은 환영일 뿐이며, 최상의 행복이 아닙니다. 보통 사람의 행복은, 빔(공)의 상태인 닙바나(열반)라는 최상의 행복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닙바나(열반)는 최상의 행복이다'라는 말을 들으면, '최상의 빔(공)'이란 말도 고려하지 않고 닙바나(열반)는 자신이 찾고 꿈꾸는 것과 꼭 같다는 결론을 내리는 일이 없기 바랍니다.
The saying of the Buddha which deals with the practice in regard to emptiness is the one that is the heart of the Buddhist Teachings: 'Sabbe dhamma nalam abhinivesaya' which translates literally as 'No dhamma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If one amplifies the meaning a little it may be rendered as 'no one should grasp or cling to anything as being I or mine'. 'No one' means that there are no exceptions; 'should grasp or cling' means to give rise to ego-consciousness; 'as being I' refers to the feeling called ahamkara, the grasping at a (non-existent) soul or abiding ego-entity; 'as being mine' refers to the feeling called mamamkara, the grasping at phenomena as being connected to ego. So don't have ahamkara or mamamkara with regard to anything at all starting from a worthless speck of dust up to valuable objects such as diamonds, sapphires, gems and the objects of sensual desire, and on to things higher than that - Dhamma, its theory, practice and attainment, the Path - Realizations, their
Fruits[15] and Nibbana. Nothing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as being 'I' or 'mine'. This is the heart of the Buddhist Teachings and was affirmed to be so by the Buddha himself.
빔(공)에 관한 실천을 언급하고 있는 붓다의 말씀은 '붓다 가르침(붓다 담마)'의 핵심입니다. 그 말씀은 "삽베 담마 날람 아비니웨사야"로서, 직역하면 '어떤 담마도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입니다. 그 의미를 좀 확대하면, "어느 누구도 어떤 것을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No one should grasp or cling to anything as being I or mine)"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No one'은 예외가 없다는 뜻입니다. 'should grasp or cling'는 자아 의식이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as being I'는 아함까라(ahamkara)라 부르는 느낌, 즉 (존재하지 않는) 영혼이나 영속하는 자아 실체에 집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as being mine'은 마맘까라(mamamkara)라 부르는 느낌, 즉 현상을 자아에 관련된 것으로 집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하찮은 먼지 한 점부터 시작하여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보석과 같은 귀중품과 감각적 욕망의 대상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이 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것, 즉 담마, 그 이론, 실천과 성취, 그리고 도(道)의 깨달음, 그것의 과(果)와 닙바나(열반)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것에 관해서도 아함까라('나'라는 느낌과 집착)나 마맘까라('내 것'이라는 느낌과 집착)를 가지지 마십시오. 어떠한 것도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것이 붓다 가르침의 핵심이고, 붓다께서 직접 그런 상태(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확언하신 가르침입니다.
He said that to have heard the phrase sabbe dhamma nalam abhinivesaya, is to have heard every phrase of the Teachings, to have put it into practice is to have done every practice, and to have reaped the fruits of that practice is to have reaped every fruit of the Buddhist Teachings. So we don't need to be afraid that there is too much to understand. The Buddha made the comparison that the things that he had realized were as many as all the leaves in the forest but those which he had brought out to teach were a single handful. The 'single handful' he was referring to was this principle of not grasping at or clinging to anything as being self or as belonging to self.
붓다께서는, '어떤 담마도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가르침을 모두 들은 것이고, 이 말에 따라 실천하면 모두 실천한 것이며, 이 실천의 결실을 거두면 가르침의 모든 결실을 거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이해해야 할 것이 너무 많다고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붓다께서는 자신이 깨달은 것을 숲에 있는 모든 잎 만큼 많지만 보여야 할 것은 '단 한 줌'이라고 하였습니다. 붓다께서 말씀하신 '단 한 줌'은 '어떠한 것도 '자아'나 '자아에 속한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는 이 원칙이었습니다.
To have heard this phrase is to have heard every phrase because all subjects are condensed within it. Of all the things that the Buddha taught there wasn't one that didn't deal with Dukkha and the elimination of Dukkha. Grasping and clinging are the cause of Dukkha. When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there is Dukkha. The practice is to make the non- arising of grasping and clinging final and permanent, so that the mind is unceasingly empty. Just that is enough. There is nothing else to do.
이 구절을 들으면, 모든 주제가 그 안에 함축되어 있으므로 모든 구절을 들은 것입니다. 붓다께서 가르치신 모든 것은 둑카(고)와, 둑카(고)의 소멸을 다룬 것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은 둑카(고)의 원인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이 있으면 둑카(고)가 있습니다. 실천(수행)은 마음이 끊임없이 비도록 움켜쥠과 집착이 영원히 하나도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으로 충분합니다. 해야 할 다른 것은 없습니다.
'This practice is every practice'. Try to think if there's anything that remains to be practised. At any moment that any person, whether it's Mr. Smith or Mrs. Jones or anyone at all, has a mind that is free of grasping and clinging, what will there be present in their minds?
'이러한 실천(수행)이 실천(수행)의 모든 것입니다.' 실천해야 할 남아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순간에 어느 누구이든 움켜쥠과 집착에서 해방된 마음을 가졌다면, 그 사람의 마음에 무엇이 있겠습니까?
Please think it over. We can take it step by step from the Triple Refuge to virtuous conduct, samadhi and the discernment of truth, on to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At that moment they have reached the Buddha, the Dhamma and the Sangha, for to have a heart free of the mental defilements and Dukkha is to be one with the heart of the Triple Gem. They have reached them without having to shout out Buddham saranam gacchami [16]or any of the rest of it. Crying out Buddham saranam gacchami and so on is just a ritual, a ceremony of entrance and is an external matter; it doesn't penetrate to the Buddha, Dhamma, and Sangha in the heart. If at any moment any person at all has a mind empty of grasping at and clinging to 'I' and 'mine', even if it's only for an instant, it means that the mind has realized emptiness. It is pure, radiant and at peace. It is one and the same thing as the heart of the Buddha, the Dhamma, and the Sangha. Thus at any moment that one has a mind empty in this way one has taken refuge, one has reached the Triple Gem.
(무집착을) 깊이 생각해 보십시오. 삼귀의(붓다, 담마, 및 상가에 귀의)에서 시작하여 계율을 지키고 고요함을 계발하며 진리를 식별하는 통찰력을 계발하면서 한 단계씩 나아가서, 도(道)를 깨닫고 그 과(果)와 닙바나(열반)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 순간에는 붓다, 담마, 및 상가에도 이른 것입니다. 정신적 오염원과 둑카(고)에서 해방된 마음은 삼보(붓다, 담마, 및 상가)의 마음과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람은 '붓다에 귀의합니다'나 나머지 글귀 중의 어떤 것을 영송하지 않고도 귀의처에 이릅니다. '붓다에 귀의합니다' 등을 영송하는 것은 단지 의례 의식의 첫부분이며 외적인 일입니다. 이 영송이 가슴 깊은 곳에서 붓다와 담마와 상가를 통찰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순간에 조금이라도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는 마음을 가졌다면, 비록 한 순간일지라도 그것은 마음이 빔(공)을 깨달았다는 것의 의미입니다. 그 마음은 순수하고 빛나고 평화롭습니다. 그 마음은 붓다, 담마, 및 상가의 마음과 하나이며 동일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식으로 빈 마음을 가진 순간에는 그 사람은 귀의한 것이며 삼보에 이른 것입니다.
To move onto giving dana (alms) and making donations. The meaning of giving dana and donations is to relinquish, to end all grasping at and clinging to things as being 'I' or 'mine'. As for giving in order to receive a much greater reward, such as giving a tiny amount and asking for a mansion up in heaven, that's not giving, it's just a business deal. Giving must be without strings attached a casting off of things that we grasp at and cling to as being 'I' and 'mine'. At the moment that one has a mind empty of ego-consciousness, then one has made the supreme offering, for when even the self has been given up, what can there be left? When the 'I - feeling' has come to an end then the 'mine - feeling' will vanish by itself. Thus at any moment that a person has a mind truly empty of self, when even the self has been completely relinquished, he or she has developed giving to its perfection.
다나(보시)를 생각해 봅시다. 다나(보시)를 한다는 것은 포기하는 것, 즉 사물을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입니다. 조금 주고 천상의 저택을 바라는 것과 같이 더 많은 보답을 받기 위해 주는 것은 다나(보시)가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상거래입니다. 다나(보시)는,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사물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끈이 없는 것입니다. 이 때에 그 사람은 자아 의식이 없는 마음을 가진 것이며 최상의 다나(보시)를 한 것입니다. 자아가 버려졌을 때 무엇이 남아 있겠습니까? '나라는 느낌'이 사라지면 '내 것이라는 느낌'도 저절로 사라질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때에 진정으로 자아가 없는 마음이 되었을 때, 즉 자아 조차도 완전히 버려졌을 때, 그 사람은 다나(보시, 보시라는 바라밀)를 완전하게 계발한 것입니다.
To move onto Sila (Virtuous Conduct), one who has an empty mind, free of grasping at and clinging to a (non-existent) self or to things as being possessions of a self, is one whose bodily and verbal actions are truly and perfectly virtuous. Any other sort of sila is just an up-and-down affair. We make resolutions to refrain from this and abstained from that and then we can't keep them. It's up - and - down because we don't know how to let go of self and the possessions of self right from the start. There being no freedom from self there can be no real sila, or if
there is, it's inconsistent. It is not ariyakantasila, the virtuous conduct that is of contentment to the Noble ones, it is worldly sila, continually up and down. It can never become transcendental sila. Whenever the mind is empty, if it's only for a moment, or if it's for a day or a night or however long, for that length of time one has true sila.
다음, 실라(지계, 계율을 지킴)를 생각해 봅시다. 마음이 비어 있어서, (존재하지 않는) 자아나 자아를 가진 것으로 여기는 사물에 집착하는 것에서 해방된 사람은, 몸으로 하는 행위나 말로서 하는 행위가 진실하고 완전히 덕이 있는 사람입니다. 이와 다른 실라(지계)는 오르락 내리락 하는 행위일 뿐입니다. 이것을 삼가고 저것을 절제하고자 하는 결심을 한다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처음부터 바로 자아와 자아를 가진 것을 내려 놓는 방법을 알지 못하므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입니다. '자아'에서 해방이 없다면 진정한 실라(지계)일 수가 없습니다. 자아가 있다면 불만족(고)이 있습니다. 그것은 성자의 실라(지계), 즉 아리야칸따실라(ariyakantasila)가 아닙니다. 그것은 계속하여 오르락 내리락 하는 세속의 실라(지계)입니다. 그것은 결코 초세속의 실라(지계)가 될 수 없습니다. 마음이 비어 있을 때에만, 단지 한 순간이든, 하루 밤이나 낮이든,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에 관계없이 그 사람에게 진정한 실라(지계)가 있는 것입니다.
As for samadhi, an empty mind is the supreme samadhi, the supremely focused firmness of mind. The straining and striving sort of samadhi isn't the real thing and the samadhi which aims at anything other than non-clinging to the five khandas is micchasamadhi (wrong or perverted samadhi). You should be aware that there is both micchasamadhi and sammasamadhi (right or correct samadhi). only the mind that is empty of grasping at and clinging to 'I' and 'mine' can have the true and perfect stability of sammasamadhi. one who has an empty mind has correct samadhi.
사마디(집중)에 대해 말하면, 빈 마음이 최상의 사마디(집중), 즉 마음이 최상으로 확고히 집중된 상태입니다. 긴장되고 애쓰는 부류의 사마디(집중)는 진정한 사마디가 아닙니다. '오온(다섯 가지 무더기, 몸, 느낌, 인식, 의지적 행위, 의식)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 사마디(집중)는 밋차사마디(잘못된 사마디)입니다. 밋차사마디와 삼마사마디(올바른 사마디)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나'와 '내 것'에 집착하지 않는 빈 마음만이 사마디의 바르고 완전한 흔들리지 않음에 있을 수 있습니다. 마음이 빈 사람은 올바른 사마디(집중)에 있습니다.
Here we reach panna (the discernment of truth). It is clearly indicated' that knowing or realizing emptiness, or being emptiness itself is the supreme panna because at the moment that the mind is empty it is supremely keen and discerning. In contrast, when delusion and ignorance enter and envelop the mind, causing grasping at and clinging to things as self or possessions of self then there is supreme foolishness. If you think it over you will easily see for yourself quite clearly that when these things have left the mind there can be no foolishness. When the mind is empty
of foolishness, empty of 'I' and 'mine', there is perfect knowing or panna. So the wise say that emptiness and panna, the discernment of truth (or satipanna-truth-discerning awareness) are one. It's not that they are two similar things they are one and the same thing. True or perfect panna is emptiness, absence of the foolish clinging of delusion. once the mind is rid of delusion it discovers its primal state, the true original mind which is panna or truth-discerning awareness.
다음, 빤냐(지혜, 진리를 식별함)를 생각해 봅시다. 빔(공)을 알거나 깨닫거나 또는 빔(공) 그 자체가 최상의 빤냐(지혜)임을 분명히 나타냅니다. 마음이 비어 있는 순간에 최고로 예리하고 명석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미혹과 무지가 일어나 마음을 감싸고 사물을 자아와 자아에 속한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게 되면, 극도의 어리석음이 있습니다. 깊게 생각해 보면, 이 사물들이 마음에서 떠났을 때 어리석음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자신이 아주 분명히 쉽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음에 어리석음이 없고 '나'와 '내 것'이 없을 때, 완전한 앎, 즉 빤냐(지혜)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자는 빔(공)과 빤냐(지혜), 즉 진리의 식별(사띠빤냐,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은 하나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두개의 유사한 것이 아니고 하나이며 동일한 것입니다. 진정한(또는 완전한) 빤냐(지혜)는 빔(공), 즉 미혹의 어리석은 집착이 없는 상태입니다. 마음에서 미혹이 없어지면, 순수한 상태, 즉 빤냐(지혜) 또는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인 진정한 본래의 마음이 됩니다.
The word mind (citta) is being used here in a specific way. Don't confuse it with the 89 cittas or 121 cittas of the Abhidhamma. They are a different matter. That which we call the true original mind, the mind that is one with panna refers to the mind that is empty of grasping at and clinging to self. Actually this state shouldn't be called mind at all, it should be called emptiness but since it has the property of knowing we call it mind. The various schools call it by various names but strictly speaking it's enough to say that the true fundamental nature of mind is satipanna, truth-discerning awareness, absence of grasping and clinging. Thus in emptiness lie perfect panna.
마음(찌따)이라는 말은 여기서 특별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비담마에 나오는 89가지 마음 또는 121가지 마음과 혼동하지 말기 바랍니다. 그 마음은 다른 것입니다. 여기서 '진정한 본래의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자아에 집착하지 않는 빈 마음, 즉 빤냐(지혜)와 하나인 마음입니다. 여러 교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마음의 진정한 본래 특성은 움켜쥠과 집착이 없는,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 즉 사띠빤냐입니다. 그러므로 빔(공)에 완전한 빤냐(지혜)가 있습니다.
Now going on to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Here the progressively higher levels of emptiness reach their culmination in Nibbana, which is called paramasunnata or paramam sunnam - supreme emptiness. So now you may see that right from taking refuge onto giving dana, sila, samadhi and panna there is nothing other than emptiness, non-clinging to self. Even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itself do not exceed emptiness but are its highest, supreme level.
