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9. 3. 12:38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전심법요
부용이나 전단향 같은 꽃 향기는 바람을 거스르지 못하지만
덕의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풍기나니
덕이 있는 사람 그 향기는 두루 퍼진다
(법집요송경)
비록 많이 들어 알아도 자기 체험이 없으면
장님이 등불을 들어 남을 밝혀 주면서 자기 앞은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
(대장엄론경)
나(부처님은)는 왕자의 지위를 문틈에 비치는 먼지처럼 보고
금이나 옥 따위의 보배를 깨진 기왓장처럼 보며
비단옷을 헌누더기같이 보고 삼천대천 세계를 한아르이 겨자씨같이 본다.
열반을 아침 저녁으로 깨어 잇는 것과 같이 보고
평등을 참다운 경지로 보며 교화를 펴는 일을 사철 푸른 나무와 같이 본다.
(사십이장경)
한 법도 없거늘 . / 전심법요
30. 한 법도 없거늘 무슨 전할 법이 있으랴
성인과 범부 나누는 분별심이 망념
원문:
배휴가 물었다.
어떤 법도 얻을 것 없기에 최상의 깨달음이라 일컬어
이심전심 이어지는 전법(傳法), 얻었다는 관념 없어야 가능
“망념(妄念)이 자심(自心)을 가로막습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망념을 없앨 수 있을까요?”
“망념을 일으키고 망념을 없애려는 것 또한 망념이다. 망념은 본래 근본이 없다.
분별해서 실제로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대는 범부와 성인이라는 두 가지 분별된
경계를 염두하고 있는데, 분별인 이 두 경계의 알음알이가 없다면 자연스럽게
망념이 없어질 터인데 어찌하여 망념을 망념으로 다시 헤아려 망념을 없애려고 하는가?
모두 털끝만큼이라도 의존해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을 말해서
‘내가 두 팔을 모두 버렸으니 반드시 부처를 이루리라’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미 의지하고 집착할만한 것이 없다면, 마땅히 어떻게 서로 전합니까?”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한다(以心傳沈).”
“만약 마음으로써 마음에 서로 전한다면 어찌하여 마음이라는 것도 또한 없다고 합니까?”
“일법(一法, 한 법)도 얻을 것이 없다는 말을 전심(傳心)이라고 한다.
만약 마음을 요달한다면, 곧 無心이 無法이다.”
“만약 무심이 무법이라고 한다면, 어떻게 전한다고 할 수 있습니까?”
선사가 답했다.
“그대는 道를 마음으로써 마음으로 전한다는 말을 듣고,
그 말에서 무언가 얻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사가 말했다.
‘심성(心性)을 깨달았을 때, 부사의(不思議)하다라고 하리라.
心性은 분명하고 분명해서 얻을 것도 없으니,
얻은 때라고 할지라도 心性을 알았다고 말할 수 없다.’
이런 眞理를 그대에게 알게 할지라도 어찌 그대가 감당할 수 있겠는가?!”
해설:
원문에서 망념(妄念)이라는 말은 수행에 방해되는 모든 생각을 지칭한다.
선(禪)에서는 수많은 생각들을 분별 번뇌 망상 또는 객진(客塵)이라고 표현한다.
원문에서는 성인과 범부를 분별해 나눠서 생각하는 상대적이고 이분법적인 생각,
분별심을 망념(妄念)이라고 보고 있??.
원문의 이심전심(以心傳心)을 살펴보자. 석가모니부처님부터
현대 선사에 이르기까지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法이 전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의발(衣鉢)은 어떤 의미인가?!
선종에서는 가사(衣)와 발우(鉢盂)는 상징적인 의미로서 석가모니부처님에서
33조인 혜능까지 전해졌다고 한다. 그런데 法이 전해지는 의발의 징표가 전
법게로 변하였다.
801년 ‘보림전’의 성립과 더불어 조사선[마조선]의 교단을 정립ㆍ확립하였다.
이심전심ㆍ교외별전이라고 하는 정법안장의 조사선 계보가 확립되었는데,
스승과 제자 간의 전법게(傳法偈)가 첨가되었다.
이후 스승에서 제자로 法이 전해지는데, 다툼의 분쟁이 될 것을 염려해
의발에서 전법게로 변천된 것이다.
원문에서 ‘일법(一法, 한 법)도 얻을 것도 없다.
이것을 말해서 전심(傳心)이라고 한다’는 부분을 보자. 이 내용은
‘금강경’의 구절과 유사한 내용으로, 단적으로 조사선의 사상이다.
이 한 법도 얻을 것이 없다는 이 말은 어록에서 줄곧 언급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어떤 작은 法 하나라도 얻을 것이 아무것도 없음을 말한다.
‘금강경’ 22품에 ‘조그마한 법조차도 얻을 만한 것이 없으므로 이름하여
최상의 깨달음[無有少法可得 是名阿?多羅三?三菩提]’이라고 하였다.
또한 ‘금강경’ 17품에 ‘실로 있는 법이 아무것도 없음을 일컬어 최상의 깨달음
[實無有法 得阿뇩多羅三막三菩提]’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얻을 것조차 없으며, 얻었다는 관념조차 없기 때문에
무법(無法)을 無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금강경’에서 청정한 무심의 상태, 곧 청정심이 무주심(無住心)이다.
이 무심이 바로 번뇌를 항복받은 상태인 무주상(無住相)이다.
2017년 8월 5일 강원도 신흥사에서 여름 하안거 해제법문이 있었다.
신흥사 조실 무산 스님이 상당에 올랐다.
“나는 대중 여러분 한번 바라보고, 대중 여러분들은 나 한번 바라보면,
나는 내가 할 말을 다했고 여러분들은 오늘 들을 말을 다 들은 겁니다.
날씨도 덥고 하니 서로 한번 마주보고 그랬으면, 할 말 다하고 들을 말은
다 들은 겁니다. 오늘 법문은 이게 끝입니다.”
서로 보았으니, 법사는 설법을 다했고, 청중은 다 들은 것이다.
그런데 ‘유마경’에 의하면, 문수보살이 유마거사에게 불이법문을 물었을 때
유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에 비하면
무산 스님은 너무 법문을 길게 말씀하시어 청중을 당황케 한 것은 아닌가?!
결제기간 포살 법회 때, 10여년 만에 한 도반을 만났다.
스쳐 지나면서 이런 말을 하였다.
“잘 살고 있어 고마워요.”
“네.”
정운 스님
그림 / 이수동
+ 솔로몬의 계절 / 이영균
가을,
황금 들녘, 천고마비
풍요의 계절입니다
아닙니다
추풍낙엽, 스산한 산천
슬픔의 계절입니다
그래요.
희로애락, 풍요와 빈곤
이율배반의 계절입니다
미묘한 생각의 차이가
삶의 무게를 달리합니다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전심법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념을 일으키지 않는 그자리가 바로 깨치는 자리다 (0) | 2018.04.29 |
---|---|
정운 스님의 전심법요 46. 걱정을 만드는 자 누구인가? <끝> (0) | 2018.01.01 |
쉬고 또 쉬어라 / 정운스님의 전심법요 해설 (0) | 2017.08.27 |
자기 마음속에서 깨닫지 못하면/황벽희운 (0) | 2017.07.02 |
한마음 깨치면 부처 - 14 (0) | 201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