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8. 8. 20:09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중국불교(中國佛敎)의 교상(敎相)과 관심(觀心) 청화 큰스님 |
中國 佛敎의 敎觀(敎相과 觀心) 敎相…敎理判釋을 말하며 釋尊一代時敎를 自己宗義에서 分別判斷함. 觀心…自宗에서 세운 眞理를 觀念하는 法을 말함. 法相宗은 三時敎를 敎相으로 하고 唯識觀을 觀心으로 함. 天台宗은 五時八敎를 敎相으로 하고 一心三觀을 觀心으로 함 華嚴宗은 五敎十宗을 敎相으로 하고 一眞法界觀을 觀心으로 함. 眞言宗은 顯密二敎十住心을 敎相으로 阿字不生觀을 觀心으로 함. 중국불교의 교관(敎觀)을 살펴 보겠습니다. 교관(敎觀)은 교상(敎相)과 관심(觀心)이라는 말입니다. 앞에서도 말씀을 했습니다마는 교상은 그 당시에 불교 교리가 어떻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입니다. 중국은 처음에는 번역(飜譯)불교라 하여 구법승(求法僧)들이 인도에 가서 부분적으로 경전을 가지고 와서 번역을 하였습니다. 법현(法顯 369?-45l?) 삼장이나 현장(玄奘 622-664) 삼장이나 또는 의정(義淨 635-713) 삼장이나 또는 우리 한국 스님인 혜초(慧超 704-787) 대사나 그분들에 의해서 경전이 전해졌습니다. 특히 주로 우리한테는 구법승들에 대한 행각이 깊은 감동을 주게 됩니다. 구법승들이 한번씩 갔다 오려면 십팔년 이십년 걸립니다. 이른바 청춘이 다 지나가 버립니다. 갈 때도 서역국으로 통과하여 수만리 길인데 혼자 가겠습니까마는 처음에는 몇십 명이 발심을 하여 출발했다가도, 가는데 3년 오는 데 3년, 보통은 3년 세월 이상이 걸리는 가운데 몽고의 고비사막(Gobi 沙漠)을 지나야 하고 티베트 파미르고원(Pamirs 高原:蔥嶺)을 넘어야 하는 고생이 극심하여 그야말로 십중구퇴(十中九退)라, 열 사람 가면 아홉 사람쯤 후퇴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죽기도 합니다. 현장 법사가 갈 때도 이른바 서유기(西遊記)같은 것을 보면 사막지방에 가다가 쓰러져 죽어서 버려진 구법승들의 해골이 수 없이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다 돌아온 것이 아니라 현장이나 또는 법현이나 또는 의정이나 혜초나 또는 혜일(慧日 680-748)이나 그런 분들은 모두가 다 구사일생으로 돌아온 분들입니다. 그야말로 목숨을 내건 너무나 모험적인 구도행각이었습니다. 종교란 마땅히 자기 생명을 걸어야 합니다. 목숨을 걸어야 무엇인가 얻는 것입니다. 생명을 건다는 것은 현상적인 상을 여읜다는 것입니다. 상을 여읜다고 할 때는 자기 몸뚱이가 안중에 없어야 한다는 말이나 같습니다. 구법승들이 그렇게 난행, 고행, 고생고생하고 가까스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생명을 건 길인지라 돌아온 사람은 정작 몇 사람 밖에는 안됩니다. 우리는 행복스럽게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들 가운데도 과거 전생에 구법승도 있을 것입니다마는 우리가 금생에 이렇게 편한 때에 와서 한번에 다 불경을 볼 수가 있고 여러 스승들 덕택으로 발췌해서 요점만 추릴 수가 있는 것이고 아무튼, 역사적으로 고찰을 꼭 해야 합니다. 우리 강원교육도 그런 점에 역점을 둬야 하는 것입니다. 철학을 공부해도 철학사(哲學史)를 공부하지 않고서는 바른 철학을 할 수가 없습니다. 마땅히 불교도 인도 불교사(佛敎史), 중국 불교사, 또는 동남아 불교사, 일본 불교사, 한국 불교사를 우리가 꼭 읽어야 합니다. 어렵다고 해서 보지 않으면 그만치 자기가 아는 것만 옳다고 생각하고 집착하게 됩니다. 공부도 하다보면 가사, 염불을 애쓰고 한 사람들은 염불에 대해서 재미를 보는 것이고 또 거기 따른 공덕을 얻는 것입니다. 화두를 많이 참구한 사람들은 화두에서 또 무엇인가 얻습니다. 어떤 공부나 다 그렇습니다. 오 주여! 하고 기독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또 그것으로 해서 무엇인가 얻습니다. 외도나 정도나 어떤 것이나 하다보면 결국은 재미가 붙습니다. 그러면 미련한 사람들은 꼭 그것만이 제일이고 다른 것은 별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있어서 역사적인 고찰이 필요한 것입니다. 교상(敎相)의 구체적인 말은 교리판석(敎理判釋)입니다. 교리를 그 당시에 이루어진 불법으로 판단 해석하는 것입니다. 석존의 일대시교(一代時敎)를 자기 종의(宗義)에서, 자기들 종지(宗旨)에 따라서 분별 판단하는 것입니다. 