이제, 도(道)의 깨달음, 그 과(果)와 닙바나(열반)를 생각해 봅시다. 여기에서 점진적으로 더 높은 빔(공)의 수준으로 나아가면 그 정점인 닙바나(열반)에 이릅니다. 이 닙바나(열반)는 빠라마순냐따 또는 빠라남순냠, 즉 최상의 빔(공)이라 합니다. 그러므로 이제 다음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바로 귀의(삼귀의)에서 다나(보시), 실라(지계), 사마디(집중), 및 빤냐(지혜)에 이르기까지 그곳에는 자아에 집착하지 않는 빔(공)이 있다는 것입니다. 도(道)의 깨달음, 그 과(果)와 닙바나(열반)에도 빔(공)보다 높은 것은 없습니다. 빔(공)은 최상의 수준(단계)입니다.
Consequently, the Buddha declared that having heard this teaching is to have heard all teachings, to have put it into practice is to have done all the practices and to have reaped the fruits of that practice is to have reaped all fruits. The meaning of the word 'emptiness' is an essential point that you must try to keep in mind.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이 가르침(빔의 가르침)을 들으면 모든 가르침을 들은 것이고, 가르침을 실천하면 모든 실천을 한 것이며, 실천의 결실을 거두면 모든 결실을 거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빔(공)이란 말의 의미는 마음에 간직하려고 힘써야 할 근본핵심입니다.
빔(공)2
Now let us consider that all things are included in the term 'dhamma'. 'Dhamma' means 'thing', sabbe dhamma means 'all things'. You must be clear when you use the term 'all things' as to what it signifies. 'All things' must refer to absolutely everything without exception, whether worldly or spiritual, material or mental. Even if there was something outside of these categories it would still be included in the term all things and would still be a dhamma. So I would like you all to observe that:
이제 '담마'란 말에 포함된 '모든 사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담마(dhamma)는 '사물'이라는 뜻입니다. 삽베 담마(sabbe dhamma)는 '모든 사물'이라는 뜻입니다. '모든 사물'이란 말을 사용할 때, 이 말이 나타내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모든 것'은 세속적이건 탈속적이건, 물질적이건 정신적이건 예외없이 절대적으로 모든 것을 지칭합니다. 이 범주의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고 해도, 그것은 여전히 '모든 것'이란 말에 포함되고 여전히 담마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모두 다음 사항을 잘 알기 바랍니다.
"The worlds of material objects i.e. all realms of material objects are dhammas. The mind that is aware of all worlds is a dhamma. If the mind and the world come into contact, that contact is a dhamma. Any result of that contact, be it feelings of love, hate, dislike or fear, or satipanna, the clear seeing of things as they truly are, these are all dhammas. Right or wrong, good or bad, they are all dhammas. If satipanna, gives rise to various interior know ledges, those knowledges are dhammas. If those knowledges lead to the practice of sila, samadhi, and panna or any other type of practice, that practice is a dhamma. The results of practice, abbreviated as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even these are dhammas."
"유형의 물질세계, 즉 유형의 물질로 된 모든 영역은 담마다. 모든 세계를 아는 마음은 담마다. 마음과 세계가 접촉한다면 그 접촉은 담마다. 그 접촉의 결과로 생기는, 사랑, 미움, 싫어함 또는 두려움 등의 느낌, 또는 있는 그대로 사물을 명확히 보는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는 모두 담마다. 올바름이나 그릇됨, 좋음과 나쁨은 모두 담마다. 사띠빤냐가 다양한 내적 앎을 불러 일으킨다면 그 앎은 담마다. 그 앎이 실라(지계), 사마디(집중), 및 빤냐(지혜)를 실천하게 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실천을 하게 한다면 그 실천은 담마다. 도(道)의 깨달음, 그것의 과(果)와 닙바나(열반)로 요약되는 실천의 결실조차도 담마다."
To sum up, all these things are dhammas. 'Dhamma' encompasses everything from the truly peripheral, the world of material objects, up to the results of Dhamma practice,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Seeing each of these things clearly is called seeing 'all things' and regarding all things the Buddha taught that 'none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This body can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Even more so the mind; it is an even greater illusion. Thus the Buddha said that if one is determined to cling to something as self it would be better to cling to the body because it changes more slowly. It is not as deceptive as the mind, that which we call namadhamma.
요약해서 말하면, 모든 이 사물은 담마입니다. 담마는 사실적인 외부의 유형 세계부터 담마 실천의 결과인 도(道)의 깨달음, 그것의 과(果)와 닙바나(열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이 사물의 각각을 분명히 아는 것이, 모든 사물과, '어떠한 것에도 집착해서는 안된다'는 붓다의 말씀, 즉 사물에 관한 것을 안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몸에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에 더하여 마음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훨씬 더 환영적인 것은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사람이 어떤 것을 자아로 집착할 때에는 '더 천천히 변하는 몸'에 집착하는 것이 마음에 집착하는 것보다 낫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몸은 나마담마(namadhamma)라고 하는 마음만큼 환영적이지는 않습니다.
'Mind' here does not refer to the mind previously spoken of as being one and the same thing as emptiness, but to mentality, the mind known by ordinary people. The contact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results in the various feelings of love, hate, anger and so on. These are dhammas which are even less to be grasped at or clung to than the dhammas of form because they are illusions, born of an illusion arising in the realm of defilements. Grasping at or clinging to them is extremely dangerous.
여기서 말하는 마음은 앞서 말한 빔(공)과 하나이고 동일한 마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는 마음 또는 정신상태를 말합니다. 마음과 (유형)세계가 접촉하면, 사랑, 미움, 화냄 등의 여러가지 느낌이 일어납니다. 이것들은 유형의 담마보다 더욱 집착하지 말아야 할 담마입니다. 이런 느낌의 담마는 오염원에서 일어나서 생기는 환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들에 집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The Buddha taught that even truth - discerning awareness should 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because it is merely a part of Nature. Attaching to it will give rise to fresh delusion; there will be a person who has truth - discerning awareness, there will be MY truth - discerning awareness. Due to this attachment the mind will be weighed down with grasping and clinging, and lurch abou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that those things undergo; then there will be Dukkha. Knowledge should be looked on as being simply knowledge. If one deludedly grasps at or clings to it, it will give rise to the various kinds of 'Attachments to Rites and Rituals' [17]and one will experience Dukkha without realizing why.
붓다께서는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사띠빤냐)' 조차도 그것이 단지 자연 현상의 일부이므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그것에 집착하면 새로운 미혹(무지)이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며, 나의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있을 것입니다. 이 집착 때문에 마음은 움켜쥠과 집착에 짓눌릴 것이며, 이것들이 겪는 변화에 따라 비틀거릴 것입니다. 그래서 둑카(고)가 있을 것입니다. 앎은 단순히 앎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어리석게도 그 앎에 집착하면 여러 가지의 의례 의식에 집착이 일어날 것이며, 그 이유를 깨닫지 못하고 둑카(고)를 겪을 것입니다.
Practising Dhamma is similar - it's just practice. It is a truth of nature that results always arise in proportion to the practice done. If one grasps at or clings to it as being 'I' or 'mine' then one falls into more error, creates another spurious self, and experiences Dukkha no differently than if one were clinging to something as gross as sexual desire.
담마를 실천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그것은 단지 실천입니다. 실천한 것에 따라 결과가 항상 일어나는 것은 자연 진리입니다. 실천을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면 더욱 오류로 빠져들어, 다른 자아 개념을 생기게 하고, 성적욕망만큼 거친 것에 집착하는 경우와 다름없는 둑카(고)를 겪게 됩니다.
Reaching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They are dhammas, parts of nature, that are 'such-as-they-are'. Even emptiness is a part of nature. If one grasps at or clings to it then it is a false Nibbana, a false emptiness because Nibbana, true emptiness, is ungraspable. Thus it may be said that on grasping at Nibbana or emptiness one deviates from it immediately.
도(道)의 깨달음, 그것의 과(果)와 닙바나(열반)에 이르는 것, 그것도 자연의 일부이고 '그러한 것'인 담마입니다. 빔(공)조차도 자연의 일부입니다. 그것(빔)에 집착하면 그것은 '그릇된 닙바나'입니다. 진정한 빔(공), 즉 닙바나는 움켜쥐지 않는 것이므로, 집착하면 '그릇된 빔(공)'입니다. 그러므로 닙바나(열반)나 빔(공)을 움켜쥐면, 그 즉시 닙바나에서 벗어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All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there is absolutely nothing at all apart from dhammas. The word dhamma signifies nature. This interpretation is in line with the etymology of the word, for the word dhamma means 'a thing which maintains itself'. Dhamma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which flow and change and those that do not. Those that flow and change due to some generative force maintain their existence within that very flow and change i.e. they are the stream of transformation itself. That which being devoid of the necessary causal factors does not flow and change is Nibbana or emptiness. It is able to maintain itself without change i.e. it is the state of changelessness itself.
이 모든 예들은 담마가 아닌 것은 (절대적으로)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담마란 말은 '자연'을 의미합니다. 이 해석은 '담마'란 말이 '그 자체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원과 일치합니다. 담마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집니다. 변화하는 담마와 변화하지 않는 담마가 그것입니다. 어떤 생성력 때문에 변화하는 담마는 변화하는 가운데 그 존재를 유지합니다. 즉, 변화하는 담마는 그 자체가 변화의 흐름입니다. 필요한 원인요소가 없으므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 닙바나 또는 빔(공)입니다. 그것은 변화없이 그 자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즉, 그것은 변화없는 상태 그 자체입니다.
But the sort of dhamma which undergoes transformation and the sort that doesn't are both merely dhammas, things which maintain themselves in certain states. So there is nothing more than nature, nothing more than the elements of nature, and how can mere dhammas be 'I' or 'mine'? In this context 'dhammas' means nature, the natural, or in other words, dhammas are tathata, they are as they are, they can't be any other way. There are only dhammas. 'All things' are nothing but dhammas there are no dhammas apart from 'all things'.
그러나 변화하는 담마와 변화하지 않는 담마는 모두 어떤 상태로 그것이 유지되는 사물, 즉 단지 담마입니다. 그러므로 자연 이상의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자연요소 이상의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단순한(순수한) 담마가 어떻게 '나'나 '내 것'일 수 있겠습니까? 담마는 자연, 자연적임을 의미한다는 말, 또는 다른 말로 담마는 따타따(그러함)이라는 말은, 그것(담마)은 '있는 그대로' 있으며, '어떤 다른 방식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담마만이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단지 담마이며, 모든 사물 외에 담마는 없습니다.
True Dhamma, no matter what part, topic, level or kind must be one with emptiness, completely void of self. Therefore we must look for emptiness in all things, or as we call them for short, in dhammas. To speak in terms of logic:
all things = dhammas
all things = emptiness
dhammas = emptiness
참 담마는, 어떤 부분이나 주제나 수준이나 종류이든지 빔(공)과 하나이며, 자아가 완전히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물', 또는 줄여서 하나로 부르는 '담마'에서 빔(공)을 찾아야 합니다. 논리항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사물 = 담마
모든 사물 = 빔(공)
담마 = 빔(공)
It can be put in a number of ways, but the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is that there is nothing apart from empty nature. Nothing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as being 'I' or 'mine'. So from this it can be clearly seen that emptiness is the nature of all things. It is only by ending every kind of delusion that it can be discerned. To see emptiness there must be panna that is undeluded and undefiled.
많은 다른 식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이해해야 할 중요한 점은 '빔'이라는 특성에서 분리된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해야 할 어떤 것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것으로부터 빔은 모든 사물의 특성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종류의 미혹(무지)에서 벗어날 때에만 알 수 있습니다. 빔(공)을 보면 그곳에는 미혹되지 않고 오염 안 된 빤냐(지혜)가 반드시 있습니다.
There is a further category of dhammas - the dhammas of avijja, of false knowing, reactions arising from the contact of the mind with the world of materiality. As was said earlier, when the dhamma which is mi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hamma which is materiality, a reaction takes place in the form of feeling. In regards to that feeling one may follow either the path of avijja or of vijja (clear knowing). Its form will depend on the external conditions and the nature of that group of sankharas (dhammas). Thus it's just another dhamma, a dhamma of ignorance, the grasping and clinging to an illusory self and to things as belonging to self. Don't forget that it's just a dhamma. Its true essence is emptiness.
마음과 (유형의) 물질 세계가 접촉하여 생기는 반응으로서 무지 또는 '그릇된 앎'이라는 범주의 담마도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마음이라는 담마가 유형의 물질이라는 담마와 접촉할 때, 그 반응이 느낌이라는 형태로 일어납니다. 그 느낌에서 아윗짜(미혹, 무지)의 길이나 윗짜(분명한 앎)의 길을 따르게 됩니다. 그 형태는 외적 조건과 상카라(담마) 그룹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이와 같이 환영의 자아에 집착하고 사물을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집착하는 무지의 담마가 있게 됩니다. 이 무지의 담마도 단지 (다른 형태의) 담마입니다. 그것(무지)도 단지 담마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것의 참 본질은 빔(공)입니다.
Avijja is emptiness just as much as are vijja or Nibbana -they are all equally dhammas. If we look on them in this way we will see their emptiness of self continually. Dhammas of this level, even though they are one and the same thing as emptiness may still result in avijja, may still cause the illusion of self to arise in consciousness. So we should be aware of the dhammas of grasping and clinging and ignorance, which are also included in the phrase 'all things'.
아윗짜(avijja)도 윗짜(vijja) 또는 닙바나와 마찬가지로 빔(공)입니다. 이들은 모두 담마입니다. 이렇게 (윗짜와 아윗짜를) 볼 때 계속하여 그것들에는 자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들이 빔(공)으로서 하나이며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이 수준의 담마에는 아직 아윗짜가 일어나서 자아의 환영이 의식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또한 '모든 사물(담마)'이라는 말에 포함된, 움켜쥠과 집착과 무지의 담마를 알아야 합니다.
If we really know all things, this ignorant grasping and clinging won't take place. If we don't know them and just blindly follow our stupid and deluded animal instincts, it opens the doors to the dhammas of avijja over and over again.
진정으로 '모든 사물(담마)'을 알면, 이 어리석은 움켜쥠과 집착은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들을 모르고 어리석고 미혹된 동물적 본능에 단지 맹목적으로 따른다면, 계속하여 무지의 담마를 향해 문을 열어 놓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We who have grasping and clinging like an inherit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for an immeasurable time may see that from the moment of birth we received training from those around us, some intentional and some unintentional, solely in the ways of ignorance, solely in the ways of grasping at self and the belongings of self. Never once have we trained in the ways of selflessness. Children never receive that sort of training. They are taught only in terms of self. Originally, at birth a child's mind doesn't have much sense of self, but it learns it from its environment. As soon as it opens its eyes or is conscious of anything, it is taught to cling to it as being my father, my mother, my home, my food and even the dish that it eats from has to be MINE, no one else can use it. This unplanned process, the arising of ego-consciousness and its continual development and growth, follows its own laws. As for the contrary feeling of selflessness, it never arises. Thus by the time that the child has grown up and aged he is stuffed full of grasping and clinging and the mental defilements which are their cause, so that for him or her ego is life, life is ego. When the instinct of clinging to self is the ordinary life, that life is inseparable from Dukkha; it is heavy and oppressive, entangling, constricting, smothering, piercing and burning, all symptoms of Dukkha.
