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의 법문-삼귀의 [六祖壇經 懺悔品]

2017. 12. 17. 16:12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육조단경

728x90


육조의 법문-삼귀의 [六祖壇經 懺悔品]


네 가지 큰 서원을 발한 이는 불(佛)ㆍ법(法)ㆍ승(僧)의

자성삼보(自性三寶)에 귀의하여라.

불이란 깨달음이고, 법이란 올바름이며, 승이란 청정함이다.

 

마음이 깨달음에 귀의하여 그릇되고 어두운 것을 내지 않고,

욕심을 적게 하고 만족하게 생각하여 재물과 색을 떠나면

이것이 양족존(兩足尊)이다.

 

마음이 올바름에 귀의하여 그릇된 소견이 없으면 남과 나를 따지는 일도,

탐욕과 애욕에 빠지는 일도 없을 것이니 이것이 이욕존(離欲尊)이다.

 

그리고 마음이 청정에 귀의하면

온갖 지저분한 것과 애욕에 물들지 않을 것이니 이것이 중중존(衆中尊)이다.

 

이와 같이 수행하는 것이 스스로 귀의하는 것인데,

범부들은 이것을 알지 못하고 밤낮으로 삼귀계(三歸戒)를 받는다고 한다.

 

만약 부처에게 귀의한다면 그 부처는 어디에 있는가?

부처를 보지 못한다면 무엇을 의지해 돌아갈 것인가?

그러니 귀의(歸依)한다는 말이 우습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자신의 부처에게 돌아가지 않으면 의지할 곳이 없다.

 

이제 스스로 깨달았다면 저마다 제 마음의 삼보에 귀의하여라.

안으로 심성(心性)을 고르게 하고, 밖으로 남을 공경하는 것이 스스로 귀의함이다.

자성(自性)
 

자성이 본래 청정한 줄 어찌 알았으랴!
자성이 본래 생멸하지 않는 줄 어찌 알았으랴!
자성이 본래 저절로 구족되어 있는 줄 어찌 알았으랴!
자성인 본래 동요함이 없는 줄 어찌 알았으랴!
자성이 능히 만법을 만들어 내는 줄 어찌 알았으랴!

何期自性本自淸淨
何期自性本不生滅
何期自性本自具足
何期自性本無動搖
何期自性能生萬法


- 혜능대사의 육조단경에서


 







.01. 우리들의 이야기 - 윤형주
02. 긴 머리 소녀 - 둘 다섯
03. 사랑의 진실 - 어니언스
04.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 박건
05. 바람에 실려 - 하남석

06. 추억 - 이필원
07. 고귀한 선물 - 장은아
08. 행복 - 이수만
09. 애심 - 전영록
10. 어디쯤 가고 있을까 - 전영

11. 님 그림자 - 노사연
12. 연인들의 이야기 - 임수정
13. 고아 - 오세은
14. 기도 - 홍삼 트리오
15. 묻어버린 아픔 - 김동환

16. 그 겨울의 찻집 - 조용필
17. 유리창엔 비 - 햇빛촌
18. 슬픈 약속 - 민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