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와 재탄생 (1)

2014. 5. 14. 07:5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무아와 재탄생 (1)

 

Anatta and Rebirth

무아와 재탄생

by Buddhadsa Bhikkhu

붓다다사 빅쿠 법문

 

A talk originally addressed to students of  Puget Sound University in Seattle, Washington. The explanations of rebirth they had heard seemed to contradict the principle of anatta. Tan Ajarn was asked to clarify the seeming contradiction.

이 법문은 원래 워싱톤 주의 시애틀에 있는 푸겟 사운드 대학(Puget Sound University)의 학생들에게 강연한 내용입니다. 학생들이 들은 재탄생(윤회)에 대한 설명은 무아(자아 아님)의 원리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탄 아잔(붓다다사)께서는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1.

Today, we will speak about anatta and rebirth. We will discuss anatta first, and then discuss rebirth. If we understand anatta properly,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rebirth correctly. [1]

오늘은 무아(자아 아님)와 재탄생(윤회)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무아를 먼저 거론하고 그리고 재탄생을 거론하겠습니다. 무아(자아 아님)를 정확히 이해하면, 재탄생(윤회)을 바르게 이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The feeling that one is a self occurs naturally and instinctually. Hence, people say "self". Then, they develop theories and promulgate teachings of a higher self one more special, or more profound, than the usual daily self. Through this process of teaching and educating, the belief in self develops into the highest self: an eternal soul. This kind of belief and teaching was, and remains, quite common. When the Buddha appeared, however, he taught the opposite: that all these things are anatta (not-self). [2]

개체가 자아라는 느낌은 자연스럽게 본능적으로 일어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아'를 말하고, 보통 일상적인 자아보다 더 특별하거나 더 심오한 높은 차원의 자아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고 널리 퍼뜨립니다. 이 가르침과 교육의 과정을 통해 자아에 대한 믿음은 영혼이라는 가장 높은 자아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믿음과 가르침은 아주 일반적인 것이 되어 전해 내려 왔습니다. 그러나 붓다께서 출현하셔서 이 모든 것들은 '무아(자아 아님)'라는 반대되는 가르침을 펴셨습니다.

 

The primitives who long ago lived in forests and caves believed there is atta. They also believed inspirits, powers, and ghosts, which were taken to be selves, also. This common belief occurs easily in the humanmind. Thus, there happened the teaching of atta, then there appeared the ceremonies, rituals, and rites in relation to all those spirits, angels, demons, and things. As civilization develops further, the beliefs about self and spirits also develop, as do the corresponding ceremonies and rituals. The highest, most fully developed version of such beliefs occurred in India during the era of the Upanishads, which taught atta as it is believed today: that there is a self  a fundamental basis or reality  in living things, which is successively reincarnated, which is slowly purified through this long succession of births until it finishes in eternity. This is the most highly developed theory of the primitive belief in self. This is how the highest atta must be taught. [3]

먼 옛날 숲과 동굴에서 살았던 원시인들은 자아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정령, 초월적인 힘, 유령이 있다고 믿었으며 그것들도 자아라고 여겼습니다. 이 일반적 믿음은 사람의 마음에 쉽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자아에 대한 가르침이 생겨났고, 천사, 악마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심령과 관련한 의례, (제사)의식이 생겨났습니다. 문명이 더욱 발달함에 따라 자아와 심령에 대한 믿음도 개발되어 그에 맞는 의례, (제사)의식을 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믿음이 최고로 가장 완전하다고 할 정도로 개발된 형태가 우파니샤드 시대 동안 인도에서 일어났습니다. 우파니샤드 시대에는 자아를 오늘날 믿고 있는 형태로 가르쳤습니다. 즉 모든 생명체 내에는 근원적 기초, 실체로서 자아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 자아는 오랜 기간 동안 천천히 정화되어 불변의 상태에 이르러 끝날 때까지 다른 몸으로 연달아 환생하면서 윤회한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은 자아에 대한 원시인들의 믿음이 가장 높은 단계로 개발된 이론입니다. 이것이 가장 높은 형태로 자아가 가르쳐진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This teaching of self and soul spread from India into other cultures, as far as it could go. In most cultures, there was already a receptivity for this idea, even though their teachings weren't previously connected to India. So they welcomed it. Other cultures accepted this belief and it spread around the world. Even in Thailand, the Upanishadic teaching on the existence of self was taught to the fullest extent before Buddhism arrived. [4]

자아와 영혼에 대한 이 가르침은 인도에서 다른 문화권으로 퍼질 수 있는 한 멀리 전파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사전에 인도와 교류된 적이 없었지만 인도의 이 가르침이 이미 받아들여진 상태였습니다. 따라서 이 가르침을 환영하였습니다. 나머지 문화권에서도 이 믿음이 받아들여져 전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태국에서도 자아의 존재에 대한 우파니샤드적인 가르침이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 최대한도로 가르쳐졌습니다.