헤아릴 수 없는 시간동안 물려 내려온 유산처럼 움켜쥠과 집착이 있는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주위에 있는 것들에서 자의적으로 또는 타의적으로, 오로지 무지한 방식으로, 오로지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에 집착하는 방식으로 훈육되었습니다. 결코 한번도 '자아없음(무아)의 방식으로 교육받지 못했습니다. 아이들은 이런 교육을 결코 받지 않았으며, 자아란 말로서만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원래 태어날 때 아이의 마음에는 '자아'란 느낌이 많이 없지만, 주위 환경에서 자아를 배웁니다. 눈을 뜨고 어떤 사물을 의식하자마자, 그 사물은 나의 아버지, 나의 어머니, 나의 집, 나의 음식과 이 음식을 담는 그릇 조차도 나의 것이며, 다른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고 집착하도록 가르쳐집니다. 이 무계획적인 과정, 자아 의식의 일어남, 및 자아 의식의 계속적 발달과 성장은 그 자체의 법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반면에 '자아없음'의 느낌은 결코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자라서 나이가 들게 되면 그 사람에게는 움켜쥠과 집착과, 그 원인인 정신적 오염원이 가득 채워집니다. 그래서 그 사람에게는 자아가 삶이며, 삶이 자아가 됩니다. 자아에 집착하는 특성이 일반적인 삶이 되었을 때, 그 삶은 둑카(고)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 삶에는 무겁고 압박하며 얽히고 죄며 숨막히게 하고 찌르고 타게 하는 둑카(고)의 모든 징후가 있습니다.
So it follows that if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even if it's to goodness, then that is Dukkha. In this sense that which the world assumes to be goodness is false or evil. Goodness is still Dukkha, it has the Dukkha appropriate to it, because it's not empty, it's still disturbed. only where there is emptiness and one is beyond goodness can there be freedom from Dukkha.
그러므로 선한 것이라 하더라도 움켜쥠과 집착이 있다면, 그것은 둑카(고)라는 결론이 됩니다. 이런 점에서 세상이 선하다고 하는 것도 그릇된 것이며 해로운 것입니다. 선함도 아직 둑카입니다. 선함에도 그에 따른 둑카가 있습니다. 그것은 빔(공)이 아니고, 아직 그것에는 교란이 있기 때문입니다. 빔(공)이 있고 선함도 초월한 곳에만, 둑카(고)에서 해방이 있습니다.
Therefore the main principle of the Buddhist Teachings, as elucidated in the phrase 'sabbe dhamma nalam abhinivesaya' is nothing other than the complete elimination of the grasping at or clinging to things as being self or as belonging to self. There is nothing beyond that.
그러므로 '삽베 날람 아비니웨사야'란 구절에 명료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붓다 가르침의 주 원리는, 사물을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것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입니다. 이것 외에 다른 것은 없습니다.
When we are completely identified with grasping, when we and grasping are truly just one thing, what can we do? Who can help the mind when it is in such a stat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again nothing else but mind. It's already been stated that there is nothing other than dhammas : falseness is a dhamma, correctness is a dhamma, Dukkha is a dhamma, the extinguishing of Dukkha, the tool to remedy Dukkha is a dhamma, the mind is a dhamma and the body is a dhamma. Therefore, there being nothing other than dhammas, the answer must lie in the mind itself, depending on a mechanism compatible to it.
집착을 자신과 완전히 동일시하고 자신과 집착이 실제로 바로 하나가 되었을 때,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런 상태가 되었을 때 누가 그 마음을 도울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시 마음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담마가 아닌 것은 없다고 이미 말한 바가 있습니다. 그릇됨은 담마입니다. 올바름도 담마입니다. 둑카도 담마입니다. 둑카의 소멸과 둑카를 없애는 도구도 담마입니다. 마음도 담마이고 몸도 담마입니다. 따라서 담마가 아닌 것은 아무것도 없으므로, 대답은 마음 그 자체에 있으며 그에 적합한 메커니즘(기법)에 의해 (해결이) 좌우됩니다.
Whether there is merit or demerit is up to us. If contact with the world leads to truth – discerning awareness then it is merit (punna). If contact with the world leads to an increase in foolishness and delusion then it's demerit (papa).
장점이 있는지 결점이 있는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습니다. 세상과 접촉하여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가 일어나면 장점(뿐냐)입니다. 세상과 접촉하여 어리석음과 미혹이 증가한다면 결점(빠빠)입니다.
If we observe, we can see that everyone is born equal - each and everyone of us have eyes, ears, a nose, a tongue, a body and a mind and outside each one of us, there are forms, sounds, smells, tastes, tactile and mental objects; everyone of us has the opportunity to contact those things and we all contact them in exactly the same way. So why is there this division between those who follow the path of foolishness, of demerit and harm, and those who follow the path of wisdom, of merit and benefit?
There is a good side to it in the sense that these harmful dhammas are a real protection for people, on the principle that if we experience suffering become chastened, we remember it. It's like the child who tries to take hold of fire. once it has seen the consequences it is unlikely to do it again. With material things it's easy, but as for taking hold of the fire that it is grasping and clinging, the fire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most of us aren't even aware that we're taking hold of fire at all. on the contrary we misguidedly believe them to be lovable and desirable and so we are not chastened, we don't learn our lesson.
자세히 관찰해 보면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눈, 귀, 코, 혀, 몸, 및 마음이 있으며, 주위에는 형색, 소리, 냄새, 맛, 접촉 대상, 및 정신 대상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이것들에 접촉할 기회가 있고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합니다. 그러면 어리석고 결점이 있으며 해로운 길을 따르는 자와, 지혜롭고 장점이 있으며 유익한 길을 따르는 자 사이에 왜 이런 구별이 있을까요?
이 해로운 담마는 실제로 사람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그것에는 유익한 면이 있습니다. 그 원리는 사람이 고통을 겪으면 순화되어 이를 기억한다는 것입니다. 불을 잡으려고 하는 아이가 그 결과를 한번 알고 나면, 다시는 그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유형의 물질에 대해서는 쉽게 알지만, 움켜쥠과 집착의 불,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의 불을 잡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을 잡고 있다는 것조차도 알지 못합니다. 반면에 그것들을 사랑스럽고 바람직한 것으로 잘못되게 믿어, 순화되지 못하고 담마를 배우지 않습니다.
There is only one remedy and that is to be aware of the true nature of these dhammas, to know that THESE DHAMMAS ARE A FIRE, that they can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This is to be on the path of truth-discerning awareness, learning one's lesson, remembering that whenever anything is grasped at as "I" or "mine'; fire is ignited. It is not a fire that burns the hand but a fire that consumes the mind and heart. Sometimes it burns so deep that we aren't aware that it's a fire at all or that it is burning, and so we sink into the fiery mass that is Vattasamsara (the round of birth and death). It is the very hottest life, there is hotter than an electric oven. If we don't look on things like a child who has tried to take hold of fire and refuses to do so again, it can be like that.
단 하나의 치료책이 있습니다. 그것은 이 담마들의 참 성품을 알아서, 이 담마들은 집착할 대상이 아닌 불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의 길에 있는 것이며, 담마를 배워서 어떤 것을 '나'나 '내 것'으로 집착할 때마다, 즉 불이 점화될 때마다 기억하는 것입니다. 이 불은 손을 태우는 불이 아니라 마음과 가슴을 야위게 하는(태우는) 불입니다. 때로는 너무 깊게 타서 그것이 불인지 타고 있는지도 전혀 모릅니다. 그래서 왓따삼사라(탄생과 죽음의 순환)인 불타는 덩어리 속에 빠집니다. 그것은 가장 뜨거운 삶이며, 그곳은 전기 오븐보다 더 뜨겁습니다. 불을 잡으려고 하는 어린애와 같이 사물을 보지 않고 다시 그렇게 하기를 거절하지 않는다면, 그와 같을 수 있습니다.
Thus the Buddha explained that when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and clinging are seen, the mind will relax its grip. So the question is, have we seen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yet? If we haven't, then we haven't relaxed our grip and if we haven't relaxed our grip then we are not empty. on another occasion the Buddha taught that whenever one sees emptiness, then one finds contentment in Nibbana. only when one begins to see the non–existence of self will the mind learn to find contentment in the ayatana of Nibbana. Anything which can be known through the eyes, ears, nose, tongue, body, or mind is called ayatana. Nibbana is called an ayatana here because it is merely an object of knowledge. How can we be so foolish as not to see it? We will be able to know it from the moment that we see the state empty of self, because on the relaxation of grasping and clinging we will be content with the ayatana of Nibbana. But it's difficult, for as I've said, our life is one of constant grasping and when there is no abatement of that grasping there is no emptiness and so no contentment with the ayatana of Nibbana.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움켜쥠과 집착때문에 고통스런 결과가 있을 때, 마음은 그 움켜쥠을 완화할 것이라고 설명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아직 움켜쥠으로 인한 고통스런 결과를 아직 보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을 해 봅시다. 아직 보지 못했다면 움켜쥠을 늦추지 않을 것이고, 움켜쥠을 늦추지 않는다면 빔(공)이 없을 것입니다. 또 다른 때에 붓다께서는 빔(공)을 볼 때면, 언제나 닙바나(열반)에서 만족을 얻는다고 가르치셨습니다. 자아가 없음을 알기 시작할 때에만 마음은 닙바나라는 아야따나(ayatana)에서 만족을 얻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눈, 귀, 코, 혀, 몸, 및 마음을 통해 알 수 있는 대상을 아야따나(ayatana)라 부릅니다. 닙바나는 단순히 앎의 대상이므로 여기에서 '아야타나'라 부릅니다. 어떻게 닙바나를 보지 못할 정도로 어리석을 수 있을까요? 자아가 없는 상태를 보는 순간에 닙바나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이 완화되면 닙바나라는 아야타나에서 만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쉽지 않습니다. 말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삶은 계속되는 집착 중의 하나이고 그 집착이 누그러지지 않는다면 빔(공)이 없고 닙바나라는 아야따나에서 만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We can see the truth or this point by taking a look at other religions. Other religions do not have the word attavadupadana (grasping at and clinging to dhammas as being 'I' or 'mine'). Why is this so? It is because they teach a self to be grasped at and clung to. Not regarding such grasping as wrong it becomes right, in fact it becomes the goal of the religion or sect. They teach the attainment of self. In the Buddhist Teachings however, attavadupadana is specified as a defilement, as foolishness and delusion, and the Buddhist practice lies in its complete relinquishment. Consequently the teaching of anatta is found only in Buddhism. Unlike the sects which teach a self to be grasped at or to be attained, we teach the complete destruction of self - consciousness so as to perceive the state of anatta, the state empty of self in all things.
다른 종교를 검토해 보면 진리 또는 이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종교에서는 앗타와두빠나다(attavadupadana : 담마를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란 말이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종교에서는 움켜쥐고 집착하는 자아를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움켜쥠과 같은 것은 그릇된 것이라고 간주하지 않으므로 (움켜쥠이) 바른 것이 되어, 사실 그것(자아)은 그 종교나 종파의 목표가 되었습니다. 그 종교에서는 자아의 달성(완성)을 가르칩니다. 그러나 붓다 가르침에서는, 앗타와두빠다나(attavadupadana)는 어리석음과 미혹과 같이 오염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불교) 수행은 그것의 완전한 소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낫따(anatta ; 무아)의 가르침은 오직 불교에만 있습니다. 움켜쥐거나 얻어야 할 자아를 가르치는 파(종교)와는 다르게, 불교에서는 아낫따(무아)의 상태, 즉 모든 사물에 자아가 없는 상태를 알기 위해 '자아 의식'의 완전한 분쇄를 가르칩니다.
So anatta is talked about only by Buddhis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an arise only in those people who have been taught that all things are anatta and should 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If one is taught that there is a self that must be grasped at and clung to then there is no way that one can practise to realize truth the non - existence of self.
그러므로 아낫따(anatta : 무아)는 불교에서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앎과 지혜는 모든 사물이 아낫따(무아)이고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 사람에게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움켜쥐거나 집착할 자아가 있다고 배우면, 무아의 진리를 깨닫는 실천을 할 길이 없습니다.
Thus we must examine the point that just as it is necessary to see the danger of fire in order to be afraid of being burnt, so also must we see the dangers of those things which are the root causes of all fires, the fire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of grasping and clinging, in order to become gradually bored with and averse to them, and be able to relax our grip on them without thought of lighting any more fires.
그러므로 타는 것을 두려워하도록 불의 위험을 볼 필요가 있는 것과 같이, 모든 불의 근원인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의 불과 움켜쥠과 집착의 불의 위험을 보아야 한다는 점을 고찰해야 합니다. 그러면 점차적으로 그것들에 지루해하고 싫증내어 불을 더 지피려고 하지 않고 그것들에 대한 움켜쥠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빔(공)3
Here we reach the word 'emptiness' of which it was said that having seen it one will find contentment in Nibbana. We must thoroughly understand that on the first level emptiness is absence of the feeling of 'I' and 'mine'. If those feelings are still present then the mind is not empty, it is 'disturbed' by grasping and clinging. We will use these two words to help our memories: 'empty' meaning free of the feeling of self or that things belong to self; and 'disturbed' meaning confused, depressed, in turmoil with the feeling of 'I' and 'mine'.
여기서, 닙바나(열반)에서 만족을 얻을 것이란 말에 있는, 빔(공)을 검토해 봅시다. 첫 단계로 빔(공)은 '나'와 '내 것'이라는 느낌이 없는 상태임을 철저히 이해해야 합니다. 그 느낌이 아직 나타난다면 마음이 '빈' 상태가 아닙니다. 그것은 움켜쥠과 집착에 의해 '교란된' 상태입니다. 기억하기 쉽도록 이 두 낱말을 사용하겠습니다. '빈'은 자아의 느낌과 자아에 속하는 사물의 느낌에서 해방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교란된'은 '나'와 '내 것'의 느낌으로 혼란되고 풀이 죽고 동요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empty of ego-consciousness? In the scriptures there is a teaching of the Buddha which lists four points:
Na aham kavacini - feeling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me.
Na kassaci kincanam kisminci - without worry or doubt that any thing might be me.
This makes one pair, the second pair is:
Na mama kavacini - feeling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mine'.
Kisminci kincanam natthi - without worry or doubt that anything might be 'mine'. (Anenjasappaya Sutta, Majjhima Nikaya)
We are aware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me' but sometimes there is a remainder of anxiety that there is something that is 'mine'. We feel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mine but we can't help doubting that there may in fact be something. There must be an absolute, unshakeably clear awareness that there is nothing that is self and nothing that we need to worry about as possibly being self; that there is nothing that belongs to self and nothing we need to keep worrying about or doubting or waiting for as being ours.
자아 의식이 빈 상태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경전에는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 붓다의 말씀이 있습니다.
나 아함 까와치니(na aham kavacini) - '나'라는 것이 없다는 느낌.
나 깟싸치 낀차남 끼스민치(na kassaci kincanam kisminci) - 어떤 것이 '나'일지도 모른다는 근심과 의심이 없음.
이것이 한 쌍이고, 두 번째 쌍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마마 까와치니(na mama kavacini) - '내 것'이라는 것이 없다는 느낌.
끼스민치 낀차남 낫티(kisminci kincanam natthi) - 어떤 것이 '내 것'일지도 모른다는 근심과 의심이 없음. (아넨자삽바야 숫따, 맛찌마 니까야 )
우리는 '나'라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지만, 때때로 '내 것'이라는 어떤 것이 있다는 염려가 있습니다. 우리는 '내 것'이라는 것이 없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어떤 것일지도 모른다고 의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아라는 것이 없고 자아일 가능성에 대해 근심해야 할 것이 없고, 자아에 속하는 것이 없고 내 것일 가능성에 대해 근심하거나 의심하거나 기다려야 할 것이 없는, 절대적이고 흔들리지 않는 분명한 알아차림이 있어야 합니다.
