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의 인상(印相) - 손가락 모양

2015. 8. 22. 19:51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부처님의 인상(印相) - 손가락 모양

 

부처님이나 보살의 손가락의 특정한 모습을 印相이라 합니다.

 

선정인(禪定印)

* 결가부좌일 때 취하는 수인 입니다.

*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해서 배곱 앞에 놓고 오른손도 손바닥

을 위로해서 겹쳐놓되 두 엄지손가락은 서로 맞댐

법계정인(法界定印)

* 부처와 보살들이 가장 기본으로 취하는 수인의 하나.

* 두 손을 펴서 왼손을 아래로 하여 겹치고, 두 엄지손가락의 끝을 서로 맞댄 손 모양.

* 손가락은 새끼손가락에서 엄지손가락 순으로 지(地)·수(水)·화(火)·풍(風)·공(空)의 오대(五大)를 상징하고, 왼손은 중생의 세계, 오른손은 부처의 세계를 상징한다. 양 손바닥을 포개는 것은 중생의 오대와 부처의 오륜(五輪)이 일체라는 뜻이며, 양 엄지를 가볍게 대는 것은 그 뜻을 체득함을 상징한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항마인, 촉지인, 항마촉지인으로 석가모니만이 취하는 수인

*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땅에 댐

 

 

전법륜인(轉法輪印)

* 최초로 설법할 때 취한 손 모양을 말함

* 왼손의 엄지와 검지의 끝을 서로대고 장지, 약지, 소지는 편다,

오른손도 같이 하고 왼쪽 손바닥은 위로하고 약지와 소지의 끝을

오른쪽 손목에 대고 오른손은 손바닥이 밖을 향한 모양 임

 

 

시무외인(施無畏印)

* 이포외인(離怖畏印) 이라고도 함. 서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위로 뻗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양 임

 

여원인(與願印)

* 시여인, 시원인, 여인이라고도 함. 서계신 부처님이 주로 취함

* 손의 모습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밑으로

향하고 손 전체를 늘어뜨리는 모양 임(시무외인과 반대 모습)

지권인(智拳印)

* 대일여래불(비로자나불)이 결하는 수인 입니다.

* 좌우 두손 모두 엄지를 속에 넣고 주먹을 쥔 다음에 온손을 가슴까지 들고 검지를 펴서 세운 다음 오른손의 소지로서 편 왼손의 첫째 마디를 잡는다. 주먹 속에서는 오른손 엄지 긑과 왼손 감지 끝을 서로 댄다

 

 

미타정인(彌陀定印)

* 아미타여래인의 수인으로 묘관찰지정인이라고도 함

* 선정인과 같은 모습에서 검지를 세워서 엄지와 서로 끝을 마주 대어

검지의 등이 사로 닿게 하는 모양으로 미타정인에는 9품(九品)이 있음

 * 성불하소서.


 

 

 

 

 
진정한 장부 / 冶父道川 
得樹攀枝未足奇 
나뭇가지 잡음은 족히 기이한 일이 아니니 
懸崖撒手丈夫兒 
벼랑에서 손을 놓아야 비로소 장부로다. 
水寒夜冷魚難覓 
물은 차고 밤도 싸늘하여 고기 찾기 어려우니 
留得空船載月歸 
빈배에 달빛만 가득 싣고 돌아 오도다. 
 
 

한가한 사람

 

絶學無爲閑道人 不除妄想不求眞

절학무위한도인 부제망상불구진


더 이상 공부할 것도 없고 할 일도 없는
참으로 한가한 삶을 사는 사람은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진리를 구하지도 않네


망상 그대로 진리요, 진리 그대로 망상이로다.
견문각지, 보고 듣고 느끼고 알아차릴 뿐
달리 취하고 버릴 것이 없도다 
 

 
 
 저 꽃들처럼

여름 한철 기껏해야
열흘이나 보름 남짓 피다 지는
저 꽃들도 지는 날까지 방실대며 웃는데
인생의 꽃밭에서 수십 년 사는 세월,
저 꽃들처럼 환한 웃음 지으며
살다 가고 싶다.

- 이영자의《아침고요 정원일기》중에서 -

*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고 말합니다.
짜증내고 찡그린 얼굴일 때를 말하는 것은
분명 아닐 것입니다. 저 꽃들처럼 환히 웃을 때,
저마다 아름다운 향기를 내뿜을 때,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