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와 재탄생(3)

2014. 6. 4. 08:58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무아와 재탄생(3)

 

 

 

3.

The feeling that there is self is a firm foundation in everyone. Further, every language has "self" buried within it. All languages are full of words for self, soul, or ego. Firmly fixed in our words and experiences, the self is very hard to give up. Although Buddhism teaches atta, it must do so with ordinary atta words. Sometimes the word atta is borrowed for use in Buddhism. We use the word atta  in Buddhism, but it refers to atta which is not atta, that is, att which is anatta. Even in Buddhism we must talk about atta a lot. [12]

자아가 있다는 느낌은 모든 이들 안에 있는 견고한 반석입니다. 나아가 모든 언어에는 '자아'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모든 언어에는 자아, 영혼, 또는 에고를 (표현하기)위한 단어로 가득합니다. 단어와 경험으로 견고히 고정된 이 자아를 단념(포기)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비록 불교에서 자아(atta, 앗따)를 가르치지만, 일상적인 자아(atta, 앗따)란 말로서 가르칠 수 밖에 없습니다. 즉 때때로 불교에서는 자아(atta)란 말을 빌려 사용합니다. 불교에서 '자아(atta)'란 말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자아(atta)가 아닌 자아(atta), 즉 무아(anatta)인 자아(atta)를 지칭합니다. 불교에서조차 자아(atta)를 많이 언급해야만 합니다.

 

Buddhists out of necessity must use the word "atta," but with another meaning: the atta which is not-self, the self which is anatta. For instance," self is the refuge of self; atta is the refuge of atta," which means that the atta which is not atta must help itself to realize the truth of not-atta, then problems end and dukkha quenches. Thus, in Buddhism the word atta is used, but with a new meaning: the self which is not-self, the atta which is anatta. Understand carefully and well this word "atta" which is "not-atta." [13]

불교인은 필요에 의해 자아(atta)란 말을 사용해야 하지만, 그 의미는 '자아 아닌(not-self) 자아(atta)', 또는 '무아(anatta)인 자아(self)'입니다. 예를 들면 '자아(self)는 자아(self)의 귀의처, 앗따(atta)는 앗따(atta)의 귀의처'란 구절이 있습니다. 이것은 '자아 아닌 자아는 무아(not-atta)의 진리를 깨달아 문제를 끝내고 둑카(고)를 식히도록 자기를 도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자아(atta)란 말이 사용되지만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자아 아닌(not-self) 자아(self), 또는 무아(anatta)인 자아(atta)입니다. 이 '자아 아닌 자아'란 말을 주의깊게 잘 이해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