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9. 15:52ㆍ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불교교리·용례
도덕정치를 구현해 보자고 하는 것이 유교의 기본 정신이다. 修己<도덕>+治人<정치>다. 수기치인은 인격수양을 통해 제도개혁을 하고 도덕함양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라는 것이다. 변혁기엔 수기파보다 치인파를 안정기엔 치인파보다 수기파가 득세한다.
士林派는 수기파다. 재야 무리다. 성균관 중심의 관학에 대항해 지방에 사학을 세워 제자를 양성 이들의 문하를 중심으로 성립한 일종의 재야 선비들의 무리를 말한다.
勳舊派는 치인파다. 반정 때 세운 공훈 덕에 오래 벼슬을 할 수 있었던 사람들로 정도전 권근 등이 이에 속한다.
퇴계 이황<1501-1570> - 조선시대 학자. 그는 수기에 의한 인격수양과 도덕함양을 최상의 가치로 간주했으며 그의 학풍은 문하생인
선-악 구분. 理<절대선> 氣<선과 악의 혼재>구분. 4단<도덕정 심정> 7정<인간의 자연스런 감정> 四端 측은히 여기는 측은지심은 인의 단. 잘못을 부끄러워하는 수오지심은 의의 단. 사양할줄 아는 사양지심은 예의 단. 옳고 그름을 분별할줄 아는 시비지심은 지의 단. 4단심은 인간의 도덕적 심정을 인의예지는 인성 도덕적 본성 단서를 말하고 있다. 7정은 희노애락애오욕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망같은 자연적 심정을 말한다. 4단은 선이지만 7정은 선일 수도 악일 수도 있다.
4단이란 인간의 본성을 인의예지라는 도덕성으로 볼 경우 이런 도덕적 본성의 단서가 되는 도덕적인 심정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7정은 희노애락애오욕 등 배우지 않아도 인간이면 누구나 느끼는 자연적 심정 일반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4단 7정은 똑 같은 차원이냐 전혀 다른 감정이냐? 발생 장소부터 다르다고 보았다. 4단은 리지발 리가 발동한 것이고 7정은 기지발 기가 발동한 것으로 보았다.
기대승<1527-1572> -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호는 고봉. 31세 때 주자대전을 발췌하여 주자문록을 편찬할 만큼 주자학에 정진했다. 32세에 퇴계 이황의 제자가 되었으며 이후 스승인 이황과 4단7정을 주제로 논란을 편 이야기는 유명하다.
4단: 理之發-기없는 리-리발기수. 리가 발동 기가 따라가는 것이다-순선
7정: 氣之發-리없는 기-기발리승. 기가 발동 리가 올라타는 것이다-선악
발동이 불과급에 빠지지 않을 때 그 마음 중절을 4단이라 부를 수 있다 주장한다.
4단7정에 대한 퇴계의 수정안 - 4단이발이기수지 7정기발이리승지. 4단은 리가 발동하자 기가 그 것을 따르는 것이고 7정은 기가 발동하자 리가 그 것에 올라탄 것이다.
퇴계는 리와 기를 분리했고. 고봉은 주자의 기본방침인 리와 기의 불가분을 주장했으며 율곡은 리발을 공격했다.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다 주자적이고 다 주리적이다.
율곡
불교에 정통했던 율곡은 리를 무위<작위 운동>기를 유위로 쓰며 기발리승일도 리는 하나의 법칙으로 보편적으로 두루 통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에 의해 국한적으로 드러날 수 밖에 없다 주장하며 기만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고 보았다.
율곡의 퇴계에 대한 비판 - 이무위이기유위 고기발리승일도. 리는 작용성이 없고 기만 작용성이 있으니 기가 발동하고 리가 올라타는 오직 한 길만 있을 뿐이다.
퇴계가 원리원칙주의자라면
이상
'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 > 불교교리·용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실학사상 (0) | 2007.06.09 |
---|---|
붕당정치와 리기론 (0) | 2007.06.09 |
조선 주자학의 성립 (0) | 2007.06.09 |
일본 주자학의 해체 (0) | 2007.06.09 |
일본 주자학의 성립 (0) | 200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