At the moment that anyone's mind is freed from these four things the Buddha held that to be emptiness. The commentary sums it up concisely as 'na attanena' - not taking things to be self and 'na attaniyena' - not taking things to belong to self, and that is sufficient. When this sort of grasping consciousness is not present try and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one doesn't look on anything anywhere as ever having been, as currently being, or as having the potential to be self or belong to self. There is no self in the present and no basis for anxiety regarding self in the past or future. The mind has realized emptiness through seeing clearly that there is nothing at all that can fulfill the meaning of the words 'self' or 'belonging to self'. All things are dhammas, simply parts of nature. This is the mind that is identical with emptiness. If we say that the mind has attained or realized emptiness it leads some people to understand that the mind is one thing and emptiness another. To say that the mind comes to know emptiness is still not particularly correct. Please understand that if the mind was not one and the same thing as emptiness, there would be no way for emptiness to be known. The mind in its natural state is emptiness, it is an alien foolishness that enters and obstructs the vision of emptiness. Consequently, as soon as foolishness departs, the mind and emptiness are one. The mind then knows itself. It doesn't have to go anywhere else knowing objects, it holds to the knowing of emptiness, knowing nothing other than the freedom from 'self' and 'belong to self'.
붓다께서는 누군가의 마음이 이 네 가지에서 해방되었을 때 그것을 빔(공)이라고 하셨습니다. 주석서는 그것을 '나 앗따네나(na attanena)', 즉 사물을 자아로 여기지 않음과, '나 앗따니예나(na attaniyena)', 즉 사물을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지 않음으로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으며, 이 요약으로 충분합니다. 이런 집착의식이 없을 때 무엇과 같을지 상상해 보세요. (집착 의식이 없는 사람은) 어떤 곳에 과거부터 있었고 현재 있는 그 어떤 것도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보지 않으며, 자아와 자아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현재에 자아가 없으며 과거나 미래에 자아를 염려하는 토대가 없습니다. 마음은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이란 말의 의미에 맞는 어떤 것도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고 빔(공)을 깨달은 것입니다. 모든 사물은 담마이며 자연의 부분일 뿐입니다. 이것은 빔(공)과 하나인 마음입니다. 마음이 빔(공)을 얻었다거나 깨달았다고 말한다면 마음과 빔(공)은 별개의 것이라고 이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빔(공)을 아는 것에 이르렀다고 말하는 것도 아직 완전히 옳다고 할 수 없습니다. 마음이 빔(공)과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라면 빔(공)을 알 길이 없을 것이라고 이해하기 바랍니다. 자연 상태의 마음은 빔(공)입니다. 빔(공)의 시계에 들어와 가리는 것은 이질(성질이 다른)의 어리석음입니다. 따라서 어리석음이 사라지자마자 마음과 빔(공)은 하나입니다. 그러면 마음은 그 자체를 압니다. 마음은 어떤 다른 곳에 가지 않고도 대상을 알고, 빔(공)을 아는 상태를 유지하며,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에서 해방된 상태를 압니다.
It is this emptiness that is the single highest teaching of the Buddha, so much so that in the Samyutta Nikaya the Buddha says that there are no words spoken by the Tathagata that are not concerned with sunnata. He says in that sutta that the most profound teaching is that which deals with emptiness, any other subject is superficial. only the teaching of sunyata is so profound that there must be a Tathagata enlightened in the world for it to be taught.
이 빔(공)은 붓다의 유일한 최상의 가르침입니다. 그만큼 중요하므로 상윳따 니까야(상응부)를 보면, 붓다께서는 '따타가따'가 한 말은 모두 빔(공, 순냐따)와 관련된 것이라고 말씀하셨고, 가장 심오한 가르침은 빔(공)을 다룬 것이고 그 외의 다른 주제는 피상적인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빔(공)에 대한 가르침만이 그렇게 심오하므로 그것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깨달은 따타가따(붓다)가 세상에 출현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In another section of the Samyutta Nikaya the Buddha says that emptiness is the dhamma that is always of the most benefit and support to lay people. There is the account, one that have related many times in other places of a group of wealthy laypeople going to visit the Buddha asking for a dhamma that would be of eternal benefit and welfare to household , those hampered by wife and children, wearers of sandal wood paste and perfumes. In reply the Buddha taught them this sutta taught about sunnata. When they objected that it was too difficult he came down only to the level of Sotapattiyamka -.the practice leading to 'stream - entry' [18] i.e. the genuine realization of Buddha, Dhamma and Sangha, and of ariyakantasila - the virtuous conduct that is of contentment to the Noble ones. In fact they were being lured into a trap by the Buddha and were neatly caught in the snare. To speak in coarse everyday terms he completely swindle them. They said they didn't want sunnata so the Buddha gave them instead something which could not escape it, the lasso that would pull them into it. For there is only one way to truly realize the Buddha, Dhamma and Sangha and to have the virtuous conduct that is of contentment to the Noble ones, and that is to be continually seeing the futility of grasping and clinging.
상윳따 니까야(상응부)의 한 부분에서 붓다께서는, 빔(공)은 재가자에게 항상 가장 유익하고 재가자를 지원하는 담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부유한 재가자가 속하는 그룹 중의 한 곳에 있는 사람이 가르침을 받고자 붓다를 방문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재가자는 백단향 페이스트와 향수를 좋아하는 아내와 자식들에 의해 제약을 받는 자들의 가정에 항구적인 복리가 될 가르침이 있는지 물었습니다. 이에 답하여, 붓다께서는 순냐따(빔, 공)에 대해 언급한 이 경을 재가자들에게 가르쳤습니다. 그것(빔의 실천)이 너무 힘들다고 꺼려하였을 때, 붓다께서는 붓다, 담마, 및 상가의 진정한 깨달음이고 아리야깐따실라(ariyakantasila : 성자들이 칭찬하는 덕행)를 지키는 소따빳띠얌마(sotapattiyamka), 즉 예류로 이끄는 실천의 수준으로만 낮추어 가르쳤습니다. 사실 그들은 붓다께서 펼치신 망에 유인되어 깔끔하게 걸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상의 거친 말로 표현하면, 붓다께서는 그들(재가자들)을 완전히 속여서(사기쳐서) 마음을 빼앗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재가자들은 빔(공)을 바라지 않는다고 말하였으므로 붓다께서는 그 대신에 재가자들이 빔(공)에서 벗어날 수 없고 그들을 끌어 당길 수 있는 올가미 밧줄을 준 것입니다. 붓다, 담마, 및 상가를 진실로 깨닫고 성자들이 칭찬하는 덕행을 하는 단 하나의 길 만이 있으며, 그것은 끊임없이 움켜쥠과 집착의 헛됨을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Now do you think the Buddha was wrong in saying that sunnata is a matter for laypeople? If He was right, then these days we must be crazy, utterly wrong, because we believe that sunnata is not a matter for us householders, but is a matter for those who are going to Nibbana, wherever that is. That's how people talk. But the Buddha is talking in a different way, saying that this subject of sunnata is of direct benefit and welfare to laypeople. So who is right and who is wrong? If the Buddha is right then we must agree to investigate the truth of His words and the way, to do so is to examine which people have the most suffering and distress, whose minds are most in the middle of the blast furnace. It's none other than laypeople.
지금 여러분은 붓다께서 순냐따(빔, 공)는 재가자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씀하신 것을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붓다의 말씀이 올바르다면, 오늘날 우리들이 순냐따(빔, 공)는 우리 가장들(재가자들)의 문제가 아니고 그것이 어디이든 닙바나를 바라는 자들의 문제라고 믿기 때문에, 우리들은 정신나간 것이며 완전히 잘못되어 있음이 확실합니다. (빔은 닙바나를 바라는 자들의 문제라고 하는) 그것은 사람들이 말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붓다께서는 다른 방식으로 말씀하십니다. '순냐따'라는 이 주제는 재가자들에게 직접 이득과 행복이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누가 바르고 누가 그릇되었을까요? 바른지 그릇되었는지 그 말씀과 방식의 진리를 조사하여야 하며, 그렇게 하는 것은 어떤 사람이 가장 고통받고 괴로움을 당하고 있으며 누구의 마음이 불타는 로(화로) 가운데 가장 많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가장 많이 괴로움을 당하는 사람은) 바로 재가자들입니다.
That being so, who most needs something to extinguish that fire, to completely destroy Dukkha in its every aspect? Again, it is laypeople. Those that are in the heat of the fire must look for the means of extinguishing it there in its midst because there is no place to struggle and escape to; everything is fire. Thus one must find the point of absolute coolness right there in the midst of the fire. That point is emptiness, the absence of self and belongings of self, sunnata.
그렇다면 모든 면에서 둑카(고)를 완전히 없애기 위해 그 불(갈애)을 끄는 어떤 수단이 가장 필요한 자는 누구일까요? (그 수단이 가장 필요한 자도) 또한 재가자입니다. 불(갈애)의 열기를 받고 있는 사람은 불(갈애) 속에서 불을 끄는 수단을 찾아야 합니다. 모든 것이 불(갈애)이므로 발버둥치거나 도망갈 다른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불(갈애) 가운데 바로 그곳에서 절대적으로 시원한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그 점은 빔, 즉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이 없는 순냐따(빔, 공)입니다.
Laypeople must try to discover sunnata and dwell within its sphere. If one is unable to live right at its central point, at the very least one should dwell within its sphere or have a reasonable knowledge of it. This then is counted to be of eternal benefit to laypeople.
재가자는 빔(공)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그 빔(공)의 구역 내에 거주해야 합니다. 그 (빔의) 중심에서 바르게 살 수 없다면, 적어도 빔의 구역 내에 거주하거나 그 빔(공)에 대한 바른 앎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재가자에게 항구적인 이득이 될 것입니다.
This group of people asked what would be of eternal benefit to them and the Buddha answered: 'sunnatapppatisamyutta lokuttara dhamma' - dhammas endowed with sunnata transcend the world. To transcend the world is to transcend the fire. To be endowed with sunnata is to be empty of clinging to things as self or was belonging to self. So the saying 'sunnatapppatisamyutta lokuttara dhamma' is a gift from the Buddha directly to laypeople. Please consider anew how necessary it is that one gives attention to this subject and whether it is in fact the only subject that needs to be spoken of. In the Samyutta Nikaya it is clearly affirmed that sunnata is Nibbana and that Nibbana is sunnata, the freedom from defilements and Dukkha. Therefore Nibbana too is a fit subject for laypeople. If laypeople still don't know the meaning of Nibbana if they have not yet dwelt within its sphere, then they live in the midst of the fire more than any other group.
이 그룹의 사람들이 자기들에게 항구적인 이득이 될 것은 무엇인지 묻자, 붓다께서는 '순냐땁빠띠상윳따 로꿋따라 담마(sunnatappatisamyutta lokuttara dhamma)', 즉 빔의 담마가 세상을 초월하는 담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세상을 초월하기 위해서는 불(갈애)을 초월해야 합니다. 빔이 있다는 것은 사물을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순냐땁빠띠상윳따 로꿋따라 담마'란 말은 붓다께서 재가자들에게 직접 주신 선물입니다. 이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필요한지, 그것이 사실 말씀해야 할 필요가 있는 단 하나의 주제인지 다시 한번 숙고하기 바랍니다. 상윳따 니까야에서는, 순냐따(빔)가 닙바나(열반)이고, 닙바나(열반)가 순냐따(빔)이며, 그것은 오염원과 둑카(고)에서 해방되는 것이라고 분명히 확언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닙바나나도 재가자에게 맞는 주제입니다. 재가자가 닙바나의 의미를 아직 모르고 그 구역에 거주하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그룹보다 더 불(갈애)의 한복판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The meaning of the word Nibbana clearly extends to the absence of mental defilements the cause of Dukkha. So that at any moment that our minds are empty of 'self' and 'belonging to self' then that is Nibbana. For example, at this moment as you sit here I will attest that everyone, or almost everyone, has a mind empty of the feelings of 'I' and 'mine' because there is nothing engendering them. In listening attentively you give no opportunity for self - consciousness to arise. So look and see whether or not the mind is empty of 'I' and 'mine'. If there is some emptiness (and I merely use the word some, it's not completely or unchangingly empty) then you are dwelling within the sphere of Nibbana. Even though it is not absolute or perfect Nibbana, it is Nibbana just the same.
닙바나(열반)라는 말은 둑카(고)의 원인인 정신적 오염원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때에 마음에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이 없으면 그것이 닙바나(열반)입니다. 예를 들면, 여러분이 여기 이렇게 앉아 있을 때에 여러분 모두 또는 대부분이 '나' 또는 '내 것'이라는 느낌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나' 또는 '내 것'이라는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주의깊게 듣고 있을 때는 '자아 의식'이 일어날 기회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마음에 '나'와 '내 것'이 비어 있는지 없는지 보고 알기 바랍니다. 빔이 약간 있다면 (여기서 '약간'이라고 하는 것은 '완전히' 또는 '변하지 않는' 빔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닙바나(열반)의 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비록 절대적이고 완전한 닙바나(열반)는 아니더라도 그것은 똑같은 닙바나(열반)입니다.
Dhammas are of many meanings, levels and stages. The Nibbana - dhamma lies in the minds of each one of you at the moment that you are to some degree empty of the feeling of 'I' and 'mine'. So please be aware of this ego-less feeling, remember it well and keep it with you when you return to your home. Sometimes when you have arrived home it will feel like you've entered someone else's house, or doing some work at home you will feel like you are helping out with someone else's work, at someone else's home. This sort of feeling will increase more and more and the Dukkha that uses to be associated with home and work will be no more. You will abide with a mind empty of 'self' and 'belonging to self' at all times. This is to take Nibbana or sunnata as the holy charm constantly hanging from our neck [19]. It is a protection against every kind of suffering, danger and ill - fortune. It is the genuine holy charm of the Buddha, anything else is just a fake.
담마는 많은 의미와 수준과 단계가 있습니다. 닙바나 담마는 '나'와 '내 것'이라는 느낌이 어느 정도 없을 때 여러분 각자의 마음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자아 없는 느낌'을 알고 그것을 잘 기억하여 집에 돌아갈 때 마음 속에 유지하기 바랍니다. 간혹 집에 들어 갔을 때 다른 사람의 집에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있을 때나, 집에서 어떤 일을 할 때 다른 사람의 집에서 다른 누군가의 일을 도우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때가 있습니다. 이런 느낌이 점점 더 많아지면 집과 일에 관련한 둑카(고)가 더 없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항상 '자아'와 '자아에 속함'이 없는 마음에 머무를 것입니다. 이것은 목에 항상 걸려 있는 신성한 호부(주술 장식품)와 같이 닙바나(순냐따)를 갖는 것입니다. 이것(빔, 순냐따)은 모든 고통과 위험과 불행으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이것이 진짜 붓다의 신성한 호부입니다. 다른 것은 모두 가짜입니다.
Speaking like this you will soon be accusing me of giving you a big sales pitch. Don't think of me as someone hawking the wares of the Buddha in the marketplace, think rather that we are all companions in Dukkha, in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nd that we are all disciples of the Lord Buddha. If anything is spoken to stimulate interest it is with good intentions. But if anyone has any truth - discerning awareness they will be able to see for themselves without having to believe me, and that seeing will more and more open the way for further study towards the ultimate truth. If that is the case, then we must move our study onto the subject of dhatu (elements).
이렇게 말하면 '과대선전 판매'를 한다고 바로 비난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사람이 시장에서 붓다 관련품을 과대선전하고 유혹하여 판매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기 바랍니다. 그보다 우리는 모두 생로병사의 둑카(고)를 겪고 있는 동료이고 붓다의 제자들이라고 생각하기 바랍니다. 이것에 관심을 유발시키는 말은 유익한 의도(선업)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은 이런 말을 믿지 않고도 그것(빔, 공, 순냐따)을 볼 수 있을 것이며 궁극의 진리를 향해 더 많은 공부 방법에 마음이 열려 있어, 점점 더 확실히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더 많이 공부하기 위해) 다뚜(요소)란 주제를 검토해(알아) 보겠습니다.