 

The teaching of the existence of atta progressed to its highest form in India during the Upanishad era. The Vedanta, in particular, taught the highest self. When there is the highest atta, the eternal self, it's called "samma." This is a different meaning of samma that we're accustomed to in Buddhism. It has the same meaning as "paramatman." This then, in India at that time, was considered the highest, newest, most excellent teaching. Such was the situation as the Buddha was about to appear. [5]

자아가 존재한다는 가르침은 우파니샤드 시대 중에 인도에서 최고의 형태로 진전되었습니다. 특히 베단타는 '지고의 자아'를 가르쳤습니다. 지고의 자아, 즉 '영생 자아'가 있을 때 '삼마(samma)'라고 합니다. 이 '삼마'는 붓다 가르침에서 말하는 삼마(samma)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베단타에서 말하는 '삼마'는 '파라마트맘(paramatmam)'을 의미합니다. 이 '파라마트맘'은 그 당시 인도에서 최고의, 최신의, 가장 탁월한 가르침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붓다께서 출현하실 즈음에 인도는 이런 상황이었습니다.

 

When the Buddha appeared, he thought in a new way. He saw that this teaching of atta and self was not true. First, the thing they were talking about did not actually exist. Second, the belief in atta, the teaching that atta exists, is the cause of dukkha. He pointed out that all dukkha is based in what we call the "self." The Buddha taught anatta for these two reasons: atta is wrong and it is the cause of dukkha. Thus, there appeared the teaching of anatta. [6]

그 시기에 출현하신 붓다께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셨습니다. 붓다께서는 이 자아(atta)의 가르침은 진실이 아니라고 보셨습니다. 첫째로, 그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자아)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둘째로, 자아가 존재한다고 믿는 것은 둑카(고)의 원인임을 아셨습니다. 붓다께서는 모든 둑카(고)는 자아(self)라고 부르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고 지적하셨습니다. 붓다께서는 이 두 가지 이유 때문에 무아(자아 아님)를 가르치셨습니다. 이렇게 해서 무아(자아 아님)의 가르침이 나타났습니다.  

 

We also should know that non-Buddhist groups had already begun to speak of anatta to some extent, but theirs was anatta in minor things, only in little things. They still held to a "true self" and distinguished some things as anatta, but only minor things, such as, the body, wealth, possessions, food, and different stimulating and deluding things [stimulants& delusions]. They also taught anatta, but held to a "self" as existing in people. This self will change, be reborn, getting better and better, until reaching the ultimate as "eternal atta." [7]

비불교 그룹에서도 이미 어느 정도로 무아를 언급하고 있지만 그들은 미소하고 하찮은 사물만 무아라고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들은 여전히 '진아(true self)'를 고수하였으며, 몸, 부, 재산, 음식, 기타 자극하고 기만하는 것(자극물과 기만물) 같은 하찮은 사물들만 무아로 분리하여 보았습니다. 그들은 무아를 가르쳤지만 사람에게는 자아가 존재한다고 믿었으며, 이 자아는 궁극적으로 '불변의 자아'에 도달할 때까지 변화하고 재탄생하면서 점점 높은 수준으로 정화된다고 믿었습니다. 

 

 

 

 

♬ 친구야-김현준

 

이 모진 세상 지친 발걸음에 주저앉고 싶을때

보고싶다 나의 친구야~
고단한 하루 만만치가 않은삶이 너무 힘들때

그립구나 나의 친구야

까만 저 하늘에 별을 나눠가진 너와 난 하나라고~
술 한잔에 두손 움켜쥐며 뜨거웠던~
언제든 어디서든 당당할수 있도록 서로 힘이 되자고~

소리 높여 밤을 깨울 만큼함께 웃던~

긴긴 세월속에 점점 변해간다 느낄때

기억하자 우리 약속들~
먼곳에도 한걸음에 와줄 너와 내가 있다는걸~
잊지 말자 나의 친구야
~ ~ ~
까만 저 하늘에 별을 나눠가진 너와 난 하나라고~

술 한잔에 두손 움켜쥐며 뜨거웠던~
언제든 어디서든 당당할수 있도록 서로 힘이 되자고~

소리 높여 밤을 깨울 만큼 함께 웃던~

긴긴 세월속에 점점 변해간다 느낄때 기억하자 우리 약속들~

먼곳에도 한걸음에 와줄 너와 내가 있다는걸~
잊지 말자 나의 친구야 변치말자 나의 친구야
사랑한다~나의 친구야
라라라라 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라라
라라라라 라~라라라라라라라라
라라 라라라라 라라라~
사랑한다~나의 친~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