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근, 육경, 육식이 멸한 곳
2018. 10. 27. 20:43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선불교이야기
728x90
육근, 육경, 육식이 멸한 곳
부처님 당시 흑씨 범지가 신통력으로 오동나무 꽃을 양손에 들고 와서
기쁜 마음으로 부처님께 공양하려 하였다.
부처님께서 그를 향해 이르기를, “범지야, 그것을 놓아버려라.”
하니 범지가 즉시 두 손에 든 꽃을 차례로 놓아버렸다.
그런데 다시 부처님은 범지를 불러 “놓아버려라.” 하셨다.
범지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저의 몸에는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거늘
무엇을 놓으라 하시나이까?” 하니 부처님께서,
“내가 너에게 놓으라 한 것은 꽃을 놓으라 한 것이 아니라
밖으로 6진과 안으로 6근, 중간의 6식을 한꺼번에 놓아버리라 한 것이다.
놓아버릴 곳이 없으면 이 곳이 네가 생사를 면한 곳이다.”
하였다. 범지가 그 말 아래 곧 무생법인을 깨달았다.
- ‘선문염송’ 중에서
그 유명한 ‘방하착(放下着)’ 공안 입니다.
공부인의 가장 큰 장애인 분별과 시비는 6근, 6경, 6식이 기본이 되어
나타나므로 모조리 다 놓아 버려라 하는 것이 부처님 법문입니다.
고인은 이에 대해 이렇게 노래 한 적이 있습니다.
놓아버려라 놓아버려라
몸도 맘도 생각도 다 놓아버려라
천강에 물 있으면 천강에 달이 뜨고
만리에 구름없으면 만리가 하늘이다.
들고양이들 베스트곡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선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 고승들의 선문답 - 용성 스님 (1)(2)(3)(4) (0) | 2018.11.03 |
---|---|
근현대 고승들의 선문답 _ 수월 스님(2) (0) | 2018.10.27 |
근현대 고승들의 선문답 _ 만공 스님 (1)(2)(3)(4)(5) (0) | 2018.10.20 |
근현대 고승들의 선문답 _ 한암 선사(2)(3)(4) (0) | 2018.10.13 |
근현대 고승들의 선문답 - 한암 스님 (1) (0) | 201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