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심법요 / 2.무심(無心)이 도(道)

2008. 7. 18. 23:00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전심법요

728x90

전심법요 (傳心法要)

    2. 무심(無心)이 도(道)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공양 올리는 것이 무심도인 한 살에 게 공양 올리 것만 못하다 그것은 무심한 사람에게는 일체의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진여 그대로인(如如) 몸이 안으로는 목석같아서 움직이거나 흔들리지 않으며 밖으로는 허공 같아서 어디에도 막히거나 걸리지 않으며 주관 객관의 나뉨은 물론 일정한 방위와 처소도 없다 후학들이 감히 법에 들어오지 못하는 까닭은 공에 떨어져 닿아 쉴곳이 없을까 두려워해서 인데 이런 태도는 막상 벼랑을 보고는 물러나서 거기다가 널리 지견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견을 구하는 자는 쇠털 처럼 많아도 정작 도를 깨친 이는 뿔과 같이 드물 것이다 문수보살은 이치(理)에, 보현보살은(行)에 해당한다. 이치란 진공(眞空)으로서 걸림없는 도리이고 행실이란 형식을 벗어 난 끝없는 실천을 말한다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세지보살은 지혜를 상징한다 유마(유마)는 깨끗한 이름[정명]이란 뜻인 데 깨꿋하다는 것은 성품을[성]을 두고하는 말이고 이름은 모습의 측면에서 한 말이다 성품이 모양과 다르지 않으므로 그를 정명거사(淨名居士)라 한 것이다 대보살들로 상징된 위의곳 들은 누구나가 가진 성품으로 한마음을 여의지 않으니 깨치면 곧 그대로인 것이다 그런데 지금 도를 배우는 사람들 은 자기 마음에서 깨달으려 하지 않고 마음 밖의 경계인 모 양에 집착하여 오히려 도를 등지고 있다. 간지스강의 모래란 것을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는데 이 모래는 모든 불보살과 제 석 범천 및 하늘 무리들이 자기를 밟고 지나간다 해도 기뻐 하지 않고 소나 양.벌레.개미 등이 자기를 밟고 지난다 해도 성내지 않음을 말씀하신 것이다 또한 간지스강의 모래는 보 배나 향기를 탐하지도 않으며 똥.오줌 냄새나는 더러운 것도 싫어하지 않는다 이런 마음이 곧 무심한 마음으로서 모든 모양을 떠난 것이다 중생과 부처과 다를 것이 없으니 이렇 게 무심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완전한 깨달음이다 도를 배우는 사람이 그 당장 무심한 상태가 될 수 없다면 그 사람 은 여러 겁 동안 수행해도 도를 이루지 못할 것이니 그것은 성문.연각.보살의 단계적인 공부에 얽매여 해탈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마음을 증득하는 데는 더디고 빠른 차이가 있다 어떤 사람은 이 법문을 듣는 즉시 한 생각에 무심이 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10신(十信).10주(十住).10행(十行). 10회향(十廻向)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무심을 얻기도 한다 그러므로 더 디거나 빠르거나 무심을 얻으면 그만이지 거기에 더 닦고 증 득할 것이 없으며 참으로 얻었다 할 것도 없다 그러나 진실 하여 허망하지 않는 것이니 당장 한 생각에 깨친 것과 10지 를 거쳐 깨친 것이 효용에 있어서는 꼭 마찬가지여서 다시 더 깊고 얕음의 차이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다만 긴 세월 동안 헛되이 괴로움을 받을 뿐이다 선악(善惡)을 짓는 것은 모두 모양에 집착하기 때문인데 모 양에 집착하여 선악을 짓게 되면 허망하게 윤회의 수고로움 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그 무엇도 한마디 말에 본래의 법을 문득 스스로 깨닫는 것만 같지 못하다. 이 법 그대로가 마음 이어서 마음 밖에는 아무 법도 없으며 이 마음 그대로가 법 이어서 법 밖에는 어떠한 마음도 없다. 그런데 마음 그 자체 는 또한 마음이라 할 것도 무심이라 할 것도 없다.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없앤다면 마음이 도리어 있게 된다 다만 묵묵 히 계합(契合)할 따름이다. 모든 사유와 이론이 끊어졌으므로 말하기를 언어의길이 끊기고 마음 가는 곳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이 마음이 본래 청정한 부처인데 사람마다 모두 그것을 지녔으며 꿈틀거리는 벌레까지도 불보살과 한 몸으로 다를 것이 없다 다만 망상 분별 때문에 갖가지 업과를 지을 뿐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