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생 인연멸(因緣生 因緣滅)과 ‘이 뭣고’라는 화두(話頭)
진실(眞實)과 허망(虛妄)이 따로따로 분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허망(虛妄)을 허망(虛妄)이라고 깨닫는
바로 그놈이 곧 진여(眞如), 여래장(如來藏), 부처, 불성, 자성, 진성, 근본성품, 하나의 성품, 진심, 본래
면목(本來面目), 목전(目前), 눈앞, 촉목보리(觸目菩提), 원각도량, 청정수월도량, 불생불멸(不生不滅),
불거불래(不去不來), 영원한 생명, 선(禪), 진리(眞理), 법(法), 도(道), 불(佛), 마음(心)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다. 공(空)을 통하지 않고 허망(虛妄)을 깨치지 못하고서는 불도(佛道)를 깨달을 수가 없다.
망령(妄靈)된 마음, 즉 망심(妄心), 망령된 생각, 즉 망상(妄想)이 허망(虛妄)인 줄 깨달으면 실체가 없는
허망(虛妄)한 물질적 정신적 현상(現像, 존재, 것, 대상, 경계)에 사로잡히지 않아 성불(成佛)하게 된다.
삼라만상만물로 일어나는 정신적 물질적 모든 현상은 실체가 없는 가짜 거짓인 가(假)이며 색(色)이다.
모든 현상은 인연 따라 생겨나고 인연이 다하면 사라져버리는 실체가 없는 것, 즉 연생연멸(緣生緣滅)
하는 것으로 공(空)에서 이루어지고, 만유만사가 공(空)에서 인연생 인연멸로 연기(緣起)하며, 영원불변
(永遠不變)하는 상주불멸(常住不滅)하는 불생불멸(不生不滅)하는 불거불래(不去不來)하는 실체성이
없다. 그래서 인연생 인연멸하는 모든 정신적 물질적 현상은 거짓이고 인연이 다하면 흩어지기 때문에
공(空)하다. 비록 모든 현상이 실체가 없는 거짓인 가(假)이지만, 모든 현상 속에 공(空)이 있음을 보고
공(空)에서 가짜인 가(假), 즉 현상을 보면서 자유자재로 가(假), 즉 현상을 쓰는 것을 중(中)이라 한다.
예를 들어보면 술이 발효가 되면 식초가 되지만 식초의 본바탕은 술이다. 그러나 식초에서 비록 술은
보이지는 않지만, 식초 그 가(假)속에서 식초의 본바탕인 술, 즉 공(空)을 보는 것이다. 이것이 중도
(中道)이자 연기(緣起)의 이치이다.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생각하는 대상, 아는 대상, 설명하는 대상 등의 모든 것들은 단지 분별하는
마음, 분별하는 생각, 분별하는 의식이 만들어 낸 꿈, 허깨비,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 같은
실체가 없는 환상(幻想)일 뿐이고, 신(神) 윤회(輪廻)라는 개념(槪念)도 분별하는 마음, 분별하는 생각,
분별하는 의식이 만들어 낸 실체가 없는 허망한 관념(觀念)일 뿐이다. 나(我) 라고 하는 개념도 진짜 나
(眞我)가 아니라, 아상(我相) 아집(我執) 아만(我慢)이라는 허망한 꿈, 허깨비,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 같은 실체가 없는 환상(幻想)을 진짜 나인 줄로 착각(錯覺)하고 있는 것일 뿐이다. 생과 사
(生과 死)라는 개념 또한 하나의 환상(幻想)이다.
이 세상의 진실(眞實)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이다. 불교의 가르침은 만법(萬法, 三界, 세상 모든 현상)이
전부 다 생각(生覺)일 뿐이고, 개념(槪念) 관념(觀念)일 뿐이며, 식(識) 의식(意識) 마음(분별심)일 뿐이
라는 사실을 깨닫게 도와주는 방편일 뿐이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도 만법, 우주삼라만상만물,
일체가 심식(心識, 분별심, 분별하는 의식)에 의해서 빚어낸 ‘허먕한 업(業)의 그림자(業影)’일 뿐이다.
