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를 돌리니 이 자리가 천국(회두시안 回頭是岸)/정운스님

2016. 8. 28. 19:02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728x90

고개를 돌리니 이 자리가 천국(회두시안 回頭是岸)


 


더위가 한창인 여름, 1년에 한 번 필자를 방문하는 4∼5명의 사람들이 있다.

수년 전에 필자의 책을 보고, 찾아오겠다고 해서 인연이 된 분들이다.

이들은 모 사찰의 신도들인데 60대 초반으로 인생에서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분들이다.

올해도 그들은 단체로 방문했다. 모두 차를 즐겨 마시는 분들인지라 다양한 차를

마시면서 두어 시간 넘게 담소를 나눴다. 

대화 중간에 A라는 보살님(불교에서 여성 신도를 호칭)이 이런 말을 했다.

“스님, 올해 봄에 손자가 태어났습니다. 손이 귀한 집안이라 손자를 기다렸는데

이제야 손자를 보게 됐습니다.”

정운 스님
                                             정운 스님


이 말이 끝나자, B보살님이 A보살님을 부러운 듯이 바라보며 이렇게 말했다.

“스님, 저도 결혼한 아들이 있는데 결혼한 지 몇 년이 됐는데도 손주를 아직 못 봤습니다.

 손자이든 손녀이든 상관없으니 제발 손주가 하나 생겼으면 원이 없겠습니다.”

B보살님의 말이 끝나자 C보살님이 조용히 이렇게 말했다.

“스님, 저는 아들과 딸이 있는데 모두 30대 중반입니다. 손주는 고사하고 그저

자식들이 결혼이라도 했으면 원이 없겠습니다.”

세 사람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해봤다. 혹 이들 중에 그런 분은 없지만

일찍 단명한 자식이 있는 분이 있다면, 지금 저들이 하는 말들이 얼마나 사치스런 말들인가.

병으로 평생 누워 살더라도 살아 있는 자식을 간절히 바랄 것이다.

참으로 아이러니한 세상이다. 모든 인간은 나의 밥그릇보다 남의 밥그릇을 기웃거리며

내 밥그릇의 양이 적다고 투덜거린다.

지금의 나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저 높은 곳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불교경전 ‘숫타니파타’에는 “자식이 있으면 자식 때문에 근심이 생기고, 소가 있으면

소 때문에 걱정할 일이 생긴다. 곧 집착심 때문에 근심 걱정이 떠나지 않는다”라고 했다.

곧 우리 인간들은각자가 소유한 만큼에 해당하는 고통이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줄 알면서도 더 많은 欲心을 부린다는 말이다.

그렇다. 우리 인간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높은 가치와 소원을 바란다.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에 비해 바라는 것들이 높다 보니 인간은 늘 고통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 인간들이 성취하고 싶어 안달하던 목적을 이뤘다고 치자,

만족을 할까. 아마 또 다른 欲望에 사로잡혀 있을지도 모른다.


2715A23 마음
        2715A23 마음


물론 간절히 원하는 것이 있기 마련이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이 인간으로서의 도리이다. 하지만 노력해서 될 일이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잘 판단해야 한다. 취업을 위해 열심히 노력해서 자격증 등을 완벽하게

구비해놓고 기다리면 언제고 바라는 일이 성취된다.

그런데 앞에서 이야기한 것들, 즉 결혼 못한 자식을 닦달한다고 해서 결혼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손자가 없다고 며느리를 야단치거나 구박한다고 해서 손자가

태어날 수는 없지 않은가.

곧 물이 흘러가는 대로 순리대로 받아들이고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대만의 성엄 스님 법문(法門)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산이 돌지 않으면 길을 돌리고, 길이 돌지 않으면 사람이 돌아가고, 

사람이 돌아갈 수 없으면 마음을 돌려 바꿔라.

욕심과 순리는 엄연히 다르다. 순리대로 따라야 할 때가 있는 법이지 욕심낸다고

될 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내 욕심대로 상대방을 변화시키려는 의도는 어리석은 짓이다.

相對와 現象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마음을 돌려 바꾸면 상대와 현상이 바뀌게 된다.

그러면 순리대로 흘러갈 것이다. ‘회두시안(回頭是岸)’이라고 하지 않는가.

고개를 돌리니 이 자리가 피안(天國)이라는 뜻이다···.

 

- 정운스님·동국대 선학과 외래교수


  

하늘을 보고 산다면 / 오광수 

우리네 사는 모습 속에
아껴주는 마음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시기하기보다 인정하고 배우려는 마음과
더불어 삶을 이루려는 마음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미운 마음 때문에 거북한 모습보다는
이해와 사랑이 가득한 마음들로 살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우리네 있는 모습 속에
다독이는 가슴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차가운 똑똑함보다는 눈물을 아는 따뜻함과
정겹게 손잡을 수 있는 고움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시샘과 욕심으로 서로 흠을 찾기보다는
보듬고 위하며 베풀고 나누면서 살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우리네 사는 모습에서
다른 사람의 것을 탐할 때는 내 손을 펴야하고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면 내 마음도 아픈 게 이치인데
좋은 것은 내가 하고 험한 것은 남의 몫이길 원하면서
행복하게 살기를 바란다면
어찌 하늘을 보고 산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황홀경이 수행의 마지막 장애다

수행의 마지막 장애가 황홀경이다.

사람들은 그 상태에서 커다란 행복을 느끼고 그 상태에 머무르려 한다.

그러나 거기에 머무르지 말고 고요함이 충만한 다음 단계로 가야 한다.

그 고요함은 황홀경보다 더 높은 차원이며 삼매속으로 흡수된다.

삼매에 들어가면 깨어있으면서 잠자는 듯한 상태가 나타나며,

그 상태에서 그대는 자신이 항상 의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의식은 그대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간은 항상 삼매 속에 있으나 그것을 모르고 있을 뿐이며,

그것을 알기위해선 장애물을 제거 하기만 하라.

 

- 마하리쉬의 명상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