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효순의 보살도|_(())_범망경보살게

2009. 12. 30. 22:28불교(당신이 주인님입니다)/범망경

728x90

1. 효순의 보살도


 그 때 석가모니께서 처음 보리수 아래 앉으시어 무상정각(無上正覺)을 이루시고 보살의 바라제목차를 결정하시니, 그것은 부모와 사승(師僧)과 삼보에게 효순하는 것이며 지극한 도에 효순하는 법이더라. 효순하는 것을 계라고 하며 제지(制止)라고도 하느니라. 부처님께서는 입으로 무량한 광명을 놓으시니, 이때에 백만억 대중 모든 보살과 18범천과 16대 국왕이 합장하고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께서 외우시는 일체 제불의 대승계를 들었다.

 


爾時에 釋迦牟尼佛이 初坐菩提樹下하사 成無上正覺已하시고 初結菩薩波羅提木叉하시니 孝順父母師僧三寶하며 孝順至道之法이라. 孝名爲戒요 亦名制止니라하시고 佛卽口放無量光明하시니 是時에 百萬億大衆이 諸菩薩과 十八梵天과 六欲天子와 十六大國王이 合掌至心으로 聽佛誦一切諸佛大乘戒러라.



 이 대문은 별서(別序)의 마지막인 서결서(敍結戒) 부분입니다. 삼불전교(三佛傳敎)· 이불설법(二佛說法)· 일불설법(一佛說法)· 중송(重頌)· 서결서로 나누어지는 별서 가운데 마지막 결계(結戒:계를 맺음)의 뜻을 담은 부분으로,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뒤에 먼저 이 바라제목차의 계를 제결(制結)하신 근본 뜻이 무엇인가를 밝힌 부분입니다. 홍찬스님은 이 결계의 의미를, “계로써 생사의 고해를 건너는 바랑주머니(구명대)로 삼고 근원에 돌아가는 뗏목으로 삼는 바이다(以戒是渡苦海之浮囊 復本源之寶筏야)”라고 풀이 하였습니다. 곧 부처님께서 보살계를 제결하신 까닭은 생사의 고해에서 생사가 없는 해탈의 세계로 잘 건너갈 수 있게 해 주는 뗏목, 또는 괴로움의 바다에 빠진 중생을 구해 주는 구명대의 역할을 하게끔 하기 위함이었다는 것입니다.




아침 이슬과 같은 말 좋은 말은 아침 이슬과 같습니다. 이슬은 양은 많지 않지만 식물에게 큰 영향을 줍니다 특히 사막 같은 지역에서는 이슬이 식물의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좋은 말은 많은 말을 하는것이 아닙니다 한 마디의 좋은 말은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사람을 살리기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내가 한 좋은 말 한 마디로 사람을 살릴 수 있다면 그것보다 귀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슬이 아침에 식물을 적셔주는 것과 같이 좋은말을 해서 사람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준다면 좋은말을 듣는 사람은 생명수를 공급 받는 것과 같을 것 입니다 좋은 말은 소망이 있는 말입니다 내 생각이 아무리 옳을 지라도 상대를 설득하려는 말과 책망하는 말은 때로는 소망을 끊을 수 있습니다 사람은 모두 다르게 자기만의 은사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그런데 내가 잘하는 것이 있다고 해서 상대가 못하는 것을 책망하고 권면하면서 따라 하라고 할 때 상대는 죽어도 못 할 수도 있다는 사실 입니다 그것을 너무 강하게 요구하면 상대의 소망을 끊어 버리는 것과 같이 됩니다 실제적으로 부모의 지나친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아이들이 생명을 끊는 경우도 종종 일어 납니다 소망을 주는 말을 하세요 이슬과 같이 그 사람에게 유익을 줄 수 있는 말을 하세요 소망을 주는 말은 진실되어야 합니다 좋은 미사여구를 써서 우유보다 매끄럽게 말을 할 지라도 진실되지 못한 말은 결국 상대를 찌르는 비수와 같은 것이 됩니다 때에 맞는 옳은 말은 기쁨을 줍니다 한 마디의 말이라도 아름다운 말을 한다면 이 세상의 모든 식물을 적셔 주는 아침 이슬과도 같이 영롱하게 빛을 낼 것입니다. - 좋은글 중에서 - 여호와여! 내 입술에 파숫군을 세우시고 내 입술의 문을 지키소서. 아! 눈꽃에 눈이 부시다 눈덩이 굴려 눈사람 만들어 놓고 강아지처럼 꼬리 흔들며 눈밭을 뛰어다니며 놀고 싶다 내 어릴 적 동무들과.-이룻-

생명의 마음