빔[공] (4)
4.
The word dhatu has the same meaning as the word 'dhamma'. Etymologically the words have the same root 'dhr', which means 'maintain.' A dhatu is something that can maintain itself. Just as with dhammas, changing dhatus maintain themselves through change and unchanging dhatus maintain themselves through changelessness.
What sort of, elements do you know of that could correlate to emptiness? Students of physics and chemistry know only about the material elements, the pure elements of which there are over a hundred and more being discovered all the time. It's impossible for these elements to be emptiness, or at least it would take a profound interpretation of those things to see them as empty, because they are merely material elements or rupadhatu. But there are also immaterial elements, arupadhatu, elements of mind or consciousness, which lie beyond the domain of physics and chemistry. one must study the Buddha's science before one can know the immaterial, formless elements, which are a matter of the mind and heart. So far then we have ascertained two groups of' elements.
'다뚜(dhatu)'란 말은 '담마(dhamma)란 말과 같은 의미가 있습니다. 어원적으로 두 말에는 '유지'를 뜻하는 동일한 어근, 'dhr'이 있습니다. '다뚜'는 그 자체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떤 것입니다. 담마와 같이 '변화하는 다뚜'는 변화를 통해 그 자체를 유지하고 '변화하지 않는 다뚜'는 변화없음을 통해 그 자체를 유지합니다. 여러분은 빔(공)과 관련될 수 있는 요소로서 어떤 종류를 알고 있습니까?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1백 개가 넘고 줄곧 더 발견되고 있는 기본 원소인 물질 요소에 대해서만 압니다. 이 요소들을 빔이나 하다못해 이것들을 심오하게 해석하여 빔으로 간주할 수는 없습니다. 이것들은 단지 물질 요소, 즉 '루빠다뚜'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또한 '아루빠다뚜'라는 비물질 요소가 있습니다. '아루빠다뚜'는 마음 또는 의식 요소이고 물리와 화학의 영역 너머에 있습니다. 마음이라고 하는 사물인 비물질 요소 또는 무형 요소를 알기 위해서는 붓다의 (마음)과학을 공부해야 합니다. 그때(마음 과학을 공부한 후)에는 두 그룹의 요소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In which element will that which is called emptiness abide? If anyone thinks that emptiness is a material element his friends will die laughing. Some people may think that it is an immaterial or formless element and here the Noble ones will die laughing. Emptiness is neither a material nor an immaterial element. There is a third kind of element which lies beyond the ken of ordinary people. The Buddha called it 'nirodhadhatu.' The words vatthudhatu or rupadhatu refer to materiality whether visible forms, sounds, odors, tastes, tactile objects or whatever. Arupadhatu refers to the mind and heart, to mental processes, the thoughts and feelings that arise in the mind. There is only one kind of element not included in these two categories an element that is their complete antithesis and annihilation. Consequently the Buddha sometimes called it 'nibbanadhatu' sometimes 'nirodhadhatu' and sometimes 'amatadhatu.'
두 그룹의 요소 중 어느 곳에 빔(공)이라 부르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까요? 빔이 물질 요소에 포함된다고 말하면 사람들이 배꼽을 잡고 웃을 것입니다. 빔이 비물질 요소 또는 무형 요소에 포함된다고 말하면 성자들이 웃을 일입니다. 빔은 물질 요소도 아니고 비물질 요소도 아닙니다. 보통사람들의 인식범위를 넘어선 곳에 세번째 종류의 요소가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그것을 '니로다다뚜(nirodhadhatu)'라고 하셨습니다. '왓투다뚜(vatthudhatu)' 또는 '루빠다뚜(rupadhatu)'는 형색, 소리, 냄새, 맛, 감촉, 또는 무엇이든지 물질적인(유형적인) 요소를 지칭합니다. '아루빠다뚜(arupadhatu)'는 마음과,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과 느낌 등의 정신적 작용을 지칭합니다. 정반대와 소멸 요소로서, 두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단 한 종류의 요소가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이 요소를 때로는 '닙바나다뚜'라 하셨고, 때로는 '니로다다뚜;라고 하셨으며, 때로는 '아마따다뚜'라고 하셨습니다.
The words nirodhadhatu and nibbanadhatu both mean extinguish, it is the extinguishing element, the element that extinguishes all other elements. Amatadhatu means the 'element that does not die'. All other elements die, it is their nature to die. Nirodhadhatu is not tied to birth and death but is, on the contrary, the utter extinction of the other elements. Sunnata is that which dwells in this element and so it might also be called sunnatadhatu, for it is the element that brings all elements to emptiness.
'니로다다뚜'와 '닙바나다뚜'란 말은 모두 소멸을 뜻합니다. 그것은 소멸 요소이고, 모든 다른 요소를 소멸시키는 요소입니다. '아마따다뚜'는 '죽지 않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모든 다른 요소는 죽으며, 죽는 것이 그 본성입니다. '니로다다뚜'는 탄생과 죽음에 매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반면에 그것은 모든 다른 요소가 완전히 소멸된 상태입니다. 순냐따(빔)는 이 요소에 속합니다. 그래서 그것은 '순냐따다뚜'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요소를 빔(공)이 되게 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If one is to understand those things called dhatu well enough to understand the Dhamma they must be studied in this way. Don't be deceived into thinking that knowing the elements of earth, water, wind and fire is sufficient ; they are a matter for children. Those elements were spoken of and taught before the time of the Buddha. one must go on to know vinnanadhatu, the immaterial consciousness element, akasadhatu, the space element and sunnatadhatu, the emptiness element that is the utter extinction of earth, water, fire, wind, consciousness and space. The element of emptiness is the most wonderful element in all the Buddhist Teachings.
'다뚜'라고 하는 이것을 담마 이해에 충분할 정도로 잘 이해하고자 한다면 이 방식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땅, 물, 불, 및 바람의 요소를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에 속지 말기 바랍니다. 이 4대 요소들은 붓다시대 전에 (벌써) 언급되었고 가르쳐졌습니다. 비물질 의식 요소인 윈냐나다뚜, 공간 요소인 아까사다뚜, 그리고 땅, 물, 불, 바람, 의식, 및 공간이 완전히 소멸된 빔 요소인 순냐따다뚜를 계속 더 알아야 합니다. 빔 요소는 모든 붓다 가르침 중에서 가장 경이로운 요소입니다.
To sum up: earth, water, wind and fire lie in the group of rupadhatu. The mind consciousness and mental processes lie in the group of arupadhatu. As for Nibbana, this sunnatadhatu, it lies in the group of nirodhadhatu. You must find a quiet time to sit and look at all the elements and see clearly that there are only these three kinds. Then you will begin to discover Nibbanadhatu, and understand more of that anatta or sunnata that we are presently discussing.
요약하면, 땅, 물, 불, 및 바람은 '루빠다뚜'라는 그룹에 속합니다. 마음 의식과 정신작용은 '아루빠다뚜'라는 그룹에 속합니다. 이 '순냐따다뚜'인 '닙바나'는 '니로다다뚜'라는 그룹에 속합니다. 조용한 때에 앉아서 모든 요소를 바라보고 단지 3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아 보십시오. 그러면 닙바나다뚜를 깨닫기 시작할 것이며, 현재 검토하고 있는 아낫따(무아)와 순냐따(빔)를 더 이해할 것입니다.
So we may lay down the principle that in the grasping at and clinging to 'I', and 'mine' there is rupadhatu and arupadhatu and in their absence there is nirodhadhatu. To reverse it one may say that if nirodhadhatu enters the mind one sees only emptiness the state free of ' I' and 'mine' manifests itself clearly. If another element enters one will see it as form, smile, visible object, sound, smell, taste, tactile object, feeling, memory, thought, consciousness and so on, the whole confusing crowd, each one having a part to play in the arising of clinging, if not as love then as hate.
그러므로 '나'와 '내 것'에 집착하는 곳에 '루빠다뚜'와 '아루빠다뚜'가 있고, 집착이 없는 곳에 '니로다다뚜'가 있다는 원리를 정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니로다다뚜'가 마음에 들어가면 '나'와 '내 것'에서 해방된 상태인 '빔'만이 명확히 드러난다는 것을 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요소가 (마음에) 들어가면 형태, 웃음, 시각대상, 소리, 냄새, 맛, 촉각대상, 느낌, 기억, 생각, 의식 등등 모든 혼란스럽게 하는 것들을 보게 될 것입니다. 각각에는 좋아하지 않으면 미워하는 것으로 집착을 생기게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Thus we all have just two dominant moods -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e are accustomed to only these two. We have only been interested in gaining that which is felt to be desirable and to flee from or destroy that which is felt to be disagreeable. It is unceasing disturbance, the mind is never empty. For the mind to be empty we must go beyond, overcome all the disturbing elements and come and dwell with the element of emptiness.
이렇게 하여 바로 2개의 두드러진 기분, 즉 만족과 불만족이 있게 됩니다. 사람들은 단지 이 두개의 기분에만 익숙해져, 좋다고 느끼는 것을 얻고, 싫다고 느끼는 것을 피하거나 없애는 것에 관심을 가지기만 하여 왔습니다. 이것은 그침이 없는 교란이며, 마음은 결코 비지 않습니다. 마음이 비기 위해서는 모든 교란 요소를 압도하고 넘어서서 빔의 요소에 이르러 그곳에 머물러야 하기 때문입니다.
Another way that the Buddha talked about elements in order to show their properties was to make a threefold division. He spoke first of nekkhamadhatu (the element of renunciation) as the cause for the withdrawal from sensuality; secondly of arupadhatu as the cause for the withdrawal from materiality and thirdly of nirodhadhatu as the cause for the withdrawal from the conditioned. Seeing nekkhamadhatu, the element of renunciation, is the cause for the withdraw from sensuality because it is its antithesis. Seeing the element that is the antithesis of sensuality is called seeing nekkhamadhatu. Being unconsumed by the fire of sensuality is nekkhamadhatu. The mind that withdraws from sensuality is a mind that contains nekkhamadhatu.
붓다께서는 요소들의 성품을 보이기 위해 다른 방법으로 요소들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셨습니다. 첫째로 감각적인 것에서 떠나는 원인으로서 '넥카마다뚜(버림 요소)'를 말씀하셨고, 둘째로 물질적인 것에서 떠나는 원인으로서 '아루빠다뚜'를 말씀하셨으며, 셋째로 (모든) 형성된 것에서 떠나는 원인으로서 '니로다다뚜'를 말씀하셨습니다. 버림(포기) 요소인 '넥카마다뚜'를 보고 아는 것은 감각적인 것의 반대이므로 감각적인 것에서 떠나는 원인이 됩니다. 감각적인 것의 반대인 요소를 보고 아는 것을 '넥카마다뚜'를 보고 아는 것이라고 합니다. 감각적인 것의 불에 타버리지 않는 것이 '넥카마다뚜'입니다. 감각적인 것에서 떠난 마음은 넥카마다뚜가 있는 마음입니다.
Beings that are able to free themselves from sensuality attach to the beautiful and pleasurable things that are unconnected with gross sensuality but are still in the realm of form, albeit on a refined revel, as for example rishis, munis and yogis who get attached to the pleasures of rupajhana (absorptions. of the Fine-Material Sphere). Or on a more mundane level perhaps we see old people attached to antiques or exquisite potted plants. Although these things are unconnected with the crudest sensuality, such people may be even more lost than those lost in sensuality they are attached to material form and unable to give it up.
감각적인 것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존재(사람)는 거친 형태의 감각적 쾌락이 아닌 아름다운 것과 즐거운 것에 집착하지만 아직 유형의 영역에 있습니다. 그러나 루빠자나(색계 선정)의 즐거움에 집착하고 있는 리쉬(선견지명이 있는 자), 무니(현명한 자), 요기(선정에 능숙한 자)와 같이 고상한 수준에 있습니다. 또는 욕계(감각적 쾌락의 세계)에서 골동품이나 아름다운 화분 식물에 집착하는 노인들이 이 수준의 사람들입니다. 비록 이런 사물은 거친 형태의 감각과 관련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런 사람들은 거친 형태의 감각적 즐거움에 빠졌을 때보다 훨씬 더 길 잃은 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유형의 물질에 매달려 그것들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So what else will one get attached to if one can free oneself from the attachment to materiality? one will attach to, the causally conditioned things that lie beyond it, i.e. all the beneficial dhammas. We don't have to talk of the harmful dhammas here, nobody wants them, but of the virtues and virtuous actions that one projects will earn one rebirth as a wonderful being up in heaven. People dream about this endlessly. But being born in heaven is sankhata (a conditioned state). We are all so caught up in being this and that kind of self and having this and that kind of possession of self. Being the self of an animal is no good so we want a human self. Seeing that being a human is no good we want to become a celestial being. That's no good so we want to become a brahma-god. Seeing that being a brahma-god is no good we want to become a mahabrahma-god. There's a self there all the time, it's all sankhata. only on the discovery of nirodhadhatu can we withdraw from the conditioned. Thus nirodhadhatu is the final element it is the element of extinguishing. It is the utter extinguishing of 'I' and 'mine'. If there is an absolute and final extinction (anupadisesanibbanadhatu) then one becomes an arahant. If the extinction is incomplete (sa-upadisesanibbanadhatu) then one becomes one of the lesser Noble ones, for there is still a remnant of ego, it is not the true ultimate emptiness of paramamsunnam.
그러면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에서 해방된다면 무엇에 집착하게 될까요? 물질적인 것을 초월하는 '연기된(조건따라 생긴)' 모든 유익한 담마에 집착하게 될 것입니다. 아무도 해로운 담마를 바라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해로운 담마를 언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덕과 덕 있는 행위는 훌륭한 존재로 천상에 태어나게 할 것입니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이것을 바랍니다. 그러나 천상에 태어나는 상태는 '상카따(조건따라 생긴 상태)'입니다. 사람들은 모두 이런저런 종류의 자아와 이런저런 종류의 자아에 속하는 존재에 마음이 빠져 있습니다. '동물 자아'로 태어나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인간 자아'로 태어나길 바랍니다. '인간 자아'로 태어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 '천상 자아'로 태어나길 바랍니다. 이것도 좋지 않다고 알면 '브라마 신(brahma god) 자아'로 태어나길 바랍니다. '브라마 신 자아'도 좋지 않다고 알면 '마하브라마 신(mahabrahma god) 자아'로 태어나길 바랍니다. 항상 여기에는 자아가 있습니다. 이것은 모두 '상카따(조건따라 생긴 것)'입니다. '니로다다뚜'를 깨달았을 때에만 '조건된 것'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니로다다뚜'는 마지막 요소입니다. 이것은 소멸시키는 요소이고, '나'와 '내 것'이 완전히 소멸된 요소입니다. 절대적이고 최종의 소멸(아누빠디세사닙빠나다뚜, anupadisesanibbanadhatu)이 있다면 아라한이 됩니다. 불완전한 소멸(사-우빠디세사닙빠나다뚜, sa-upadisesanibbanadhatu)이라면 더 낮은 단계의 성자가 됩니다. 아직 에고(자아)의 찌꺼기가 있으므로 빠라맘순냠(paramamsunnam)이라는 진정한 궁극의 빔(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To summarize: we must know the dhatus, the true constituents of all things. Please understand them according to the main principle whereby there is rupadhatu: elements with form; arupadhatu: elements without form; nirodhadhatu: the element which is the extinguishing of both the form and formless elements. We can confidently assert that there is nothing outside the scope of these three words.
