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2. 20. 16:43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보살(菩薩) - 보살10지(菩薩十地), 10진여(十眞如), 10중장(十重障), 3승 공10지(三乘共十地)
보살 10지(菩薩十地) 또는 보살승 10지(菩薩乘十地)
<화엄경(華嚴經) 수행 52위(位)> 수행계위중 보살10지(菩薩十地)
1. 환희지(歡喜地) · 극희지(極喜地) · 열예지(悅豫地) 또는 희지(喜地)
2. 이구지(離垢地) · 무구지(無垢地) 또는 정지(淨地)
3. 발광지(發光地) · 명지(明地) · 유광지(有光地) 또는 흥광지(興光地)
4. 염혜지(焰慧地) · 염지(焰地) · 증요지(增曜地) 또는 휘요지(暉曜地)
5. 난승지(難勝地) 또는 극난승지(極難勝地)
6. 현전지(現前地) · 목견지(目見地) · 목전지(目前地) 또는 현재지(現在地)
7. 원행지(遠行地) · 심원지(深遠地) · 심입지(深入地) · 심행지(深行地) 또는 현묘지(玄妙地)
8. 부동지(不動地)
9. 선혜지(善慧地) · 선근지(善根地) 또는 선재의지(善哉意地)
10. 법운지(法雲地) 또는 법우지(法雨地)
"十地(십지):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52위(位) 중, 제41위로부터 제50위까지. 이 10위는 불지(佛智)를 생성(生成)하고, 능히 주지(住持)하여 움직이지 아니하며, 온갖 중생을 짊어지고 교화 이익케 하는 것이, 마치 대지(大地)가 만물을 싣고 이를 윤익(潤益)함과 같으므로 지(地)라 이름. (1) 환희지(歡喜地). 처음으로 참다운 중도지(中道智)를 내어 불성(佛性)의 이치를 보고, 견혹(見惑)을 끊으며 능히 자리이타(自利利他)하여 진실한 희열(喜悅)에 가득 찬 지위.
(2) 이구지(離垢地). 수혹(修惑)을 끊고 범계(犯戒)의 더러움을 제하여 몸을 깨끗하게 하는 지위. (3) 발광지(發光地). 수혹을 끊어 지혜의 광명이 나타나는 지위.
(4) 염혜지(焰慧地). 수혹을 끊어 지혜가 더욱 치성하는 지위.
(5) 난승지(難勝地). 수혹을 끊고 진지(眞智)ㆍ속지(俗智)를 조화하는 지위.
(6) 현전지(現前智). 수혹을 끊고 최승지(最勝智)를 내어 무위진여(無爲眞如)의 모양이 나타나는 지위.
(7) 원행지(遠行智). 수혹을 끊고 대비심을 일으켜, 2승의 오(悟)를 초월하여 광대무변한 진리 세계에 이르는 지위.
(8) 부동지(不動地). 수혹을 끊고 이미 전진여(全眞如)을 얻었으므로, 다시 동요되지 않는 지위.
(9) 선혜지(善慧地). 수혹을 끊어 부처님의 10력(力)을 얻고, 기류(機類)에 대하여 교화의 가부(可否)를 알아 공교하게 설법하는 지위.
(10) 법운지(法雲地). 수혹을 끊고 끝없는 공덕을 구비하고서 사람에 대하여 이익되는 일을 행하여 대자운(大慈雲)이 되는 지위. 또 이것을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지혜ㆍ방편ㆍ원ㆍ역(力)ㆍ지(智)의 10바라밀에 배대하기도 함. 그런데 보살 수행의 기간인 3대 아승기겁 중, 처음 환희지까지에 1대 아승기겁, 제7지까지의 수행에 제2대 아승기겁을 요한다 함. 이상은 대승 보살의 10지(地)이고, 이 밖에 3승을 공통하여 세운 삼승공십지(三乘共十地)인 간혜지(乾慧地)ㆍ성지(性地)ㆍ팔인지(八人地)ㆍ견지(見地)ㆍ박지(薄地)ㆍ이구지(離垢地)ㆍ아판지(已辦地)ㆍ지불지(支佛地)ㆍ보살지(菩薩地)ㆍ불지(佛地)도 있음."
