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와 재탄생 (4)

2014. 6. 25. 17:16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무아와 재탄생 (4)

 

 

4.

There is also a third type of viewpoint, one which denies the existence of anything at all. The atta which is atta is not there. The atta which is anatta is not there. There is nothing having to do with atta and anatta. People who think this way are called "nihilists." They hold that nothing exists at all. [14]

또한 어떠한 존재도 모두 부정하는 세 번째 형태의 관점이 있습니다. 이 관점에서는 자아(atta)인 자아(atta)도 없고, 무아(anatta)인 자아(atta)도 없습니다. 자아(atta)와 무아(anatta)에 관련된 어떤 것도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허무주의자

(니힐리스트)라고 합니다. 허무주의자는 어떠한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고수하는 자입니다.

 

So in this matter, we can distinguish three viewpoints. You ought to know all three, understanding is then easier. The first holds that there is an atta that is really a self in the fullest meaning of the word. The second says there is an atta is anatta, which can't be taken as the first kind of self, but this thing does exist. This is the "atta which is non-atta" group. The third has nothing, says there is nothing at all. Please consider this matter until seeing clearly the three teachings on this subject. one group teaches existence, that atta exists, atta according to that meaning, one-hundred percent. Another group  Buddhism  teaches that there is atta  that is not an atta, which is anatta. The third group teaches there isn't anything at all, teaches non-existence. [15]

 그러므로 이 문제(자아의 존재 문제)를 세 가지 관점으로 구별해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세 가지 관점을 모두 아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첫 번째 관점은 '자아'란 단어의 완전한 의미에서 실제로 자아가 있다고 고수합니다. 두 번째 관점은 첫 번째 형태의 '자아'로 여기지는 않지만 이 사물은 존재한다고 하는,

무아(anatta)인 자아(atta)가 있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자아 아닌 자아' 그룹입니다.

 

 세 번째 관점은 전혀 아무 것도 없다고 하는 '무존재'를 고수하는 그룹입니다.

이 주제에 대한 세 가지 가르침을 분명히 알 수 있을 때까지 이 문제를 숙고하기

바랍니다. 한 그룹은 자아의 본래 의미에 따라 완전히 자아가 존재한다는 존재를

가르칩니다. 다른 그룹은 불교로서, 자아가 아닌, 무아(anatta)인 자아(atta)가

있다고 하는 가르침입니다. 세 번째 그룹은 전혀 아무 것도 없다고 하는

'무존재'를 가르칩니다.

 

If students would like to remember the specific technical terms, there are three. The first term is "atta": there is atta which is atta. The second term is anatta: there is atta that is not-self, that is anatta. The third term is niratta: without any kind of atta at all, nothingness. one extreme of atta is that it exists fully. The other extreme is no atta at all. anatta, the self which is not self, is neither extreme, and is correct. There are three words: atta, anatta, and niratta. They're totally differe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se three words, then you'll understand everything. [16]

특별한 전문 용어를 기억하고 싶다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용어는

'자아인 자아'가 있다는 '앗따(atta)'입니다. 두 번째 용어는 '자아 아닌 자아',

즉 '무아'라는 '아낫따(anatta)'입니다.

 

세 번째 용어는 어떠한 종류의 자아도 전혀 없다는 '무존재'라는 '니랏따(niratta)'

입니다. 자아의 한 극단은 그것이 완전히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자아의

다른 극단은 전혀 자아가 없다는 것입니다. 자아 아닌 자아,

즉 무아(anatta)는 어느 쪽 극단도 아닌 올바른 관점입니다.

 

앗따(atta), 아낫따(anatta), 및 니랏따(niratta)라는 세 개의 용어가 있습니다.

 이것들은 서로 완전히 다릅니다. 이 세 용어의 의미를 이해하십시오.

그러면 모든 것을 이해할 것입니다.

 

The first group is the positive extreme. They believe there is atta in the full meaning of atta .This is called sassataditthi, the belief in full existence or being. The second sort is the middle. There is the thing which you call "atta" but it isn't really atta, it's anatta. This is the middle or correct view. It's called sammaditthi. Then the negative extreme holds that there is no existence of any kind. There's no atta in any sense. This is called natthikaditthi. sassataditthi is full, unchanging existence; natthikaditthi isn't anything at all. In the middle is correct Buddhism. There exists the thing which you all call" atta." Something is there to be called "atta" or "anatta." That is, there is everything, but we don't call it or its constituent parts "atta." They are anatta. Right here is sammditthi. This extreme is sassata, which is wrong. That extreme is natthika, which is wrong. In the middle are only the things which shouldn't be called atta, which are anatta. This is the point we must especially study and learn. [17]

첫 번째 그룹은 긍정의 극단입니다. 이 그룹에서는 완전한 의미를 지닌 자아가

있다고 믿습니다. 이것은 존재를 완전히 믿는 상견(삿사따딧티, sassataditthi)

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부류는 중간이며, 실제로 자아가 아니지만

자아라고 하는 사물이 있습니다. 이것은 무아(anatta)입니다.