관심(觀心)은 무슨 종파를 세우면, 우리 종파는 무슨 법으로 공부한다고하는, 공부하는 방법이 있어야 하겠지요. 곧 자기 종파에서 세운 진리를 관념(觀念)하는 법을 말합니다. 일본 일련종(日蓮宗) 계통은 ‘나무묘호우렌게교(南無妙法蓮華經)’ 하는 것만이 제일이고 다른 것은 별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참 딱한 일 아닙니까? 그런 것도 모두가 역사적 고찰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일련(日蓮 1222∼1282) 대사같은 위대한 사람이 나왔을 때는 그 사람대로 특수한 방편을 세웠겠지마는 일대시교(一代時敎)를 비판할 때는 반드시 공변되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언제인가 저는 일련 대사 책을 한번 보았습니다마는 사종격언(四種格言)이라고 해서 선천마(禪天魔)요, 참선하는 것은 하늘 마구니요, 염불은 무간 지옥 가는 길이라고 합니다. 극락 간다고 애쓰는 것이 정토종이고 참선하는 것이 삼계를 초월하는 것인데 그와 같이 반대로 말합니다. 또 율종(律宗)은 국적(國賊) 곧 나라의 원수요, 또 일본의 순수밀교인 진언종(眞言宗)은 망언(妄言)이라 합니다. 이것이 일련종의 사대격언이라 합니다. 부처님 말씀은 다 옳은 말씀인데 이렇게 꼭 자기 것만 내세우는 것입니다. 한 종파를 내 세운 사람들은 대부분 다 독선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면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법상종은 유식사상(唯識思想)을 주로 합니다. 법상종은 삼시교(三時敎) 곧 유교(有敎) 그 다음에 공교(空敎) 그 다음에 중도교(中道敎)를 교상으로 하고 또 만법이 유식(萬法唯識)이라, 물질은 티끌 하나도 본래가 없고 모두가 식(識)아님이 없다는 것입니다. 유식이나 유심(唯心)이나 똑같은 뜻입니다. 내나야 식은 바로 마음 아니겠습니까, 따라서, ‘우주 전체가 오직 마음 뿐이다’ 이렇게 관하는 유식관(唯識觀)을 관심법(觀心法)으로 합니다. 천태종(天台宗)은 오시팔교(五時八敎)라, 일대시교를 다섯 시교(時敎)로 나누고 공부하는 여러 가지 행위에 따라서 팔교(八敎)로 구분합니다. 우리 마음자리에서 바로 공(空)과 가(假)와 중도(中道)를 관하는 일심삼관(一心三觀)을 수행법으로 합니다. 우리 마음의 본체는 조금도 집착하거나 잡을 수가 없는 무장무애하고 텅텅 비어 있지마는 인연에 따르면 현상적인 상(相)이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상이 본래 바로 공이지마는 가상(假相)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을 가(假)라고 하는 것이고, 그러나 공과 가가 둘이 아니므로 결국 중(中)이라 합니다. 화엄종(華嚴宗)은 오교십종(五敎十宗)을 교상으로 하고 일진법계관(一眞法界觀) 곧 우주만유 모두가 간격도 없이 일여 평등한 진여법성이라고 관조하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관법이 있으나 대체로 이렇게 관하는 법을 관심법으로 합니다. 그리고 진언종(眞言宗)은 순수밀교입니다. 일본에 들어간 순수밀교로 해서 진언종이 여러 모로 훌륭한 체계를 세웠습니다. 일본의 구우까이(空海 774∼835)라는 스님이 일본 진언종을 세웠습니다. 진언종은 현교, 밀교, 2교와 십주심(十住心)을 교상으로 하고 아자(阿字) 곧 아미타불의 아자입니다. 아자불생관(阿字不生觀)을 관심법으로 합니다. 여러분들께서 자칫 혼란을 느끼실 수도 있으니까 이런 것을 세밀히 말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다만 윤곽만을 알면 되겠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 이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나중에 경을 보고 또는 불교사를 보더라도 한결 명료하게 납득이 될 것입니다. |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경전의 분류 (0) | 2015.08.15 |
---|---|
참나경 진아경眞我經(atman sutra) (0) | 2015.08.08 |
문수보살(文殊菩薩) 십대원(十大願) (0) | 2015.08.08 |
청화 스님의 유아론(有我論): 유사 브라흐마(梵) 이론 (0) | 2015.08.01 |
여몽삼매(如夢三昧) - 현정선원 법정님 (0)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