십진여(十眞如)
10진여(十眞如)는 52위의 보살 수행계위 가운데 10지(十地)와 관련된 유식유가행파의 교의로, 《성유식론》 제9권에 따르면, 본질적 입장에서 보면 진여성(眞如性) 즉 진여의 자성[性]은 무차별(無差別: 차별이 없음, 차별이 불가능함)이므로 나눌 수 없는 것이나, 10지의 각각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뛰어난 덕[勝德]을 기준하여 진여를 분위차별함으로써 다음의 10가지 진여로 가립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우주 만유에 가득한 본체인 진여는 본래 절대이므로 나눌 수 없는 것이나 그 덕상(德相)을 나타내며, 또 이를 증지(證知)하는 과정에 구별이 있으므로 분류하는 일이 있음. 이 10진여는 보살이 10지(地)에서 진여를 분증(分證)하는 승덕(勝德)으로 보아서 가립(假立)한 것.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10지의 각각의 지(地)에 들어갈 때 10중장(十重障) 가운데 해당되는 번뇌[障]가 끊어지며, 수행자는 각각의 지(地)에서 해당되는 진여성(眞如性)을 재차 증오(證悟)하게 된다.
1. 변행진여(遍行眞如) - 초지(初地)에 들어갈 때에 아집(我執)ㆍ법집(法執)을 끊고, 깨닫는 진여.
2. 최승진여(最勝眞如) - 제2지에 들어갈 때 사행장(邪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3. 승류진여(勝流眞如) - 제3지에 들어갈 때 암둔장(暗鈍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4. 무섭수진여(無攝受眞如) - 제4지에 들어갈 때 미세번뇌현행장(微細煩惱現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5. 유무별진여(類無別眞如) - 제5지에 들어갈 때 어하승반열반장(於下乘般涅槃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6. 무염정진여(無染淨眞如) - 제6지에 들어갈 때 추상현행장(麤相現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7. 법무별진여(法無別眞如) - 제7지에 들어갈 때 세상현행장(細相現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8. 부증감진여(不增減眞如) - 제8지에 들어갈 때 무상중작가행장(無相中作加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9. 지자재소의진여(智自在所衣眞如) - 제9지에 들어갈 때 이타중불욕행장(利他中不欲行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10. 업자재등소의진여(業自在等所衣眞如) - 제10지에 들어갈 때 어제법중미득자재장(於諸法中未得自在障)을 끊고 깨닫는 진여.
十重障(십중장)
十重障(십중장): 보살이 수행하는 계위(階位)인 52위(位) 중, 10지(地)에서 각 지(地)마다 1장(障)씩 끊는 열 가지 번뇌.
(1) 이생성장(異生性障). 범부의 성질인 번뇌장(煩惱障)ㆍ소지장(所知障)의 종자를 끊고, 성성(聖性)을 얻는 것으로 초지(初地)에 들어갈 적에 끊는 장애.
(2) 사행장(邪行障). 3업(業)으로 죄를 범하게 하는 번뇌, 그 체(體)는 구생기(俱生起)의 소지장의 1분(分)이니, 제2지에 들어갈 적에 끊는 장애.
(3) 암둔장(闇鈍障). 구생기(俱生起) 소지장의 1분이니, 듣고 생각하는 경계를 잊게 하는 번뇌, 제3지의 승정(勝定)과 정(定) 등이 발생하는 수승한 3혜(慧)를 장애하므로 제3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4) 미세번뇌현행장(微細煩惱現行障). 온갖 법이 실유(實有)하다고 고집하는 번뇌, 구생기 소지장의 1분. 제6식과 함께 있는 신견(身見) 등을 말하니, 제4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5) 어하승반열반장(於下乘般涅槃障). 보살이 생사를 싫어하고 열반을 좋아하는 것이 하승(下乘:2승)과 같게 하는 번뇌, 제5지의 무차별도에 들어감을 장애하는 것이므로 제5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6) 추상현행장(麤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 4제(諦) 중의 고(苦)ㆍ집(集)을 염(染)이라 하고, 멸(滅)ㆍ도(道)를 정(淨)이라 하여, 서로 차별하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 이것이 제6지의 무염정도(無染淨道)를 장애하므로 제6지의 들어갈 적에 끊음.
(7) 세상현행장(細相現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 고ㆍ집의 유전(流轉)과 멸ㆍ도의 환멸(還滅)을 믿어 생멸하는 세상(細相)이 있다고 집착하여 일어나는 번뇌. 이것이 제7지의 들어갈 적에 끊음.
(8) 무상중작가행장(無相中作加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으로서, 무상관(無相觀)을 자재하게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번뇌. 제8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9) 이타중불욕행장(利他中不欲行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1분으로서, 이타(利他)보다도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하려는 번뇌. 이것은 제9지의 4무애해(無碍解)를 장애하므로 제9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10) 어제법중미득자재장(於諸法中未得自在障). 소지장 중 구생기의 번뇌의 1분으로서, 온갖 법을 두루 반연하는 데 자재하지 못하게 하는 번뇌. 제10지에 들어갈 적에 끊음. 그러나 오히려 선천적으로 있는 미세한 소지장과 번뇌장의 종자가 남았으므로, 이것은 10지의 최후에 금강유정(金剛喩定)의 정심(定心)이 나타날 때, 일시에 끊어 버리고 불위(佛位)에 들어감.
