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와 재탄생 (5)

2014. 7. 9. 16:59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무아와 재탄생 (5)

 

 

5. Now, we come to the question of what is anatta. What are the things which are anatta? The first one to mention is that body-mind is anatta. The body is a physical thing that performs its various bodily functions. It can do all the physical functions needed for life, without requiring a self. This mind can do all the duties of mind without requiring atta, self, soul, or atman. If we put a self or soul in the body, that is a misunderstanding, thinking there is some atta. Actually it's just the body that functions in all the appropriate ways of the body. It is sensitive to things in line with the functions of a body with a nervous system. The thing we call "mind" or "heart" can do all of the duties natural for a "mind" or "heart." The body and mind function perfectly well by themselves. There is no need for a third thing  this thing people call "self"  to take possession of or control the mind. The heart exists in its own way. Its nature is to feel. It can do its duties within itself, according to its own conditions and causes. Hence the body and mind are not selves, they are anatta. [21]

 

이제 '무엇이 아낫따(무아)인가'라는 물음을 보겠습니다. 아낫따(무아)인 사물은 무엇일까요? 첫째 언급해야 할 것으로, 몸과 마음이 아낫따(무아)입니다. 몸은 물질적 사물이며 그의 다양한 육체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몸은 자아 없이도 생명유지에 필요한 모든 육체 작용을 행할 수 있습니다. 이 마음은 앗따(atta), 자아, 영혼, 또는 아트만(atman)이 없이도 마음의 모든 본분을 다 할 수 있습니다. 몸 안에 자아 또는 영혼을 설정하여 어떤 앗따(자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해입니다. 실제로 몸에서 모든 적절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은 바로 몸입니다.

 

신경조직을 가진 육체의 기능에 따라 사물을 느낍니다. 마음 또는 가슴이라고 하는 사물도 마음 또는 가슴에 자연스러운 모든 의무를 행할 수 있습니다. 몸과 마음은 저절로 완벽하게 잘 작용합니다. 사람들이 자아라고 부르는 이 사물, 즉 (몸과 마음을) 소유하거나 마음을 조절하기 위한 제3의 사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마음은 그 자체의 방식으로 존재합니다. 그 성품은 느끼는 것(감각하고 지각하는 것)입니다. 마음은 그 자체의 조건과 원인에 따라 자체내에서 의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은 자아가 아니라 무아(anatta)입니다. 

 

We may divide life in two  body and mind  each one is anatta. If we divide into five  the five khandhas (aggregates)  each one of them is anatta. Rupa, this body that we've discussed is anatta. Then, the mind or heart can be divided into four. There is vedana (feeling), which is anatta. It itself feel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vedana, with the value of vedana. Sanna (recognition, perception) perceives in itself, by itself. That which is sankhara can think, can conceive within itself. Vinnana (consciousness) is consciousness by itself. These four are purely mental matters, yet they are still anatta. [22]

생명은 둘, 즉 몸과 마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은 무아입니다. 생명을 다섯,

즉 오온(다섯 무더기)으로 나눈다 해도 각각은 무아입니다. 이미 논의했던 이 몸인

루빠(rupa)는 무아입니다. 그리고 마음은 넷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웨다나(느낌)가 있는데, 무아입니다. 웨다나(느낌)는 그 자체의 가치로 웨다나의

의미에 따라 스스로 느낍니다. 샨나(인식)는 저절로 그 자체로 인식합니다.

 

상카라는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생각합니다. 윈냐나(의식)은 저절로 의식합니다. 이 네가지는 순수하게 정신적인 것입니다. 하지만 모두 여전히 무아입니다.

 

Now we come to the word "life." You can take two aspects  body and mind  as life. You can take all five aspects  the five khandhas  as life. Or, you can name it all in one short word: "life." Still, life is anatta, just as body and mind are anatta, and the five khandhas are anatta. Thus, please look carefully. Know the real thing called "life"  it's anatta. [23]

 그럼 생명이란 말을 봅시다. 여러분은 몸과 마음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생명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온이라는 다섯 가지 측면을 생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전체를 생명이라는 짧은 하나의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몸과 마음이 무아이고 오온이 무아인 것과 꼭 같이 (이것들이 모인) '생명'도 무아입니다. 그러므로 주의깊게 보도록 하십시오. 생명이라는 실제 사물이

무아임을 알도록 하십시오.