요약하면, 모든 사물의 진정한 구성요소인 '다뚜'를 알아야 합니다. 유형 요소인 '루빠다뚜', 무형 요소인 '아루빠다뚜', 유형 요소와 무형 요소가 모두 소멸된 요소인 '니로다다뚜'라는 주원리에 따라 '다뚜'를 이해하기 바랍니다. 모든 것은 세 단어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자신있게 단언할 수 있습니다.
We are learning something about the Buddha's science, the science, that encompasses th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spheres. It enables us to have an utterly thorough knowledge of all things that precludes any further grasping at them. And it is this that must be the meaning of emptiness for us.
우리는 물질적, 정신적, 및 영적 영역을 포함하는 과학인 붓다의 과학에 대해 배우고 있습니다. 이 과학은 집착할 어떤 것도 없는 모든 사물에 대해 완전하고 철저하게 알도록 합니다. 이 앎은 우리가 알아야 할 빔(공)의 의미입니다.
빔[공] (5)
5.
Now I'll expand on a few points in order to round off our understanding of emptiness. In the Uppannasaka Sutta of the Majjhima Nikaya the Buddha calls sunnata 'mahipurisavihara.' This translates as meaning that emptiness is the abode of the Great Man. The Great Man does not have a wandering, restless mind that spins this way and that as does the mind of an ordinary man. The Great Man has a mind that dwells in emptiness, with emptiness, is itself emptiness. That being so, sunnata is the abode or temple of the Great Man i.e. of the Buddha and the arahants. To say that emptiness is their abode means that they live it and breathe it.
이제 빔(공)에 대한 이해를 마무리하기 위해 몇가지 점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맛지마 니까야(중부)의 우빤냐사까 숫따(uppannasaka sutta)에서 붓다께서는 순냐따(빔, sunnata)를 '마히뿌리사위하라(mahipurisavihara)'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은 '빔은 위대한 자의 거처'라는 뜻입니다. 위대한 자는 평범한 사람의 마음처럼 이길 저길을 내달리며 돌아다니거나 불안한 마음이 없습니다. 위대한 자는 빔(공)에 거주하고 빔(공)과 함께 사는 마음이 있으며 빔(공) 그 자체입니다. 그러므로 순냐따는 위대한 자, 즉 붓다나 아라한들의 거처 또는 사원입니다. 이 빔(공)이 위대한 자의 거처라고 말하는 것은 그 분들이 빔에서 살고 빔에서 숨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Buddha stated that He, the Tathagata dwelt and passed His life in sunnatavihara. When He was teaching Dhamma His mind was empty of "self" and "belonging to self". When He was on alms - round or doing His daily tasks His mind was empty. When He was resting or enjoying Himself in His free time[20], He was dwelling empty of 'self" and "belonging to self." Thus He affirmed to Sariputta that, the Tathagata passed His life in sunnatavihara.
붓다께서는 그 자신, 따타가따는 '순냐따위하라(빔이라는 거처)'에서 삶을 보낸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담마를 가르칠 때 자신의 마음은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이 비어 있고, 탁발이나 일상사를 할 때 자신의 마음은 비어 있으며, 한가한 시간에 휴식하거나 한가한 시간을 즐길 때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이 비어 있는 곳에 머무른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사리뿟따에게 따타가따는 '순냐따위하라'에서 보낸다고 확언하셨습니다.
Here we are not talking about the ordinary unenlightened person but of the Great Man, of the Buddha - how He lived and in what abode He dwelt. If you want to see the Buddha's dwelling place, don't go thinking that it's a building made of bricks and mortar or something in India. You should think of the abode called sunnatavihara or mahapurisavihara. It must be supremely empty.
지금 우리는 깨닫지 못한 일반인들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위대한 자, 즉 붓다께서 어디에서 사셨고 어떤 거처에 거주하셨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붓다의 거처를 보고 싶다면 인도에 있는 블록이나 모르타르로 지은 건축물을 찾지 말기 바랍니다. 여러분은 '순냐따위하라(빔이라는 거처)' 또는 '마히뿌리사위하라(위대한 자의 거처)'라는 거처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곳은 최상의 빔이어야 합니다.
The supreme emptiness is not the momentary flash that we may experience sitting here, which has disappeared by the time we get home. Sunnatavihara refers to the ultimate emptiness and so another word is used, a rather long one, paramanuttara-sunnata. It is composed of three words: parama + anuttara + sunnata, and means "supreme unsurpassable emptiness". In the technical literature of Dhamma, this point relates to the cetosamadhi devoid of nimittas, [21] where the mind lacking any nimitta is radiantly pure to the extent of being free of the asavas [22]. This condition may be of a kind that can be regressed from or it may be permanent. If at any moment that there is the kind of cetosamadhi where there are no nimittas to be clung to as self or as belonging to self, then that radiant mind, free of the asavas, is called paramanuttarasunnata and is the natural, unforced state of the arahants.
최상의 빔은 우리가 여기 앉아 있을 동안에 경험하고 집에 돌아갈 때에는 사라지는 일시적인 섬광같은 빔이 아닙니다. 순냐따위하라(빔이라는 거처)는 궁극의 빔이며, 다른 긴 말로 표현하면 '빠라마눗따라순냐따(paramanuttarasunnata)'입니다. 이 말은 3개의 말, '빠라마(parama) + 아눗따라(annuttara) + 순냐따(sunnata)'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의미는 '최상의 더할 나위 없는 빔'입니다. 이 점은 담마에 관한 전문적인 문헌에서 '니밋따(표상)가 없는 쎄또사마디(cetosamadi)'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니밋따가 없는 마음은 번뇌에서 해방된 순수하게 빛나는 마음입니다. 이 상태는 원상태로 복귀하는 종류와 영원히 유지되는 종류가 있습니다. 어떠한 때라도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에 집착하는 니밋따(표상)가 없는 쎄또사마디(cetosamadi)의 종류에 머무른다면, 그때에 번뇌에서 해방된 빛나는 마음을 '빠라마눗따라순냐따'라 부르며, 이 상태는 아라한의 자연적인 의도없는 마음상태입니다.
If we unenlightened people are ever going to be true adepts we must be able to attain this cetosamadhi. Even if we don't end the asavas once and for all it will be an occasional freedom from them. It will be borrowing something of the Buddha and the arahants to have a look at so that we don't lose heart. For that which is called emptiness or enlightenment or Nibbana is both of the sort that is obtained absolutely and finally and of the temporary, uncertain sort that we ordinary folk may know. There is even a third sort, which occurs by coincidence. At times when our surroundings are particularly conducive the mind may be empty for an hour or two.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e set our minds on practising to the best of our abilities to make the mind empty.
깨닫지 못한 사람이 진정한 요기(선정에 능숙한 자)가 되고자 한다면 이 '쎄또사마디'에 이를 수 있어야 합니다. 비록 영원히 번뇌에서 해방되지는 못할지라도 일시적으로 번뇌에서 해방될 수는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붓다와 아라한으로부터 차용물을 빌려 용기를 잃지 않도록 잠깐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빔이나 깨달음이나 닙바나라고 하는 것은 절대적이고 최종적으로 이르는 종류와 일반인들이 알 수도 있는 일시적이고 확고하지 않은 종류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연히 일어난 세 번째 종류도 있을 수 있습니다. 특별히 주위 환경이 도울 때 마음은 한 두 시간 비워 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마음이 그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실천)수행하여 마음을 비게 하는 것입니다.
The term paramanuttarasunnata as used by the Buddha means the utter destruction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the grasping at and clinging to things as self or as belonging to self, and thus has the same meaning as samucchedapahana or 'final abandonment.' Consequently when speaking of the highest level of sunnata the Buddha used this term supreme unsurpassable emptiness.
붓다께서 사용하신 '빠라마눗따라순냐따'란 말은, 사물을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이 완전히 소멸된 의미이며, 그래서 '사뭇쩨다빠하나(samucchedapahana, 최종적인 버림)'와 같은 의미입니다. 따라서 순냐따(빔)의 최고 상태를 말씀하실 때 붓다께서는 이 '빠라마눗따라순냐따(최상의 더할 나위 없는 빔)'란 말을 사용하셨습니다.
If we gradually lower our eyes from this summit of emptines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s lesser levels. Directly below the peak of paramanuttarasunnata are the following :
nevasannanasannayatana
akincannayatana
vinnanancayatana
akasanancayatana
pathavisanna
arannasanna.
Looking downwards from the summit it is hard to understand so we will start from the bottom and gradually raise our eyes to the peak.
빔(공)의 정상에서 점점 눈을 낮추어 가면 더 낮은 수준의 빔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빠라마눗따라순냐따'라는 정상에서 바로 아래로 다음과 같은 수준이 있습니다.
네바산냐나산냐야따나(nevasannanasannayatana, 인식하는 것도 아니고 인식하지 않는 것도 아닌 수준)
아낀찬냐야따나(akincannayatana, 무한한 없음의 수준)
윈냐난차야따나(vinnancayatana, 무한한 의식의 수준)
아까사난차야따나(akasanancayatana, 무한한 공간의 수준)
빠타비산냐(pathavisanna, 땅의 인식 수준)
아란냐산냐(arannasanna, 숲의 인식 수준).
정상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바닥에서 시작하여 정상으로 점차로 눈을 높여 보겠습니다.
The very first level is arannasanna, which means the perception of forest. If where we live it is noisy and confusing we imagine it to be a forest, as if it truly is one and we really have entered it. We may imagine the forest to be empty and tranquil, free from disturbing noises. Merely imagining a forest is already one sort of emptiness, but an emptiness that is child's play.
첫 수준은 숲을 인식하는 의미의 '아란냐산냐'입니다. 살고 있는 곳이 시끄럽고 혼란스럽다면, 이곳이 숲과 하나이고 숲속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숲이 소음에서 자유롭고 비고 조용한 곳이라고 상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간단히 숲을 상상하는 것도 빔(공)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나 이 빔은 어린아이의 놀이 수준입니다.
Higher than arannasanna is pathavisanna, whereby we create the perception of earth. We become conscious of all phenomena as being merely the earth element. Pathavisanna can eradicate craving for the sense pleasures of visible forms, sounds, odors, tastes and tactile objects. It is something the young should try.
'아란냐산냐'보다 높은 수준은 땅을 인식하는 '빠타비산냐'입니다. 모든 현상을 단지 '땅 요소'라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빠타비산냐'는 형색, 소리, 냄새, 맛, 및 촉각대상을 즐기고자 하는 갈망을 없앨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젊은이들이 시도해 보아야 할 수준입니다.
Here if we wish to ascend further we must create the perception of akasanancayatana, i.e. create the feeling that there is nothing but infinite space. Space is indeed one kind of emptiness but it is not true sunnata. Sunnata is of a higher order than vacant, empty space. You don't have to be interested in that sort of emptiness. Pay attention to the subtler level of sunnata such as that whereby we create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nothing but infinite consciousness.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nothing but the infinite consciousness - element is called vinnanancayatana. If we ascend even higher we reach the kind of sunnata called akincannayatana whereby we mentally create utter nothingness. We don't allow the mind to focus on anything, we fix it on nothingnes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feeling that there is nothingness.
여기서 더 높이 올라가고자 한다면 단지 무한한 공간만 있다는 느낌이 일어나는 '아까사난차야따나'를 인식해야 합니다. 공간은 확실히 빔의 한 종류이지만 진정한 순냐따(빔)는 아닙니다. 순냐따(빔)는 '비어있는 공간'보다 더 높은 차원에 관한 것입니다. 그런 종류의 빔(진공 상태)에 관심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무한한 의식'만 있는 인식이 생기는 곳과 같은 더 미묘한 수준의 순냐따에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단지 '무한한 의식 요소'만 있는 인식은 '윈냐난차야따나'라고 합니다. 훨씬 더 높이 올라가면 정신적으로 완전히 없는 상태가 생기는 '아낀찬냐야따나'라고 하는 순냐따(빔)의 종류에 이릅니다. 어떤 것에도 마음이 촛점을 맞추지 않게 하고 아무것도 없음에 고정합니다. 그러나 아직 '아무것도 없음'이 있다는 느낌이 남아 있습니다.
One step further on lies nevasannanasannayatana, non perceiving perception. It's said that it is neither like being alive nor being dead. To say that there is perception would be false. To say that there is no perception would also be false. There is no labeling or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There is awareness without perception. It is so subtle that to call a person in this state alive would be false to call him dead would be false. This too is a kind of emptiness.
한 단계 더 높은 곳에 '네바산냐나산냐야따나'라는 인식하지 않는 인식의 상태가 있습니다. 이 수준의 상태는 살아 있지도 죽지도 않은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인식이 있다고 해도 옳지 않고 인식이 없다고 해도 옳지 않은 상태입니다. 경험한다는 표식이나 해석이 없는 상태이며 인식없는 알아차림이 있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는 너무 미묘하여 이 상태에 있는 사람을 살아 있다고 말할 수도 없고 죽었다고 말할 수도 없습니다. 이 상태 역시 빔의 한 종류입니다.
These six levels of emptiness are not the same as paramanuttarasunnata. The Buddha spoke of them merely to demonstrate the various gradations of emptiness. None of them are the emptiness that is the abode of the Great Man. They are the sorts of emptiness that rishis and munis had been groping after since before the time of the Buddha. once having discovered them they would get stuck in them, unable to get beyond them. It was like that until the Buddha found the true sunnata which is the abode of the Great Man. the supreme unsurpassable emptiness that I have been speaking of.
이 여섯 가지 상태의 빔은 '빠라마눗따라순냐따'와는 다릅니다. 붓다께서는 단지 빔의 다양한 단계적 이행을 설명하기 위해 여섯가지 수준을 말씀하셨습니다. 이것들 중의 그 어떤 것도 위대한 자의 거처인 빔이 아닙니다. 이것들은 붓다시대 전부터 진리를 찾아 다니는 리쉬(선견지명이 있는 자)나 무니(현명한 자)들이 도달한 빔의 종류입니다. 이들은 이 상태들의 빔을 한번 경험한 후에는 그것에 매혹되어 그 빔의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붓다께서 위대한 자의 거처인 진정한 순냐따(빔)을 발견할 때까지는 이와 같았습니다. 진정한 순냐따(빔)는 앞에서 말한 '빠라마눗따라순냐따(최상의 더할 나위 없는 빔)'입니다.
The commentaries call the experiences of sunnata, 'sunnataphassa'. We know only of the contact (phassa) of the eyes, ears, nose, tongue, body and mind with visible forms, sounds, odors, tastes, tangible and mental objects. We have never had sunnataphassa, the contact with sunnata because we know only of rupadhatu and arupadhatu, we know nothing of nirodhadhatu.
주석서에서는 순냐따를 경험하는 것을 '순냐따팟사(sunnataphassa)'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눈, 귀, 코, 혀, 몸, 및 마음이 형색, 소리, 냄새, 맛, 촉각대상 및 정신대상과 접촉하는 것(팟사, phassa)만 알고 있습니다. '루빠다뚜(물질 요소)'와 '아루빠다뚜(비물질 요소)'만 알고 '니로다다뚜(소멸 요소)'를 모르기 때문에 순냐따(빔)와 접촉하는 '순냐따팟사'를 결코 경험하지 못하였습니다.
When we come to know nirodhadhatu we will experience a new sensation, that which the commentators call sunnataphassa. It is the name of the Noble Path on the level that truly destroys mental defilements. When we have developed our practice to the point that it is destroying defilement, there is sunnataphassa. It is like touching sunnata with our hand, our minds come into contact with emptiness.