 

이것은 중간이며 올바른 견해입니다. 이것을 정견(삼마딧티, sammaditthi)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부정의 극단은 어떤 종류의 존재도 없다고 하는 견해를 고수합니다. 어떤 의미에서도 자아가 없다고 합니다. 이것을 단견(낫티까딧티, natthikaditthi)

이라고 합니다.

 

상견은 완전하고 변하지 않는 존재가 있다는 견해이고,

단견은 전혀 어떤 것도 없다는 견해입니다. 그 중간에 올바른 불교의 견해(정견)가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가 자아(atta)라고 부르는 사물이 존재합니다.

자아(atta) 또는 무아(anatta)라고 부르는 사물이 있습니다. 즉 모든 사물이 있지만,

사물 또는 사물의 구성요소는 자아가 아닙니다. 이들은 무아(anatta)입니다.

바로 여기에 정견(삼마딧티, sammaditthi)이 있습니다.

 

한쪽에 삿사따(sassath, 상주)라는 그릇된 극단이 있고 다른 쪽에 낫티까(natthika,

단멸)라는 그릇된 극단이 있습니다. 바로 그 중간에 자아(atta)라고 해서는 안되는

'무아(anatta)'라는 사물이 있습니다. 특히 공부하고 배워야 할 점은 이것입니다.

 

Here, I'd like to go ahead to tell you that this nothingness or nihilism (natthikaditthi) is another meaning. Don't confuse the nihilistic teaching with the Buddha's teaching of sunnata (voidness). The correct word, voidness, still has existence, but nothing existing as a self. Everything is void of self.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nothingness and sunnata which holds that things exist void of selfhood. To mix up and confuse natthikaditthi with sunnata is to misunderstand Buddhism even more. Please distinguish the one group of views as natthikaditthi and keep it separate. [18]

여기서, 이 '무' 또는 '니힐리즘'(낫티까딧티, 허무주의, 단견)은 빔(공)과는 다른

의미라는 것을 먼저 말하고 싶습니다. 붓다의 순냐따(빔, 공)에 대한 가르침을

니힐리즘의 가르침과 혼동하지 말기 바랍니다.

 

올바른 용어로 빔(공)은 사물들이 존재하지만 자아로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것은 자아가 공합니다.

아무 것도 없다는 '무(nothingness)'와 사물은 자아없이 존재한다는

'순냐따(sunnata, 공)'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순냐따(공)를 낫티까딧티(무, 단견)와 섞어 혼동하면 붓다의 가르침을 한층 더

오해하는 것입니다. 낫티까딧티(단견)라는 견해를 고수하는 그룹을 식별하고

분리하여 생각하기 바랍니다.

 

To remember easily: nothingness, no thing at all, is called " natthikaditthi "; existence or being without atta is called "sunnata." With natthikaditthi there is nothing. Sunnata exists but is void of self. natthikaditthi and sunnata are not the same thing. You must understand this properly. [19]

기억하기 쉽게 하겠습니다. 전혀 아무 것도 없다는 무존재는 '낫티까딧티(단견)'

라고 합니다. 자아가 없이 존재하는 것은 순냐따(공)라고 합니다.

낫티까딧티(단견, 무)에 의하면 아무 것도 없는 것이고, 순냐따(공)에 의하면 

존재하지만 자아가 공한 것입니다. 낫티까딧티(단견)와 순냐따(공)는 같은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이것을 바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Once again, don't confuse natthikaditthi with anatta or sunnata. Don't take nihilism to be anatta. These are totally different matters. anatta, sunnata, and tathata are, they exist, but their beings are not-self. They are anatta. [20]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낫티까딧티(단견)를 아낫따(무아) 또는 순냐따(공)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니힐리즘(허무주의)을 아낫따(무아)로 여기지 마십시오.

 

이것들은 서로 완전히 다릅니다. 아낫따(무아),

순냐따(공), 따타따(그러함)는 존재하지만 그 존재는 '자아 아님(not-self)',

즉 아낫따(무아)입니다. 

 


 

 

 

사 랑 법....    강은교

 

                                        

떠나고 싶은자

떠나게 하고

잠들고 싶은 자

잠들게 하고

그리고도 남은 시간은

침묵할것.

 

또는 꽃에 대하여

또는 하늘에 대하여

또는 무덤에 대하여

 

서둘지 말 것

침묵할 것

 

그대 살 속의

오래전에 굳은 날개와

흐르지 않는 강물과

누워 있는 누워 있는 구름,

결코 잠 깨지 않는 별을

쉽게 꿈꾸지 말고

쉽게 흐르지 말고

쉽게 꽃피지말고

그러므로

 

실눈으로 볼 것

떠나고 싶은 자

홀로 떠나는 모습을

잠들고 싶은 자

홀로 잠드는 모습을

 

가장 큰 하늘은 언제나

그대 등뒤에 있다.

 

 

 

 

  

☆ 새벽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