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여연기설 - 여래장 위에서 불성찾는 중생 [원빈스님의 4대 연기설 11강

2022. 11. 18. 23:11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728x90

진여연기설 - 여래장 위에서 불성찾는 중생 [원빈스님의 4대 연기설 11강]

고향에서 고향찾는 나그네

여래장=생멸+뷸성=아뢰야식

깨달은 이후에도 장식(인과)은 있다
이뢰야식의 근원은 진여

진여는 망이 없다

여는 실제와 같다

만물 있는 그대로 제대로 보면 진여다-체대이다(시공의 환상에서 벗어나면 진여 생멸은 시간의 환상에서 움직임은 공간의 환상에서))

보이는 모습과 실제 모습은 다르다-감각기관에 따라 다르다

진여도 연기할 수 있다=>여래장(=아뢰야식)

진식을 강조하면 여래장 연기, 망식을 강조하면 아뢰야식연기

<불성이 여래장으로 변하는 과정>

망념에 의해 숨겨져있다

무념에 의해 부처
무명의 바람이 불었다-모르게 되었다(잔잔한 바다에서 파도일다
움직였다
움직이니 주관 객관이 생김
3세=생겨나니 생상
분별지
이어지며 변한다=의업
무명->수보=9연기=?생주이멸 4연기
지말전변

말라식은 의식의 의근이다

안근-부진근+승의;근(보는 능력)

의근=부진근+승의근(말라식)

유사성연결성 있으며 변화-진화

매순간 생멸은 창조 후찰라의 의식은 종생생현행 현행훈습 종자생종자(상속)

부파불교에서 의근은 전찰라의 의식(승의근에 가까워)

의식은 물질이 아니므로 부진근 연구 미약

부진근의 후보-뇌(물질)+승의근(비물질)

전찰라의식의 약점(기절3초,무상정,무상천-조단위)-현실의 의근 부단=?아뢰야식=자아의식(집지)

유식불교에서는 말라식을 의식의 의근으로 삼는다

아뢰야식부터 전뵨이 유식 연기설

진여식에서 근본이 되어 전변 진여연기설(여래장 연기설)

마음이 굴러서 세상이 펼쳐졌다

업감연기(업)

뢰야식 연기(은행)

진여연기(생주이멸의 매찰라-3세6주 진행)

4대연기는 불교발달사(인도화엄->중국화엄에서 법계연기)

유전연기의 과장은 마음으로부터 나왔다

깨달음은 마음에서 찾아야한다(만법유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