니로다다뚜를 알게 되면 주석서에서 '순냐따팟사'라고 부르는 새로운 감각을 경험할 것입니다. 이것은 정신적 오염원을 정말로 없애는 고귀한 길의 수준에서 일어나는 접촉을 일컫는 이름입니다. 오염원을 없애는 지점까지 (실천)수행을 계발했을 때 '순냐따팟사'가 있습니다. 이것은 손이 순냐따에 접촉하는 것과 같이 마음이 빔(공)과 접촉하는 것입니다.
Emptiness as contact relates to the Noble Path of one for whom anattanupassana (the insight that there is no self nor anything belonging to self, that there are merely dhammas and natural processes) is growing continually. If the Noble Path is of this nature it is called sunnato and any contact which takes place on that Path is called sunnataphassa. Anattanupassana the cause of that state is a consequence of Dukkhanupassana, the insight into Dukkha. Dukkhanupassana is like having once tried to take hold of fire, knowing that it's not at all something to put your hand in, or knowing that no dhammas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because once taken hold of, they become a fire. If spiritually we are well conversant with the way that fire burns and consumes, how it constricts, envelops, pierces and entangles then that is Dukkhanupassana.
(여기서) '빔에 접촉하는 것'은 아낫따누빳사나(annattanupassana,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이 없고, 단지 담마와 자연 과정만 있다는 통찰)를 계속 계발하는 자의 고귀한 길에 관련된 것입니다. 고귀한 길이 이 길에 관한 것이면 순냐또(sunnato)라 하고, 이 길에서 일어나는 접촉을 순냐따팟사(sunnataphassa)라고 합니다. 이 순냐따팟사의 원인인 '아낫따누빳사나'는 둑카(dukkha)를 통찰하는 둑카누빳사나(dukkhanupassana)의 결과입니다. '둑카누빳사나'는 불을 잡으려고 손을 대어 본 후, 그것은 전혀 잡을 것이 못된다는 것을 아는 것과 같으며, 이와 같이 담마를 움켜쥐면 불이 되므로 어떠한 담마도 움켜쥐거나 집착할 것이 못된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영적으로 불이 어떻게 타고, 파괴하고, 죄고, 포위하고, 찌르고, 곤란에 빠뜨리는지 잘 알고 있으면 이것이 둑카누빳사나입니다.
Here we must consider that some people object that if you haven't reached Nibbana you can’t know anything about it, just as if you've never been to Europe you can't ever have seen it. But Nibbana is not a material object it is a matter of the mind and heart. As I have said, right now most of your minds are empty. This is already a taste. Be diligent in seeing that.
여기서, 닙바나에 이르지 않았다면 닙바나에 대해 어떤 것도 알 수 없다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들은 유럽에 가보지 않았다면 유럽에 대해 알 수 없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닙바나는 물질적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입니다. 말한 바와 같이 지금 여러분들의 마음이 대부분 비어 있다면 이것이 이미 닙바나의 맛입니다. 그것을 꾸준히 잘 숙고해보기 바랍니다.
Consequently in the scriptural exposition of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the section dealing with cittanupassana where it discusses the method of looking intently at the mind it says
that if the mind has lust one knows that the mind has lust;
if the mind has aversion one knows the mind has aversion;
if the mind has, delusion then one knows the mind has delusion;
if the mind is depressed then one knows that the mind is depressed;
if the mind is not depressed then one knows that the mind is not depressed;
if the mind is released then one knows that the mind is released(vimutti);
if the mind is not released then one knows that the mind is not released.
따라서, 호흡을 알아차리는 수행을 경전에 따라 설명하는 곳에서 마음 관찰을 다룬 부분에는 다음과 같이 마음을 열중하여 바라보는 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마음에 갈망이 있을 때 갈망이 있다고 알고,
마음에 미워함이 있을 때 미워함이 있다고 알고,
마음에 미혹이 있을 때 미혹이 있다고 말며,
마음이 위축되었을 때 위축되었다고 알고,
마음이 위축되지 않았을 때 위축되지 않았다고 알며,
마음이 해방되었을 때 해방되었다고 알고,
마음이 해방되지 않았을 때 해방되지 않았다고 안다.
If the mind is released then it is empty. If it is not released then it is not empty. Let us look at our mind that is either released i.e. empty of all things or caught i.e. grasping at and clinging to something. Even at the initial level of practice the teaching is to look at the mind that is empty or vimutti. It is something that is there to be seen within, it is not something to be figured out according to books that we've read.
마음이 해방되었을 때 이것이 빔입니다. 마음이 해방되지 않았을 때 이것은 빔이 아닙니다. 마음이 해방, 즉 모든 사물에서 비어 있는지, 마음이 구속, 즉 어떤 것에 집착하고 있는지 바라봅시다. (실천)수행의 초기 단계에서 조차도 마음이 비어 있는지(해방되었는지) 바라보는 것을 가르칩니다. 빔(해방)은 내부에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읽은 책에 따라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Nibbana or sunnata is there for us to see, even while we are still unenlightened. There is the emptiness called tadangavimutti that just happens to arise, as it is now, when the external conditions are right. If we concentrate the mind in the correct way so that it's completely undisturbed and at ease (more so, one may say, than when experiencing any kind of worldly pleasure) then this is vikkambhanavimutti, release by suppression. So even without the samucchedavimutti or final release of the arahant, we still have a sample of emptiness to examine, a sample of the wares of the Buddha. If you are interested you can find such a sample in yourself.
닙바나 또는 순냐따는 아직 깨닫지 못했다해도 우리가 보고 알 수 있습니다. 외부 조건(환경)이 바를 때 지금과 같이 바로 일어나는 따당가위뭇띠(tadangavimutti)라는 빔이 있습니다. 마음을 올바르게 집중하여 완전히 가라앉아 편안하다면(세상의 어떤 즐거움을 경험할 때보다 더 편안하다고 하는) 이것이 압박에서 해방된 윗깜바나위뭇띠(vikkambhanavimutti)입니다. 그러므로 아라한이 경험하는 사뭇쩨다위뭇띠(samucchedavimutti, 최종의 해방)가 없더라도 붓다의 상품인 빔의 샘플을 맛볼 수 있습니다. 관심만 있다면 자신의 내부에서 이 상품을 찻을 수 있습니다.
Therefore, we should practice mindfulness of, breathing stage by stage, developing kayanupassana, vedananupassana, cittanupassana, and dhammanupassana[23]. It is a constant tasting of emptiness from start to finish. Finally, we will understand emptiness through seeing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and clinging.
그러므로 호흡을 알아차리는 수행을 한 단계씩 실천하면서 까야누빳사나(몸 관찰), 웨다나누빳사나(느낌 관찰), 찌따누빳사나(마음 관찰), 및 담마누빳사나(법 관찰)를 계발해야 합니다. 호흡을 알아차리는 수행은 처음부터 끝까지 부단히 빔을 맛보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움켜쥐고 집착할 때 생기는 고통을 확실히 보게 되어 빔(공)을 이해할 것입니다.
Then the mind will immediately turn to find contentment with the ayatana of Nibbana. So in this way we are able to see emptiness continually, before actually reaching its supreme level. There is a progress that follows its own law or the law of nature itself. When having firmly comprehended something by oneself the resulting knowledge is firm. It does not sway unstably like false knowledge or knowledge gained by listening to others. We don't have to do anything very much to make ourselves happy, we don't' have to go to any great trouble. All we have to do is to empty our mind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or in other words to make it empty of grasping at and clinging to 'I' and 'mine.' When the mind is empty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then it's truly empty and all Dukkha comes to an end. Even kamma will of itself come to an end.
그러면 마음은 곧바로 닙바나의 상태에서 만족을 얻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정말로 최상의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는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계속 빔을 볼 수 있습니다. 자연법 그 자체인 법을 따른 과정이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것을 확고하게 이해할 때 결과로서 생기는 앎이 확고합니다. 이것은 그릇된 앎 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듣고 얻은 앎처럼 불안정하게 흔들리지 않습니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어떤 것을 대단히 많이 할 필요가 없습니다. 크게 고심하고 애쓸 필요가 없습니다. 해야 할 것은 단지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된 마음이 없게 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마음에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이 없으면 이것이 참으로 빔이며 모든 둑카(고)가 끝나는 것입니다. 업도 저절로 끝나게 됩니다.
In the Anguttara Nikaya, the Buddha states that when the mind is empty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empty of 'I' and 'mine' then kamma ends by itself. This means that kamma, vipaka (its result), and the mental defilements which are the cause for the creation of kamma, spontaneously and simultaneously come to an end. So we don't have to be afraid of kamma, to fear that we must be ruled by our kamma. We don't have to be too interested in kamma. Rather, we should take an interest in emptiness. If we have created emptiness with regards to 'I' and 'mine', kamma will utterly disintegrate and there will be no way that we will have to follow its dictates.
앙굿따라 니까야(증지부)에서 붓다께서는 마음이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에서 비고 '나'와 '내 것'에서 빌 때 깜마(업)가 저절로 끝난다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깜마(업)와, 위빠까(과보)와, 깜마(업)을 생성하는 원인인 정신적 오염원이 저절로 동시에 끝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업의 지배를 받는다고 두려워하여 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깜마(업)에 너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그보다 빔(공)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나'와 '내 것'에 대한 빔이 생긴다면 깜마(업)는 완전히 해체되고 그 지령에 따르는 행동(상태)이 없을 것입니다.
It's due to this very point that someone like Angulimala could become an arahant. Don't explain wrongly, as is often done, the Buddha's reply to Angulimala, "I have already stopped. It is you that have not stopped." Don't explain that 'not stopped' means that he was still killing people and that Angulimala became an arahant because he stopped murdering. Anyone who explains like that is badly misrepresenting the Buddha because when the Buddha used the word 'stop' here, He was referring to the stopping of 'I' and" 'mine',' to the stopping of grasping and clinging, or in other' words to emptiness. So it is emptiness that is stopping and it is the only kind of stopping that could have made Angulimala an arahant. If it was stopping murdering why aren't all people who don't kill arahants? It is because cessation, the true stopping, is the emptiness where there is no self to dwell anywhere, to come or go anywhere or to do anything. That is true stopping. If there is still a self then you can't stop.
앙굴리말라 같은 사람이 아라한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점 때문입니다. "나는 이미 멈추었다. 멈추지 않은 것은 그대이다."라고 붓다께서 앙굴리말라에게 하신 대답을, 자주 오해하는 바와 같이 그릇되게 설명하지 마십시오. '멈추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앙굴리말라는 사람을 죽이고 있었고 살인을 멈추었기 때문에 아라한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하지 말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설명하는 사람은 붓다를 아주 오해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붓다께서 '멈춤'이란 말을 사용했을 때,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것, 즉 다른 말로 '빔'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멈추어서 빈 것이고, 앙굴리말라가 아라한이 될 수 있게 한 바로 그 종류의 빔입니다. '멈춤'이 살인을 멈추는 것이라면 살인하지 않는 모든 사람은 왜 아라한이 아닐까요? 진정한 멈춤(또는 그침)은 어떠한 곳에 거주하거나 가거나 오거나 어떤 것을 행하는 자아가 없는 '빔'입니다. 이것이 진정한 멈춤이고, 아직 자아가 있다면 멈출 수 없습니다.
So,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word 'empty' is the same word as 'stop', the single word by which the Buddha was able to enlighten Angulimala, even though the killer's hands were still red with blood and around his neck hung the 999 finger bones of his victims. For kamma to end by itself, to reach the stopping, we must rely on this single term: empty of 'I' and 'mine', not grasping at or clinging to dhammas.
그러므로 '빔'이란 말은 붓다께서 앙굴리말라를 깨달을 수 있게 한 바로 그 '멈춤'이란 말과 같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앙굴리말라는 손에 핏자국이 있고 목에 그 희생자 999명의 손가락 뼈가 걸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멈춤'이란 말을 듣고 깨달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깜마(업)가 저절로 끝나서 멈추기 위해서는 이 단 하나의 구절에 의지해야 합니다. 즉, '나'와 '내 것'이 비어서 담마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This action of making the mind empty may be called Buddhist yoga, for ensuring that there is emptiness in our action is raja yoga, the highest level or summit of yoga (spiritual endeavor). But although we borrow the word raja yoga from Vedanta [24], in that tradition it is concerned with the realization of an ultimate self. However the Buddha taught that yoga means ariyasaccadassana, which means that there is a yoga in the Buddhist teachings but it is the clarification of emptiness, making it manifest. So any action that is conducive to the manifestation of emptiness may be called yoga. If anyone wishes to use the word yoga or is interested in it in any way it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manner for it to be Buddhist yoga i.e. causing the manifestation of ultimate truth. It should be taken and used in our every mental action, so as to stop the grasping at and clinging to 'I' and 'mine'. Thus we take the word yoga from another tradition and adapt its meaning appropriately. Take for example the word kammayoga - being unselfish, acting unreservedly for the benefit of others, we too have this yoga. If there is no ego - consciousness then whatever we do will be kammayoga. Even with this very basic yoga - making merit, doing good, sacrificing for others and helping mankind, these actions must be performed with a mind empty of 'I' and 'mine'. So we don't have to seek after other kinds of yoga for they all come down to this one yoga, the spiritual endeavor of putting an end to self and the belongings of self, or in other words making emptiness manifest.
마음을 비게 하는 이 행위를 '불교 요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행위는 '라자 요가(raya yoga)', 즉 요가(정신적 노력)의 최정상이기 때문입니다. 비록 베단따(힌두교 경전인 베다의 핵심 가르침)로부터 라자 요가란 말을 빌려 쓰지만, 그 전통에서는 라자 요가는 궁극의 자아를 깨닫는 것입니다. 그러나 붓다께서는 '아리야삿차다사나(ariyasaccadassana)', 즉 붓다 가르침의 요가(핵심)란 의미로 가르치셨습니다. 이 요가는 빔(공)이 명확히 드러나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빔(공)을 드러나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어떤 행위는 요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 요가란 말을 사용하거나 요가에 관심을 갖고 싶다면 어떤 식으로든 붓다 요가의 방식, 즉 궁극의 진리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모든 정신 행위에서 '나'와 '내 것'으로 움켜쥐고 집착하는 것을 멈추기 위해 요가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붓다 가르침은 다른 전통에서 요가란 말을 취하여 그 의미를 바르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깜마 요가(kamma yoga)', 즉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한 무조건적인 비이기적 행위란 말을 예로 들어 보면, 불교에서도 이 요가가 있습니다. 자아 의식이 없다면 '하는 일'은 모두 깜마 요가입니다. 이 가장 기본적인 요가를 하기 위해 취할 점으로 선을 행하고 타인을 위해 희생하고 인류을 돕는 것 조차도 '나'와 '내 것'이 비어 있는 마음으로 행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다른 요가를 구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요가는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을 그치게 하는 정신적 노력, 다른 말로 빔(공)을 드러나게 하는 이 하나의 요가로 모아지기 때문입니다.
All of this rather lengthy explanation has been aimed at elucidating the single word emptiness. To be empty of defilements is to be empty of the feeling of 'I' and 'mine' and then the emptiness that is the freedom from Dukkha is ensured, for to be empty of defilements is to be empty of Dukkha. To be empty of 'I' and 'mine' alone is to be empty of all things. That state of emptiness is not the element of earth, water, fire or air or akincantayatana, akasanancayatana or any of those things. The Buddha denied that it was any of those things. It is only nirodhadhatu, voidness of 'I' and 'mine', the extinction of kamma, the defilements and Dukkha.
