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17. 11:29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임제록
|
임제록 5
(1) 상당--5
不是河南이면 便歸河北이로다 院臨古渡에 運濟往來로다
하남지방이 아니면 하북지방으로 돌아감이여,
임제원은 옛 나루터에 임해 있어서 오가는 사람들을 실어 날랐다.
강의 ; 임제스님이 법의 깃발을 세우고 종풍을 드날릴 곳을 말하고 있다. 어느 곳으로 가던지 그 장소가 무슨 문제이겠는가. 황벽스님은 황벽스님대로 나는 나대로 인연을 따라 가고 인연을 따라 머무를 것이다. 어디를 가든 천지만물은 그대로가 모두 무위진인인데. 가는 곳 마다 사람들을 건지고 눈을 열어주면 되는 일인 것을. 실로 그 후 임제스님이 가서 머문 임제원은 하북의 진주 호타하라는 강포구의 도시 오늘의 석가장이란 곳이다. 임제원에는 지금도 그의 탑과 비석이 있다. 강포구에서 나그네들을 강을 건너게 하는 일과 사람들을 제도하는 일의 표현이 같기 때문에 ‘임제원은 옛 나루터에 임해 있어서 오가는 사람들을 실어 날랐다.’라는 표현은 너무도 절묘하다.
| ||
임제록 7 | ||
| ||
임제록 8
(1) 상당--8
無位眞人이여 面門出入이로다 兩堂齊喝에 賓主歷然이요
무위진인이 얼굴을 통해 출입하고,
두 집의 수좌가 동시에 “할”을 함에 주객이 분명하다.
강의 ;임제스님의 보고 듣고 하는 작용은 불조(佛祖)의 지위에도 속하지 않고 중생(衆生)의 지위에도 속하지 않는다.
임제스님이 어느 날 법상에 올라 말씀하시기를, “붉은 고기 덩어리에서 한 사람의 무위진인이 있어서 항상 여러 분들의 얼굴을 통해서 출입한다. 그것을 증명하지 못한 사람들은 잘 살펴보아라.”하였다.
그 때 한 스님이 나와서 물었다.
“무엇이 무위진인입니까?”
그러자 임제스님은 법상에서 내려와서 멱살을 잡고 말씀하시기를,
“빨리 말해봐라.”
그 스님이 머뭇거리고 있는데 임제스님이 잡았던 멱살을 밀쳐버리고 말씀하시기를,
“무위진인이 이 무슨 마른 똥 막대기인가.”
라고 하시고는 곧 방장실로 돌아가 벼렸다.
임제록에서 첫째가는 한 구절을 꼽으라면 이 무위진인(無位眞人)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차별 없는 참 사람><참사람>이라고도 표현한다.
임제스님의 법석(法席)의 전장(戰場)에는 언제나 활과 칼을 서로 겨누고 있는 매우 긴장된 상황이었다.
임제가풍을 표현하는 말로 <임제 할(喝) 덕산 방(棒)>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임제스님은 할을 잘 하고 덕산스님은 방을 잘 쓴다는 뜻이다. 그 날도 법상에서 수행납자들과 할을 주고받으며 법을 거량하였다. 그 날은 법을 거량하기 전에 벌써 동당(東堂)과 서당(西堂)의 두 선방에서 수좌가 서로 보는 순간 동시에 할을 한 적이 있었다. 어떤 스님이 그 문제를 들고 나와 임제스님께 물었다.
“이럴 때 두 사람의 할에 나그네와 주인의 차별이 있습니까?”
“나그네와 주인이 분명하지. 대중들이여, 임제의 나그네와 주인의 소식[賓主句]을 알고 싶으면 두 선방의 두 수좌들에게 가서 물어보라.”라고 하시고는 곧 법상에서 내려오셨다.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임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제록16~20 (0) | 2019.11.30 |
---|---|
임제록 9~15 (0) | 2019.11.23 |
무위진인(無位眞人) (0) | 2019.10.27 |
2019년 10월 17일 릴라 목요공부모임(서장87회) (0) | 2019.10.19 |
유유자적(悠悠自適) (0) | 2019.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