 

Now we will observe the important thing called "citta," "mind," or whatever you wish in other languages. Regarding this citta, we can observe that everything's significance comes down to the mind. Its meaning and value is in the mind. All things have to be known through the mind. Because of the centrality of mind, of consciousness, there are those who say this mind is atta, is self. Since it can do things and feel things, and because of its many other functions, citta is taken to be atta. But in Buddhism, "atta" is not-atta. The mind is capable of all this awareness, of all these functions, that is just the way the mind is. Although it can do so many different things, all those functions are just like that, they're just what they are. There is no self to be found in any of it, so this thing called mind is also anatta (not-self).[24]

 이제 찌따(citta)라 부르는 중요한 사물을 관찰해 보겠습니다. 이 찌따는 마음

또는 다른 언어로 원하는 대로 부를 수 있습니다. 이 찌따를 보면,

모든 것의 의미가 이것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의 의미와 가치는 이 찌따(마음)에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마음을 통해

알려질 수 있습니다. 찌따, 마음 또는 의식이 중심에 있으므로

이것을 자아(앗따)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사물(일)을 생기게 하고

 느낄 수 있고 많은 다른 작용을 하므로 자아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불교에서 말하는 자아(atta)는 '자아 아님(not-atta)'입니다. 찌따 또는 마음은 그 자체 방식대로 이 모든 알아차림을 할 수 있고 이 모든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다른 사물(일)을 생기게 하지만 이 모든 작용은 바로 그와 같습니다.

 

모든 다른 사물은 존재하는 바로 그대로 입니다. 어떤 사물에서도 자아는 발견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찌따 또는 마음이라고 하는 이 사물도 '무아(자아 아님)'입니다.

 

In short, you may regard everything that we have mentioned, whether mental or physical, whichever khandha they may be, as having within them a virtue or quality that allows them to do whatever it is that they do. They all have a mechanism within themselves. Whether material, physical, mental, or what have you on whatever level  they have mechanisms within themselves. They can perform their function within themselves, so they don't need an atta to come in anywhere. Allow us to give a tangible example of how material things can feel within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nervous systems. A certain kind of grass (In Thai, yaa maiyarap) which you have probably seen (it's all around here), opens with its leaflets fully spread like open fingers. Touch it with your hand and the leaflets close up, folding together like the pages of a book. This grass can close up on itself. Although it's thoroughly material, it still has a mechanism which can feel or experience. It closes up just as if it can feel. Those who believe in atta believe that there's an atta, atman, or self in this grass. Buddhism, however, holds that there's no atta in it, that it's not-atta. It has a virtue in itself that it can do such a thing. In this bodily system there's a nervous system through which it can do things just as if it were a self, soul, or whatever. So it is that on every level beginning with material life has body, mind, and feelings, nothing needs to be atta. If atta's existence is believed in  any kind of atta in anything  that isn't Buddhism. It becomes animism instantly. [26]

 

 요약하면, 앞에서 언급한 모든 것,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어떠한 무더기가

되었든 간에 그것이 무엇을 하든지 그 안에 그렇게 하게하는 미덕 또는

성품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은 그 자체내에 매커니즘(작용 방식)이

있습니다. 물질적이든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또는 어떤 수준으로

 

무엇을 가지든지 모두 그 자체내에 매커니즘(작용 방식)이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자체내에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어느 곳에도 자아가 들어와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물질적 사물이 어떻게 자체의 신경구조를 통해

 

그 자체내에서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분명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여러분도 아마 보았을 어떤 풀(타이에서 '야 매이야랍'이라고 하는 풀)은

손가락을 편 것처럼 잎사귀가 완전히 펴진 상태로 펼쳐져 있습니다.

 

이 풀에 손을 대면 잎사귀가 오그라들어 책 페이지처럼 접힙니다. 이 풀은

그 자체로 닫힐 수 있습니다. 이 풀은 비록 완전히 물질이지만 여전히

느끼거나 경험할 수 있는 메커니즘(작용 방식 또는 기구)이 있습니다.

 

(손을 대면) 마치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바로 닫습니다. 자아(atta)를 믿는 사람은

이 풀에 아따(atta), 아트만(atman) 또는 자아(self)가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이 풀안에 자아가 없으며 무아(not-atta)라고 합니다.

 

그 자체에 그렇게 할 수 있는 성질이 있다고 할 뿐입니다. 마치 자아, 영혼과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풀의 몸체에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신경구조만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몸과 마음과 느낌을 가진 수준낮는

물질적 삶부터 시작하여 모든 수준의 삶에서 자아가 있을 필요는

무 것도 없습니다.

 

어떤 종류의 자아이든지 어떤 것에 자아의 존재가 있다고 믿는다면

그것은 불교가 아닙니다. 자아의 존재를 믿는 즉시 '애니미즘'이 됩니다.

 

 

 

Blue Eyes Crying In The Rain - Olivia Newton J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