이 모든 더 긴 설명은 빔(공)이라는 단 한 낱말을 밝히기 위한 목표였습니다. 오염원이 없으면 '나'와 '내 것'이라는 느낌이 없고 둑카(고)로부터 해방된 빔이 보장됩니다. 오염원이 비면 둑카(고)가 비기 때문입니다. '나'와 '내 것'만 비면 모든 것이 빕니다. 빔(공)의 이 상태는 땅, 물, 불 또는 바람의 요소나 아낀찬냐야따나(무한한 무의 세계), 아까사난차야따나(무한한 공간의 세계) 또는 어떤 다른 것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붓다께서는 이 모든 것의 어떤 것도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단지 니로다다뚜(nirodhadhatu), '나'와 '내 것'의 공함, 깜마의 소멸, 오염원과 둑카의 소멸이 빔(공)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The last point that we must consider is that, as was said at the beginning, emptiness exists in relation to all things. Don’t forget that 'all things' are nothing other than dhammas and that dhammas are nothing but nature or suchness. They are already empty of self or the belongings of self. The dhammas of foolishness, delusion and ignorance emerge continually, because our culture and the way that we live encourage the dhammas of ego and unknowing. They don't encourage the dhammas of knowledge. Consequently we undergo the punishment for our original sin, our original misguided action, continually and automatically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without ever learning our lesson. The young aren’t conscious of it, the middle-aged aren't conscious of it and even many of the old are unconscious of it. We should at least be able to realize it in middle age or old age so as to escape the punishment, emerge from the cage of vattasamsara and reach that boundless place of clarity and space.
고려해 보아야 할 마지막 점은 처음에 말한 바와 같이 빔(공)은 모든 사물에 관련하여 존재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다름아닌 담마이고, 담마는 자연 또는 그러함이라는 것을 잊지 말기 바랍니다. 이들은 자아가 비고 자아에 속하는 것이 비어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와 방식이 '에고'와 '모름(무지)'의 담마를 조장하므로 어리석음, 미혹, 및 무지의 담마가 계속 나타납니다. 사람들도 '앎(지혜)'의 담마를 장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앎(지혜)의 담마를 배워 본 적이 없이 원래의 죄, 또는 원초의 잘못 인도된 행동 때문에 에고와 모름(무지)의 담마를 계속적으로 자동적으로 겪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은 이것을 알지 못하고, 중년 사람들도 알지 못하고, 나이 많은 사람조차도 알지 못합니다. 벌을 모면하여 왓따삼사라(탄생과 죽음의 순환)의 우리에서 나와 투명하고 경계없는 장소와 공간에 도달하기 위해 적어도 중년이나 노년에는 이것(자아가 비고 자아에 속하는 것이 비어 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When the Buddhist Teachings spread to China, the Chinese of those days were intelligent and wise enough to accept it, and there arose teachings such as those of Hui Neng and Huang-Po in which explanations of mind and Dhamma, of Buddha, the Way and emptiness were extremely terse. There emerged the key sentence that mind, Buddha, Dhamma, the Way and emptiness are all just one thing. This one sentence is enough there is no need to say anything more. It is equivalent to all the scriptures.
붓다 가르침이 중국에 전파되었을 때, 그 당시의 중국인은 붓다 가르침을 받아들이기에 충분한 지성이 있고 현명했습니다. 그리고 마음과 담마, 붓다, 도 및 빔(공)에 대해 극히 간결하게 설명한 혜능과 후앙포(황벽선사)와 같은 분들의 가르침이 일어 났습니다. 이 가르침에는 마음, 붓다, 담마, 도와 빔은 모두 똑같은 하나라고 하는 핵심 구절이 있습니다. 이 한 구절로 충분합니다. 더 어떤 것을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구절은 모든 경전의 말씀에 상당합니다.
Now that is a statement that particularly those of us studying and practising in the old style have no way at all of understanding. It might be beneficial for us to feel a little ashamed on this account. The Chinese went on to say that 'emptiness is by nature always present, but we don’t see it'. I may prove this by saying once again that at this moment everyone sitting here has a mind that is by nature empty but not only do you not see it but what's more, you will not accept that this is emptiness.
이 한 구절이므로 특별히 옛방식으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은 전혀 이해할 길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좀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 유익할 것 같습니다. 중국 사람은 빔은 항상 원래 현존하고 있지만 우리가 보지 못하고 있다고 계속 말했습니다. 이것을 다시 한 번 말하면 증명이 될 지 모르겠습니다. 이 순간에 여기 앉아 있는 모든 사람은 자연히 빈 마음이 있으나 여러분은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구나 이것이 빔(공)이라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Huang Po scolded that this is to be like someone having a diamond attached to their forehead without knowing it, who goes searching all around the world or perhaps outside the world in hell, heaven or the Brahma worlds, making an offering of a penny and expecting to go to heaven and satisfy every desire. Not seeing that which is stuck to our forehead, we seek all around the world or if that's not enough in the other realms. So please, just for a while, look very closely to see what is there at your forehead, and how to go about putting your hands on it.
후앙포가 지적하기를, 다이아몬드를 이마에 붙이고 있는 누군가가 이 사실을 알지 못하고 온세계를 찾아 돌아다니거나 몇 푼 헌납하여 천국에 가기를 기대하고 모든 원하는 것이 만족되길 바라면서 아마도 이 세계 바깥의 지옥, 천국, 브라마세계를 찾아 돌아다닐려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이마에 붙어 있는 것을 보지 못하면 전세계를 찾아 다니거나 이것이 충분하지 않다면 다른 세계를 바랍니다. 그러므로 잠깐동안만 이마에 무엇이 있는지 매우 주의깊게 보고 어떻게 그곳에 손을 닿을 것인지 알기 바랍니다.
When speaking of the way to take hold of the diamond the Chinese teachers spoke even more profoundly, "There's no need to do anything just be still and the mind will become empty by itself". This phrase "Just be still. There's no need to do anything" has many meanings. Our minds are naughty and playful. The mind wanders out of the eyes, ears, nose, tongue and body, gathering sense-objects, and having accepted them within, is stupid enough to allow the dhammas of ignorance to climb into the driver's seat', so that there is nothing but grasping and clinging to "I" and 'mine'. This is called being naughty, refusing to be still.
다이아몬드를 잡는 방법을 말할 때 중국 스승들은 훨씬 더 심오하게 말했습니다. "아무 것도 할 필요가 없다. 단지 고요히 있으면 마음은 저절로 비게 될 것이다." 이 구절 "단지 고요히 있으라. 어떤 것도 할 필요가 없다."는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마음은 장난을 좋아하고 놀기를 좋아합니다. 눈, 귀, 코, 혀, 및 몸에서 나와 감각 대상을 모으고 이를 내부로 받아들이며 어슬렁거리는 마음은 '나'와 '내 것'에만 집착하기 때문에 무지의 담마를 운전석에 앉히는 정도로 어리석은 마음입니다. 이 마음은 장난을 좋아하고 가만히 있지 못합니다.
'Being still' means not admitting sense-objects into the mind but being content to let them founder like waves on the shore. For instance, when the eye sees a form, if there is merely seeing, then that is called not admitting visible forms into the mind and similarly with the other sense organs. If you can't do that and vedana, feeling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rise, let it stop just there, don't allow desires based on those feelings to develop. If it stops there it's still possible to be still. But if we act to extend a feeling of satisfaction then in a moment the 'I' and 'mine' emerge. Or if we act in response to a feeling of dissatisfaction then there will be Dukkha. It is called not being still.
'고요히 있음'은 감각대상을 마음에 두지 않고 해안의 파도처럼 쓰러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눈이 형태를 볼 때 단지 봄만이 있다면 시각대상을 마음 안으로 들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다른 감각기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할 수 없어서 웨다나(vedana), 즉 만족과 불만족의 느낌이 일어난다면 바로 여기서 멈추십시오. 느낌을 기초로 하는 갈애(갈망)가 전개되지 않게 하십시오. 여기서 멈춘다면 아직 고요하게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만족의 느낌을 확장하여 행동한다면 곧 '나'와 '내 것'이 나타납니다. 또는 불만족의 느낌에 반응하여 행동한다면 둑카(고)가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고요하게 있지 않다고 합니다.
So the 'being still' of Hui Neng refers to that very practice that the Buddha taught, of seeing that nothing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as being 'I' or 'mine'. If there is nothing whatsoever to be clung to, what possible purpose can there be in busying and confusing ourselves, rushing about after the things that disturb, rather than just being still?
그러므로 혜능의 '고요하게 있음'은 어떤 것도 '나' 또는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아는, 붓다 가르침의 그 핵심 실천을 지칭합니다. 집착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면 우리가 단지 고요히 있지 않고 교란하는 것을 쫓아 가면서 바쁘고 혼란스러움에 있어야 할 무슨 목적이 가능하겠습니까?
We must look for this emptiness that is truly worthy of our aspiration. To say that there is a kind of emptiness that gives rise to cessation, purity, clarity, and peace is still to be speaking in the realm of convention. Truly speaking, there is nothing other than emptiness, there is only this one thing. It is not the cause of anything else. It is Buddha, it is Dhamma, it is Sangha, it is the Way. It is purity, clarity, and peace. All these things are present in emptiness. If we still say that emptiness is the cause of this or that it shows that we haven't yet reached the supreme emptiness, because if we have reached the supreme then we don't have to do anything. By being still the Buddha, Dhamma, Sangha, purity, clarity, peace, Nibbana - everything will be present in that very immutable state.
우리가 열망할 진정한 가치가 있는 이 빔(공)을 찾아야 합니다. 이것을 말하면, 그침과 청정함과 투명함을 생기게 하는 빔(공)의 종류가 있으며, 평화도 이 빔의 영역에서 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진실로 말해서, 빔(공)외에 (가치가 있는) 다른 것은 없습니다. 단 이 한 가지만 (가치가) 있습니다. 이 빔은 다른 어떤 것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 빔은 붓다이고, 담마이고, 상가이고, 도이며, 청정함이며, 투명함이며, 평화입니다. 이 모든 것이 빔(공)에 나타납니다. 우리가 아직 이 빔은 이것이나 저것의 원인이라고 말한다면, 아직 최상의(궁극의) 빔(공)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최상에 도달했다면 어떤 것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고요하게 있으면, 붓다, 담마, 상가, 도, 청정함, 투명함, 평화, 닙바나 등 모든 것이 바로 이 불변의 상태에 나타날 것입니다.
An extremely simple method that Huang Po used to teach dull people how to recognize emptiness was to give them a riddle, 'Look at the mind of a child before its conception'. I would like to present all of you with this riddle. Look at the child's mind. Before it is conceived in the womb where is it? If you can find it you will easily be able to find emptiness, just as if taking hold of that which is already there at your forehead.
후앙포가 우둔한 사람들에게 빔(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가르치기 위해 사용한 극히 간단한 방법은 그들에게 '착상 전의 어린아이의 마음을 보라'는 수수께끼를 주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 모두에게 이 수수께끼를 주고 싶습니다. 어린아이의 마음을 보십시오. 자궁에 착상하기 전에 마음은 어디에 있습니까? 이 마음을 찾을 수 있다면 이마에 붙어 있는 것을 잡을 수 있는 것처럼 빔(공)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To sum up - this one subject of emptiness covers all of the Buddhist Teachings, for the Buddha breathed with emptiness. Emptiness is the theoretical knowledge, it is the practice and it is the fruit of the practice. If one studies one must study emptiness; if one practises it must be for the fruit of emptiness, and if one receives the fruit it must be emptiness, so that finally one attains that thing that is supremely desirable. There is nothing beyond emptiness. When it is realized, all problems end. It is not above, it is not below, it is not anywhere-I don't know what to say about it, better to shut up! Suffice it to say that emptiness is the supreme happiness.
요약하면, 이 빔이라는 한 주제는 붓다 가르침의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붓다는 빔(공)과 함께 숨쉬었기 때문입니다. 빔(공)은 이론 지식이고, 실천이며, 실천의 결실입니다. 누군가 공부한다면 빔을 공부해야 합니다. 실천한다면 빔의 결실을 위해 실천해야 합니다. 그리고 결실를 받는다면 그것은 바로 빔입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그 사람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얻습니다. 빔(공)을 초월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빔을 깨달았을 때 모든 것이 끝납니다. 빔은 위도 아니고 밑도 아니고 어떤 곳도 아닙니다. 빔에 대해 무슨 말을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입을 닫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빔은 최상의 행복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But you must be very careful regarding the phrases 'Nibbana is the supreme happiness' and 'Nibbana is the ultimate emptiness'. You must grasp their meaning correctly, don't take the word happiness to mean the happiness that you've formerly enjoyed, like the sect before the Buddha's time who took the height of sensual pleasure as Nibbana or others who took the happiness of refined states of meditation as supreme. The Buddha wanted us to completely withdraw from those things, to use nekkhamadhatu as the means to withdraw from sensuality, to use arupadhatu as the means to withdraw from absorptions of the fine-material plane, and finally to use nirodhadhatu as the means to withdraw from the conditioned, so that all the manifold types of confusion converge in emptiness.
그러나 여러분은 '닙바나는 최상의 행복이다'와 '닙바나는 궁극의 빔이다'라는 구절에 대해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그 의미를 바르게 파악해야 합니다. 행복이라는 말을 여러분이 이전에 즐겼던 행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지 말기 바랍니다. 감각적 즐거움의 최고 상태를 닙바나로 여기거나, 미세한 명상상태의 행복을 최상으로 여기는, 붓다 시대 이전의 다른 교도들이나 수행자 같이 알지 말기 바랍니다. 붓다께서는 우리가 이런 것에서 완전히 떠나기를 바라셨습니다. 감각세계에서 떠나는 수단으로 넥카마다뚜(nekkhamadhatu)을 이용하고, 색계 선정에 빠지는 것에서 떠나는 수단으로 아루빠다뚜(arupadhatu)를 이용하고, 마지막으로 조건지어진 것에서 떠나는 수단으로 니로다다뚜(nirodhadhatu)를 이용하여, 모든 형태의 혼란이 빔(공)에 수렴하기를 바라셨습니다.
Whether or not you understand and whether or not you practise must be your own affair: it is my duty only to explain the way things are. The knowing, the understanding, and the practice are the duty of all of you.
I will end the talk at this point.
여러분이 이해하든지 이해하지 못하든지, 실천하든지 실천하지 않든지 여러분 각자의 일임에 틀림없습니다. 길을 설명하는 것만이 법문하는 자의 의무입니다. 알고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여러분 각자의 의무입니다. 여기서 법문을 끝내겠습니다.
-법문 2 끝-
그대의 미소만큼 소중한 건 없어요... 레너드 니모이
비 갠 후의 햇빛은
기분 좋은 것
열기 뒤에 불어오는
산들바람은
반가운 것
눈이 올 때의 모닥불은
따뜻한 것
그렇지만
우리가 헤어진 후부터
지금까지 줄곧 나를 기쁘게 맞이하는
그대의 미소만큼 소중한 것은
아무것도 없어요
입과 귀, 그리고 눈
스승의 질문과 제자의 대답이다.
사람의 입은 하나인데 귀는 둘이다.
왜 그렇겠는가?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많이, 잘 들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람의 눈은 흰 부분과 검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왜 검은 부분으로 세상을 보는 것일까?
그것은 세상을 어두운 면에서 보는 편이 좋기 때문입니다.
밝은 면에서 보면 지나치게 자신에 대해서
낙관적인 사고방식을 갖게 되기 때문에
그로 인해 교만해지지 않도록 경계하기 위함입니다.
- 탈무드에서
Romance - Yuhki Kuramoto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처님의 십대제자.........../무불 (0) | 2014.04.02 |
---|---|
염염보리심-인과를 믿고, 마음을 믿어라. (0) | 2014.04.02 |
12 인연 ( 十二因緣 ) / 서경보 스님 (0) | 2014.03.26 |
오분향/사랑하고 용서하며./무불 (0) | 2014.03.26 |
붓다는 왜 술을 먹지 말라고 했을까?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