3승 공10지(三乘共十地)
또는 통교 10지(通敎十地)라고도 한다
성문·연각·보살의 삼승이 공통으로 닦는 열 가지 수행 단계.
1. 건혜지(乾慧地) : 지혜는 있지만 아직 선정(禪定)의 물이 스며들어 있지 않음.
2. 성지(性地) :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아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으며 지혜와 선정이 함께 함.
3. 팔인지(八人地) : 팔인(八人)은 팔인(八忍)과 같음. 곧, 욕계의 사제(四諦)와 색계·무색계의 사제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그것에 대한 미혹을 끊고 확실하게 인정함.
4. 견지(見地) : 욕계·색계·무색계의 견혹(見惑)을 끊어 다시 범부의 상태로 후퇴하지 않는 경지.
5. 박지(薄地) : 욕계의 수혹(修惑)을 대부분 끊음.
6. 이욕지(離欲地) : 욕계의 수혹(修惑)을 완전히 끊음.
7. 이작지(已作地) : 욕계·색계·무색계의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음.
8. 벽지불지(辟支佛地) : 스승 없이 홀로 연기(緣起)의 이치를 주시하여 깨달음을 성취함.
9. 보살지(菩薩地) : 보살이 처음 발심하여 깨달음을 이루기 전까지의 수행 과정.
10. 불지(佛地) :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부처의 경지.
불 10지(佛十地)
부처 또는 여래의 10가지 덕인 불 10지(佛十地)를 말한다. 불승 10지(佛乘十地)라고도 한다.
1. 심심난지광명지덕지(甚深難知廣明智德地) 또는 최승심심난식비부라광명지작지(最勝甚深難識毘富羅光明智作地)
2. 청정신분위엄불사의명덕지(清淨身分威嚴不思議明德地) 또는 무구신위장엄불사의광명작지(無垢身威莊嚴不思議光明作地)
3. 선명월당실상해장지(善明月幢寶相海藏地) 또는 묘광명월당보치해장지(妙光明月幢寶幟海藏地)
4. 정묘금광공덕신통지덕지(精妙金光功德神通智德地) 또는 정묘금광공덕신통지작지(淨妙金光功德神通智作地)
5. 화륜위장명덕지(火輪威藏明德地) 또는 광명미장위장조작지(光明味場威藏照作地)
6. 허공내청정무구염광개상지(虛空內清淨無垢焰光開相地) 또는 공중승정무구지거개부작지(空中勝淨無垢持炬開敷作地)
7. 광승법계장명계지(廣勝法界藏明界地) 또는 승광법계장광명기지(勝廣法界藏光明起地)
8. 최승정보각지장능정무구변무애지통지(最淨普覺智藏能淨無垢遍無礙智通地) 또는 최승묘정불지장광명변조청정제장지통지(最勝妙淨佛智藏光明遍照清淨諸障智通地)
9. 무변억장엄회양능조명지(無邊億莊嚴迴向能照明地) 또는 무변장엄구지원비로자나광작지(無邊莊嚴俱胝願毘盧遮那光作地)
10. 비로자나지해장지(毘盧遮那智海藏地) 또는 지해배노사나지(智海陪盧遮那地)
십바라밀(十波羅蜜)과 보살십지(菩薩十地)
* 초지(初地)=환희지(歡喜地)=단바라밀성취(檀波羅蜜成就)
* 2지(二地)=이구지(離垢地)=계바라밀성취(戒波羅蜜成就)
* 3지(三地)=발광지(發光地)=인욕바라밀성취(忍辱波羅蜜成就)
* 4지(四地)=염혜지(焰慧地)=정진바라밀성취(精進波羅蜜成就)
* 5지(五地)=극난승지(極難勝地)=선정바라밀성취(禪定波羅蜜成就)
* 6지(六地)=현전지(現前地)=지혜바라밀성취(智慧波羅蜜成就)
* 7지(七地)=원행지(遠行地)=방편바라밀성취(方便波羅蜜成就)
* 8지(八地)=부동지(不動地)=원바라밀성취(願波羅蜜成就)
* 9지(九地)=선혜지(善慧地)=역바라밀성취(力波羅蜜成就)
* 10지(十地)=법운지(法雲地)=지바라밀성취(智波羅蜜成就)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문십지(聲聞十地), 연각십지(緣覺十地), 보살십지(菩薩十地) (0) | 2015.02.28 |
---|---|
무상無常 / 이진경 (0) | 2015.02.20 |
법문(法門) : 본래 마음 (0) | 2015.02.13 |
괴로움은 어디서 오는가? (0) | 2015.02.13 |
5경(五境)의 49가지 구체적 분류 (0) | 201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