앎(識, 의식, 분별심)이 본래 스스로 아는 앎(識, 의식, 분별심)이 없건만, 중생이 허망(虛妄)한 생각을
붙잡아서 나의 마음(識, 앎, 의식)으로 삼음으로써 무명(無明)이 벌어진 것인데, 이같은 무명(無明)을
고정불변하는 실체(實體)로 오인(誤認)하고 무명(無明)에 집착심(執着心)을 일으키는 것이다.
수행이란 실체가 없는 이러한 허망한 생각이 떠오를 때 그 즉시 그 허망한 생각이 일어남을 알아차리고
‘이 뭣고’라는 화두로써 허망한 생각의 뿌리를 잘라 버림으로써 다생겁래에 제8아뢰야식에 쌓아 저장된
아타나란 미세망념의 인습(因習)을 재현(再現)하는 것을 차단(遮斷)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업장소멸
(業障消滅)을 시키며 생활속에서 반야지혜(空의 智慧)를 굴려쓰는 것이 ‘이 뭣고’라는 화두이다.
인연 따라 생성 변화 소멸하는 일체, 만법, 만물은 허망한 인(因, 원인)과 연(緣, 조건)이 화합해서 드러
나는 꿈, 허깨비,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 같은 실체가 없는 것들로, 실체성(實體性)이 없는
것들인데, 중생들의 분별하는 생각 마음 의식은 눈앞에 드러나는 온갖 현상(現象)을 실유(實有, 실제로
있는 것)으로 오인해 온갖 현상을 분별하고 집착함으로서 이 세상의 모습이 ‘있음’이 된 것이다.
또한 세상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세상만사, 인생사도 역시 환영이며 물거품이며 그림자이며 꿈속의 일
일 뿐이다. 현상으로 드러나는 만물은 일심(一心)이 인연을 따라 나타난 것일 뿐 일심(一心) 자체가
나타난 것은 아니다.
연연 따라 드러난 만법, 우주삼라만상만물은 본래 무생(無生)인 본무(本無)이기 때문에, 비록 만법이 소멸
한다 해도 인연이 다해 인연 따라 사라졌을 뿐이지 일심(一心)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본무
일심(本無一心)은 인과 연의 화합을 따라 만법으로 나오지도 않았고, 인과 연의 분리를 따라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만법, 이 세상 모든 것은 인연생 인연멸(因緣生 因緣滅)이라, 생겨나도 생겨남이 없고 소멸해도 소멸함이
없는 것이다. 이같은 이치가 연기하는 성품(緣起性)이다. ‘이 뭣고’라는 화두는 이같은 연기성을 깨닫고
공적영지(空寂靈知), 즉 본래의 성품자리, 하나의 성품, 일승(一乘), 대승(大乘)을 터득하는 방편이다.
비유를 들면 땅은 생(生)이 없는데 콩(豆)의 종자(種子)를 심으면 콩이 나오지만, 땅에 의(依)해서 콩이
나기 때문에 콩의 이 생(生)은 사람들이 눈의 의식, 귀의 의식, 코의 의식, 혀의 의식, 피부의 의식, 현재
의식으로 밖을 보면 콩의 형상이 있는데, 콩의 모습은 연기성이기 때문에 무생(無生 생겨남이 없음)이며,
이 무생(無生)이 화중생연(火中生蓮), 즉 불 속에 핀 연꽃이라는 말이다. 불 속이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
이고, 거북이 털 토끼 뿔 연꽃이 공성(空性)이다. 불이 시뻘건 화로에서 연꽃이 핀다는 것은 시간공간이
없는 동시(同時), 시무애(時无涯 시간에 걸림이 없음)이고, 작금(昨今,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가 바로
2,600년 전 붓다가 설법하신 영산회상이며 붓다와 나와 자타의 틈새가 없는 처무애(處无涯 공간에 걸림이
없음)이며 도솔천(兜率天)이고 내원궁(內院宮)이다.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청운 스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