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2. 18. 22:34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문]능소(能所)가 생각만으로 있음은 어렴풋이 알겠는데
그 다음엔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합니까?
[답]어렴풋이 알지 말고 투철하게 알아야 그러한 질문이 전혀 앞뒤가
맞지 않는 질문이란 사실을 알 수 있소.
능소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인연으로 말미암아 있는
이 가죽주머니를 ‘나’로 알면서부터 생겨난 전혀 환상이요,
그저 이름만 능(能)이니 소(所)니 할 뿐이라는 사실이 참으로 절절하게
와 닿았다면, 그 즉시 만법이 몽땅 다 쉬어 마쳐야 하는 것 아니오?
능소가 다만 생각만으로 있다는 사실을 알았는데 다시 어떤 놈(能)이 있어서
무슨 공부(所)를 지어 나아가야겠다는 거요?
그 방법을 일러 달라는 놈은 또 누구고? 그러니 한 마디 말이라도
그 뜻을 깊이 참구해서 완전히 그 바닥을 사무쳐야 하오.
능소가 없다는 말은 아는 자와 아는 바, 깨달은 자와 깨달은 바가 없다는
말이오. 따라서 공부하는 사람이 무언가 찾는 것이 있고 알아야 할 것이
있어서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끊임없이 유위의 노력을 계속한다면,
그 사람은 전혀 거꾸로 가고 있는 것이니 당나귀 해가 되어도 결코 깨달을
분수는 없는 거요. 이 말은 전혀 과장이 아니오.
있는 그대로이면 빠르다는 말도 있듯이, 계속 세속의 습관대로 무언가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깨닫기 위해 조작을 일삼는다면 그 사람은 참으로 어렵소.
무엇보다 제법실상(諸法實相)을 철저히 밝혀야 하오.
마치 꿈속에서 아는 자도 있고 아는 바도 있지만 그것이 몽땅 제가
생각만으로 지어낸, 문자 그대로 꿈속의 일이듯이, 우리가 소위 현실이라고
부르는 이 세상사도 몽땅 다 그것과 전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깨쳐야
그 모든 추구와 헐떡증이 쉴 수 있소.
목전의 모든 법이 전부 인연생기라 무생(無生)이요, 무상(無相)이요,
무성(無性), 무작(無作)이니, 안으로 ‘나’도 없고 밖으로 상대할 만한
티끌만한 한 법도 없는 것이 바로 제법실상이오.
말은 몇 마디 안 되지만, 과연 참으로 그러한가 스스로에게 물어 보시오.
굳이 말한다면 그 제법실상을 밝히는 것이 바로 공부의 시작이요,
끝이라 할 수 있소.
-현정선원법정님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그림자 / 현정선원 (0) | 2016.12.24 |
---|---|
용병과 무연전사 |…… 강병균 교수 (0) | 2016.12.18 |
종교가 조장하는 허깨비 공포|…… 강병균 교수 (0) | 2016.12.11 |
행자와 스님이 줄어드는 이유 |…… 강병균 교수 (0) | 2016.12.04 |
불생불멸(不生不滅) (0) | 2016.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