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4. 1. 10:38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모든 <대립의 피안>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온갖 것이 가고 옴이 없으니 있는
그대로 여실한 것입니다.
우리는 한창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을 오랜만에 보면서
"몰라보게 컸구나"하는 말을 곧잘 하곤 합니다.
하지만 앞에서 이미 밝힌 바와 같이 " 그 어느 존재도 자체의 성품이 없다 "는
말을 깊이 이해한다면 오히려 그 아이를 알아본다는 사실 자체가
정말로 이상한 현상이 아닐 수 없는 것입니다.
이 세상 그 무엇도 마찬가지지만 우리의 육신은 한순간도 쉬지 않고 변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세포가 생겨나고 동시에 늙은 세포는 사라지면서 말이지요.
한순간도 쉬지 않고 변한다는 말은,
한순간 전의 <나>와 한순간 후의 <나>는 전혀 다른 존재라는 것입니다.
한 독립적인 실체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성장한 듯이 보이지만,
그러한 지속적인 진화의 현상은, 우리의 착각 때문에, 일어난 듯 할 뿐이지
그런 현상은 원래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형상은 매 순간 새로운 존재라는 것이지요.
그러니 오랫동안은 말할 것도 없으려니와 순간순간 다른 아이를,
역시 순간순간 다른 <나>가 알아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왜 알아보는 일이 생기는 것일까요?
그것은 불완전한 경험에 의해 축적된 우리의 기억 때문입니다.
매 순간 새로운 대상을 대하면서도 우리는 늘 낡은 기억 속에 저장되어있는
그 대상과 비슷한 모습을 떠올리며 그와 동일시하는 것이지요.
그러니 거기에는 새로운 만남이나 창조적인 만남은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외부로부터의 "도전"은 항상 새로운데
우리의 반응은 언제나 낡은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다시 말해, 한순간 전의 <옛것>으로부터 한순간 후의 <새것>으로 옮아온
실질적인 '에너지'의 이동은 아무것도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 어느 것 하나
매 순간 새롭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공자(孔子)도 그의 제자 안회(顔回)에게
다음과 같이 경책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희야! 새로운 것으로 보라. 남깐동안도 옛 것이 아니리라"
이처럼 <새것>과 <옛것>, 즉 앞뒤의 것이 서로 도달하지 못하므로
단 한 물건도 옮아갈 수 가 없는 것이며, <지나간 때>는 지나간 때에 머물고,
<옛날의 형상>은 옛날에 머무니 이것이 바로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불천(不遷)의 이치>인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한달 전의 아이가 오늘로 옮아왔다"는 사실을
너무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니,
우리 의식의 왜곡의 정도가 얼마나 심한가를 깨달아야하지 않겠습니까?
승조(僧肇)선사의 다음 말씀은 그러한 왜곡된 의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는 충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 회오리 바람이 큰 산을 쓰러뜨리는데도 항상 고요하고,
강물이 앞다투어 쏟아지는데도 흐르지 않으며,
아지랑이가 떠다니며 치는데도 움직이지 않고,
해와 달이 하늘을 돌아다니는데도 돌지 않는다.
- 승조선사의 肇論에서
산에 도달한 바람은 처음에 불기 시작한 그 바람이 아니요,
매 순간 새로운 바람이며, 쓰러진 산도 처음의 큰 산이 아니라
새로운 산인 것이지요.
그러니 한바탕 큰 바람이 불어 큰산이 쓰러졌다는 현상은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매 순간 새로운 바람과 새로운 산만이 있는 것이니
고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모든 사건들이 <시간의 흐름>을 따라서 발전하고 전개하는 듯이 보이는 것은
우리의 분별적 개념이 지어내는 환상으로, 이러한 착각은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인 전 우주를 토막토막 나누어 단편화된 부분밖에
볼 수 없게끔 제약하는 우리의 특유한 의식구조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모든 <물질적 존재>가 각기 고유의 독립적 성질을 가진
실재가 아니라면, 곧 그런 '물질'이 실제로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 우리의 목전에서 전개되는 모든 시간 공간적인 변화는 전혀 왜곡된
인식작용이 빚어내는 환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미 갔으니 "가는 것"은 없고,
아직 가지 않았으니 역시 "가는 것"은 없구나
이미 "갔음"과 "아직 가지 않았음"을 여의면
가는 대 도한 "가는 것"이 없으리라
- 청목(靑目) 핑갈라(Pigala) 논사
|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선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梁) 지공화상(誌公和尙) 12시송(時頌) (0) | 2018.04.14 |
---|---|
성철스님의 돈오입도요문론 강설-3.선정(禪定) (0) | 2018.04.08 |
삶이라는 현성 공안 (0) | 2018.04.01 |
無字話 / 졸리면 자게나 (0) | 2018.03.11 |
법륜스님의 '남이다' 화두 (0) | 2018.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