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9. 17. 09:19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화엄경·보현행원품
마음 닦는 법(돈오와 점수)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두 문이 모든 성인의 길이라 말씀하셨는데, 깨달음이
이미 단박 깨달음이었다면 왜 점수를 빌리며, 닦음이 점차 닦는 것이라면 어째
서 돈오라 합니까?
돈과 점의 두 가지 뜻을 거듭 말씀하여 의심을 풀어 주십시오.“
“범부가 미(迷)했을 때는 사대(四大)로 몸을 삼고 망상으로 마음을 삼아, 자성
(自性)이 참 법신(法身)인 줄 모르고,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이리저리 헤매다
가 문득 선지식의 가르침을 만나, 한 생각에 마음의 빛을 돌이켜 자기 본성을 보
게 된다.
이 성품의 바탕에는 본래부터 번뇌가 없는 지혜 성품(無漏智性)이 저절로 갖추
어져 있어 모든 부처님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이것을 돈오라 한다.
그러나 비록 본성이 부처와 다름 없음을 깨달았으나, 끝없이 익혀 온 습기(濕氣)
를 갑자기 없애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의지해 닦아 점점 훈습하여 공이 이루어지고 성인의 모태(母
胎) 기르기를 오래 하면 성(聖)을 이루게 되므로 점수라 한다.
이를테면, 어린애가 처음 태어났을 때에 모든 기관이 갖추어 있음은 어른과 다
름이 없지만, 그 힘이 충실치 못하기 때문에 얼마 동안의 세월을 지낸 뒤에야 비
로소 어른 구실을 하는 것과 같다.“
“그러면 무슨 방편을 써야 한 생각에 문득 자성을 깨닫겠습니까?”
“다만 네 자심(自心)이다.
이 밖에 무슨 방편을 쓰겠는가.
만일 방편을 써 앎을 구한다면, 마치 어떤 사람이 자기 눈을 보지 못하고 눈이
없다면서 다시 보고자 하는 것과 같다.
이미 자기 눈인데 어떻게 다시 보겠는가.
없어지지 않은 줄 알면 곧 눈을 보는 것이다.
다시 또 보고자 하는 마음도 없는데, 어떻게 보지 못한다는 생각이 있겠는가.
자기의 영지(靈知)도 이와 같아서 이미 자기 마음인데 무엇하려 또 앎을 구할 것
인가.
만약 앎을 구하고자 한다면 문득 알지 못할 것이다.
다만 알지 못한 줄 알면 이것이 곧 견성(見性)이다.“
[普照 修心訣]
- 동국역경원 간 ‘불교성전’에서 발췌
그런데 제가 보는 결정적 문제점은, 보현행원을 간과하셨다는 겁니다. 이는 아마 보조스님의 화엄이 화엄경을 직접 읽은데 유래하지 않고, 이통현 장자의 '신화엄론'만 보신 데 기인하지 않나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 즉, 교과서 대신 참고서만 보신 것이지요. 스님같이 밝은 분이 화엄경을 직접 통달하셨다면, 이미 40화엄이 나온 고려 중기에 보현행원을 간과하실 리가 없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그런데 보현행원을 간과(?)하셨기에, 마음의 불성을 보는데 그렇게 어려운 듯..
원효불교가 화엄, 보현행원불교임에도 그 시대엔 40화엄이 없기에 원효스님이 그 부분을 놓치셨는데, 보조스님도 그만 놓치셨으니..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화엄경·보현행원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자의 직업은 보살도 (0) | 2014.09.30 |
---|---|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완성시킨 수행자 (0) | 2014.09.23 |
[휘정스님]집착 없는 것이 해탈 (0) | 2014.09.10 |
[필독]한국불교의 신앙체계-화엄신앙법품을 계승해야-종범스님 (0) | 2014.09.03 |
[수행법문]진정한 삼매, 신통력은 무엇인가?-명나라 3대 고승 감산스님의 삼매 (0) | 2014.08.28 |
따라서 이런 부분이 제가 보기에 보조스님의 뛰어난 점이기도 하지만 한계이기도 합니다.기연을 만나면 바로 깨치지만, 기연을 만나지 못하면 영영 깨칠 기회가 없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