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나'를 찾는 방법 - 항상 점검하라 /일타스님

2017. 4. 29. 17:55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제불조사스님

728x90

참된 '나'를 찾는 방법 - 항상 점검하라                      

지금부터라도 정신을 바짝 차리고
참된 '나'를 위하면서 살아간다면
우리의 앞길에는 행복과 사랑과 자유가 가득한 세계가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참된 '나'를 찾고 올바로 '나'를 사랑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수없이 많다.
중생의 그릇에 따라, 병에 따라 약을 주고 가르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많은 가르침 속에서도 하나의 핵심은
한결같이 흐르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그 핵심은 '항상 스스로를 돌아보고 마음을 허공처럼 맑게 하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명제가 숨어 있다.

하나는 그 어떤 것보다 나의 주인공을 끊임없이 돌아보고
끊임없이 찾으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비우라'는 것이다.
먼저 첫번째 명제부터 살펴보자.
중국 송나라 초기 단구의 서암에 살았던 서암 사언 스님은
날마다 판도방(큰 방) 앞마루에 걸터 앉아 먼 산을 바라보면서 자문자답하였다.

"주인공아!"
"예."
"정신차려라."
"예."
"뒷날에도 남에게 속지 말아라."
"예."
서암스님이 매일같이 부르고 답한 주인공.
이 주인공은 우리가 본래부터 지니고 있었던 근본자리이며
부모 대중에 들어가기 전의 참된 모습이다.


우리는 이 주인공과 함께 살아왔고 지금도 이 주인공과 함께 살아 가고 있다.
이 주인공은 우리를 잠시도 떠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주인공을 잊으며 살아가고 있다.
너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아니 조그마한 간격도 없기 때문에 잊고 사는지도 모른다.
바로 이 주인공을 잊지 말고 점검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참선, 기도, 간경, 주력 등의 방법이 있고
그중에서도 참선을 으뜸가는 수행법으로 보고 있다.
물론 지금 당장은 주인공을 돌아보는 것도, 참선 수행도 잘 안 될지 모른다.
그러나 부처님의 법과 인연이 주어진 이 때 힘써 닦으면
지금은 닦기 어려운 행일지라도 비롯하여 이전에 도를 이룬 분들 중
범부 아니었던 이가 어디 있었던가?
오직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주인공을 돌아보며 꾸준히 정진해보라.
좋은 날은 반드시 돌아오기 마련이다.
아니, 수행하는 그날 그날이 모두 좋은 날로 바뀔 수 있다.
모든 것은 나에게 달려 있다.
용기를 잃지 말고 정진해야만 한다.

두번째 명제인 '비우라'는 것은
마음속의 잡된 생각을 비우라는 것이다.

많고 많은 사람들, 과거의 부처님과 수많은 조사들은 불문속에서 도를 이루었다.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는 불문. 그 첫번째 관문을 우리는 일주문이라고 한다.
기둥을 일렬로 세워서 만든 대문이라 하여 일주문이라 한 것이다.
이 일주문에는 문짝이 달려 있지 않다.
그냥 뻥 뚫려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주문을 달리 공문이라고도 한다.
공문은 뻥 뚫려 있기에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가난한 사람, 부유한 사람, 죄많은 사람, 깨끗한 사람을 구분하지 않는다.
들어오고자 하는 사람은 들어올 수 있고, 나가고자 하는 사람은 마음대로 나갈 수 있다.
이렇게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문이 공문인 것이다.
그러나 이 문을 통과하여 부처님의 경지로 나아가고자 하는 이에게는
단 한 가지 제약이 주어진다.
잡된 생각을 텅 비우고 참된 주인공을 찾겠다는 한마음을 잘 다져서
이 문을 들어서라는 것이다.
비록 문짝을 달지 않아 뻥 뚫려 있는 공문이지만
그 잡된 생각들이 공문을 메워 유문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잡된 생각이란 무엇인가?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삼독심, 재욕, 색욕, 식욕, 명예욕, 수면욕 등 오욕락이 그것이다.
이들에 의해 사랑에 걸리고 재물에 걸리고 명예에 걸리고 감정에 휘말리게 되면
어느새 공문의 기둥과 기둥사이에는 문짝이 생겨나와 유문으로 바뀌어버린다.

그리고 출입을 막기 위해 스스로 빗장을 굳게 걸어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먼저 놓아버리고 비워버릴 줄 알아야 한다.
탐착하고 있으면, 꼭 담고 있으면 결코 공문을 통과할 수가 없다.
이제 이를 일깨우는 부처님 당시의 이야기 한 편을 음미하면서 끝맺음을 하여보자.
어느날 흑씨 바라문은 신통을 부려서 만든 합환오동 꽃 두 송이를 양손에 들고 와서
부처님께 바치고자 하였다.

그 때 부처님은 조용한 음성으로 흑씨 바라문을 불렀다.
"선인아!"
"예, 부처님."
"버려라."
흑씨 바라문이 왼손에 든 꽃송이를 버리자 부처님은 다시 말씀하셨다.
"선인아, 버려라"
이번에는 오른손에 든 꽃송이도 버렸다.
그러자 부처님은 다시 말씀하셨다.
"선인아, 버려라."
"부처님, 저의 두 손은 이미 비었습니다. 다시 무엇을 버리라 하시나이까?"
"나는 너에게 그 꽃을 버리라고 한 것이 아니다.
너의 마음에 가득 차 있는 번뇌망상을 일시에 버려서
더 이상 버릴 것이 없게 될 때 생사를 면하게 되느니라."
부처님의 이 말씀 끝에 흑씨 바라문은 대오를 하였다.
부처님께서 흑씨 바라문에게 말씀하신 '버려라' 이 한마디야말로
공문으로 들어가는 지름길이다.

어찌 참된 해탈과 진리를 밖에서만 구할 것인가?
놓아버리자. 비워버리자. 놓아버리고 비워버릴 때 모든 고통과 장애가 사라지고
해탈의 세계, 부처님의 정토가 우리들 앞에 펼쳐지는 것이다.
이제 전체의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자 한다.

우리는 과연 무엇을 위하여 살아야 하는 것인가?
돈, 명예, 쾌락, 육체? 아니다.
그것 이전에 참된 나의 주인인 마음자리를 위하면서 살아야 한다.
그리하여 '나' 속에 있는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회복해 가져야 한다.
우리 모두의 소원처럼, 더 이상은 괴롭고 어리석게 살지 말고 행복하고 지혜롭게 살아야 한다.
그렇게 사는데 필요한 묘법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항상 주인공을 점검하고 내 속의 구정물을 비우면서 사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이를 부디 명심하여 우리 모두 영원과 행복과 자유와 청정이 깃든 세계를 향해
노를 저어가야 하리라.

- 일타 스님 -

 

01. 엄마 엄마 우리 엄마-강사랑 02. 삽다리 총각 - 오세자 03. 항구에서 항구로 - 박향림 04. 엄청시하 - 최희준 05. 잘있거라 황진이 - 조민이


06. 단장의 미아리고개-이미자 07. 죽령 고개 - 박일남 08. 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 블루벨즈 09. 갈림길 - 문주란

10. 소양강은 대답 없네-남정희

11. 나는 모른다 - 손인호 12. 청포도 언덕길 - 도미 13. 행복의 샘터-박재란, 이양일 14. 안개 - 정훈희 15. 대전 부르스 - 안정애
16. 청춘부라보 - 도미 17. 수덕사의 여승 - 송춘희 18. 야래향 - 심연옥(올겐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